씨밀레로 블로그

한방약술5 본문

▒▒ 건강 이야기 ▒▒/약술이야기

한방약술5

청산거사 2006. 7. 20. 13:27
41. 토사자술

노화로 인해 쇠약해진 사람의 보익(補益)에 효과적이며 요통, 하반신 무력, 유정(遺精), 조루, 강정, 강장 작용을 도운다.

▣ 재료의 약성

토사자(새삼)는 뿌리도 없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로서 다른 생물에 기생하여 꽃과 열매를 맺는 특성이 있다.  전체가 황색의 굵은 철사 모양으로 목본(木本)식물에 기생하여 번식을 하는데 싹이 나서 기생식물에 이르면 뿌리는 마르고 새로 생긴 흡반(吸盤)으로 기생식물의 영양을 흡수해서 성장한다. 8, 9월 경에 줄기 뒤에 짧은 이삭으로 백색의 잔꽃이 피며 무리지어 번식하는 모양은 마치 풀이나 나무 위에 황금그물을 덮어 씌운 것 같다.

고대 중국에서 전해진 유명한 강정제(强精劑)에는 대부분 토사자가 쓰이고 있다. 특히 노화로 인한 장기의 기능 약화로 몸이 쇠약한 경우에 매우 효과적이다.

체력의 부족을 보충하고 정력을 활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하반신의 모든 기능이 약해져 힘이 없고 음위(陰威)의 경향이 있을때 효과적이다. 식욕 부진과 설사기가 있는 사람의 강장(强壯)에도 적합하다.

성분은 토사자 배당체, 비타민 A, 아밀라제 등이다.

▣ 만드는 법

⊙ 재료

토사자 150g / 소주 1000㎖ / 설탕 15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토사자를 그대로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주일 후에 마개를 열어 액을 천으로 거른 후 액은 용기에 다시 담는다. 설탕을 넣어 녹이고 미림을 가해 섞는다.

여기에 생약 찌꺼기 1/5을 다시 넣고 밀봉한 다음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이나 여과지로 거른다.

갈색의 약간 매운 맛이 있는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3회 식전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42. 하수오술

자양 강장, 익정 보혈(益精補血), 혀약 체질, 요각 권태 무력(腰脚倦怠無力), 병으로 인한 백발, 조기 노화, 조증.울증 등의 억울성 정신 병질(抑鬱性精神病質)에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중국이 원산지인 하수오는 약용식물로 재배되고 있다.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같이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꽃은 8~9월에 흰색으로 피고 꽃잎은 없고 열매는 수과로서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다. 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라고 한다. 이와 비슷한 것에는 나도하수오가 있으며, 지리산 능선과 계방산 계곡에서 자란다.   

강장제, 강정제, 완하제로 사용한다. 잎은 나물로 하며 생잎을 곪은 데 붙여서 고름을 흡수시킨다.

혈청 콜레스테롤 강하 작용이 있다. 또 장의 운동을 촉진시켜 변통(便通)을 평온하게 조절해주고 지방이 혈관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여 동맥 경화를 막는다. 그리고 피부의 가려움을 해소한다.

성분은 레시틴, 크리소파놀, 에모진, 타닌 등이고, 그 외에 부신피질 호르몬과 비슷한 물질도 들어 있다.

▣ 만드는 법

⊙ 재료

하수오 / 150g / 소주 1000㎖ / 설탕 5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잘게 썬 하수오를 용기에 넣고 25도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일 1회, 가볍게 술을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이나 여과지로 거른 다음 용기에 붓고 설탕과 과당을 가미하여 녹인다.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약 1~2 개월 후 마개를 열고 용기를 가볍게 기울여 윗부분의 술만 따라 낸 다음 나머지 는 천 또는 여과지로 걸러 앞의 술과 합친다.

아름다운 적갈색의 독특한 향기와 약간 씁쓸하고 떫은 맛이 감도는 맛좋은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회, 아침. 저녁의 식사 전이나 사이에 마신다.

43. 합개술

 자양 강장, 음위(陰威), 성기능감퇴, 만성 피로, 아랫도리의 쇠약, 양노(養老)에 좋은 효과가 있다.

▣ 재료의 약성

합개(蛤价)는 중국에 서식하는 도마뱀을 말린 것인데, 몸 길이 20cm, 삼각형의 대가리에 입이 메기처럼 크고 회색이나 갈색을 띄고 있는데 암 수의 정(情)은 원앙새와 같고 약효는 인삼 녹용을 능가할 정도다. 보통 두 마리가 한 쌍으로 되어 있다. 도마뱀은 서로 정이 깊어 교미 중에는 죽어도 떨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합개술은 정력을 높일 뿐 아니라 신허(腎虛)에 의한 요통이나 불면증에도 효력이 매우 좋다.

남성 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이 있어 최음(催淫)효과를 나타낸다. 보간(補肝) 작용도 있어 피로와 해소를 치료한다.

▣ 만드는 법

⊙ 재료

합개 10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합개를 잘게 부숴 용기에 넣고 30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곳에 보관한다.

2주일 후에 마개를 열어 술을 천으로 거른 후 용기에 넣고 설탕과 과당을 넣어 녹인다.

거르고 남은 생약 찌꺼기의 일부를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2 개월 이상 지나면 나머지 건더기를 여과지로 거른다.

독특한 맛을 지닌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3회, 식사 사이에 마신다. 약간 동물성 냄새가 나기는 하지만 브랜디나 진을 조금 넣으면 먹기가 좋다.

44. 홍화술

부인의 강장, 생리통, 무월경, 생리 불순, 냉증을 다스리며 정혈제(淨血劑)로서 혈액 순환 장애로 인한 부인병에 매우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홍람(紅藍), 이꽃, 잇나물이라고도 한다. 높이 1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바소꼴이며, 톱니 끝이 가시처럼 생긴다. 꽃은 7∼8월에 피고 엉겅퀴같이 생겼으나 붉은빛이 도는 노란색이고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이른 아침 이슬에 젖었을 때 따서 말린 꽃을 홍화라 하여 한방에서 부인병, 통경, 복통에 쓴다.

홍화를 물에 넣어 황색소를 녹여낸 다음 물에 잘 씻어서 잿물에 담그면 홍색소가 녹아서 나온다. 여기에 초를 넣어서 침전시킨 것을 연지로 사용하였으며, 천, 종이 염색도 하였다. 또한 이집트의 미라에 감은 천도 이것으로 염색한 것이었다.

열매로 기름을 짜서 등유(燈油)와 식용으로 하였고 등잔불에서 얻은 검댕으로 만든 것이 홍화묵(紅花墨)이다.

종자에서 짠 기름에는 리놀산(linolic acid)이 많이 들어 있어 콜레스테롤 과다에 의한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치료에 좋다.

▣ 만드는 법

⊙ 재료

홍화 5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벌꿀 100g

⊙ 담그는 법

홍화를 그대로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이나 여과지로 걸러낸다. 술은 다시 용기에 붓고 설탕과 벌꿀을 넣어 잘 녹인다.

여기에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이 지나면 건더기를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적갈색의 독특한 맛을 지닌 한방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3회, 식전이나 또는 식사 사이마다 마신다

45. 황기술

자양 강장, 지한(止汗), 감기에 잘 걸리는 체질을 개선시키고  이뇨, 류머티스성 관절염, 견관절 주위염, 부종에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황기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바위틈에 자란다. 높이 40∼70cm이며 전체에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있다. 줄기는 총생(叢生)하며 잎은 6∼11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약 1∼2 cm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중추 신경계를 흥분시켜 성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하며, 단백뇨를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혈관 확장 작용도 있어 혈액순환 장애를 개선시키므로 피로성 심장 쇠약에 사용된다.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원기를 회복시키고 강화한다. 목소리에 힘이 없고 무력감이 있으며 자주 피로를 느끼는 체질에 적합하다. 그리고 체표의 수독(水毒)을 제거하고 이뇨 작용을 하므로 관절이나 몸에 부종(浮腫)이 있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 만드는 법

⊙ 재료

황기 150g / 소주 1000㎖ /설탕 5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잘게 부순 황기를 용기에 넣고, 20도 소주를 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매일 한 번씩 살짝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고 건더기를 천이나 여과지로 거른다.

따라 낸 술은 다시 용기에 붓고, 생약 찌꺼기 약 1/10을 다시 용기에 넣는다.

설탕과 과당을 넣어 잘 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이때 브랜디 10㎖를 추가시키면 향기가 더욱 좋아진다.

1 개월이 지나면 개봉하여 윗부분만 따라 낸 다음 남은 부분은 천이나 여과지로 거른다.

맑은 황갈색의 담백한 맛을 지닌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30㎖, 1일 2회, 아침. 저녁의 식전이나 식사 사이에 마신다.

46. 황정술

자양 강장, 허약 체질, 자주 피로가 올 때, 병후 회복기에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황정(黃精)은 일반적으로 둥굴레 속에 해당되는 여러 종의 식물을 통틀어 말하는데 일반적으로는 둥굴레 또는 생약명 그대로 황정이라고 한다. 울릉도, 제주도와 남부지방 산지의 숲속 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다년초로서 높이 50~80cm으로 윗위부분이 심하게 휘고 둥굴레와 비슷하나 줄기는 모가 지지 않는다.  잎은 길이 8~13cm, 폭 10~25mm로서 둥글레보다 좁고 짙은 녹색이다.  잎겨드랑이에서 2~5개의 꽃이 밑을 향해 주렁주렁 달린다. 꽃은 5월에 핀다.  

뿌리는 보통 가을이나 이른 봄 새싹이 나오기 전에 캐어 잘 씻은 후 건조하거나 꿀물 또는 술에 하루밤 담가 두었다가 시루나 증기로 찐 후 말린 것을 약재로 쓴다. 뿌리의 효능은 자양강장제로서 폐를 보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며, 흰머리를 검게 하고 추위에 내성을 길러주며 안색을 좋게 하여 오래 살게 한다고 한다. 그래서 민간에서는 황정(둥굴레)로 떡을 만들어 먹거나 술을 빚어 마시면 무병장수한다고 했다.

자양 강장제로서 병후 쇠약해졌거나 영양이 불량할 때, 자양 강장의 목적으로 복용한다. 황정을 오랫동안 복용하면 성기의 발기력이 강해진다고 한다.

▣ 만드는 법

⊙ 재료

황정 15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미림 50㎖

⊙ 담그는 법

황정을 잘게 썰어 용기에 담고 25도의 소주와 미림을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7일이 지나면 마개를 열고 천으로 거른 다음 액은 용기에 다시 붓는다.

생약의 1/10을 다시 액 속에 넣고 설탕을 가미하여 녹인 후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마개를 열고 윗부분의 액만 용기를 기울여 따라 낸 다음 나머지 액은 여과지로 거른 후 앞의 액과 합친다.

흑갈색의 독특한 향기가 있는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공복에 마신다.

47.건중술

허약 체질, 식욕 부진,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에게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 작약이 중심이 되어 대추, 감초의 상호 작용으로 진통, 진경 효과를 올릴 수 있다.

* 작약은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 쓴다. 뿌리는 진통, 복통, 월경통, 무월경,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인다. 중국에서는 진(晉)과 명(明) 시대에 이미 관상용으로 재배되어 그 재배 역사는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송(宋)을 거쳐 청(淸)시대에는 수십 종류의 품종이 기록되어 있다.

▣ 만드는 법

⊙ 재료

계피 20g / 작약 30g / 대추 20g / 자감초 15g / 생강 10g / 소주 1000㎖ / 벌꿀 50g

⊙ 담그는 법

* 준비한 생약을 잘게 썰어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 처음 4~5일 동안은 매일 1회 술을 가볍게 흔들어 준다.

* 10일 후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걸러 내고 술은 다시 용기에 붓고 벌꿀을 넣는다.

* 여기에 생약 건더기 1/5을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 1 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윗부분의 맑은 술만 따라내고 나머지 건더기를 천이나 여과지로 걸러낸 후 앞의 술과 합친다.

* 달콤하고 부드러운 갈색의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3회, 매 식전에 마신다.

48. 고본술

무기력, 피로 권태, 몸이 마르고 피부가 거칠어질 때, 식욕이 없을 때, 구갈증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

▣ 재료의 약성

고본술은 몸이 마르고 피부에 윤기가 없으며, 목이타서 물을 많이 마시고 몸에 힘이 없는 상태, 쉬 피로해지고 식욕 부진, 영양 불량, 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개선한다.

고본술에서 사용하는 모든 약재는 자양 강장 효과가 있으며 체액의 소모를 줄이고 영양을 보충한다.

인삼, 숙지황은 혈당 강하 작용을 한다. 특히 인삼은 인슐린을 만드는데 필요한 작용을 한다는것이 밝혀졌으므로 당뇨병에 유효하다.

▣ 만드는 법

⊙ 재료

지황 25g / 숙지황 25g / 인삼 10g / 맥문동 20g / 천문동 2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준비한 생약을 가늘게 썰어 용기에 담고 20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5일 동안은 매일 1회 술을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걸러 내고 술은 용기에 다시 붓고 설탕과 과당을 넣어 잘 저어 녹인다.

여기에 생약 건더기 1/5을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이 지나면 마개를 열어 윗부분의 맑은 술만 따라 낸 다음 나머지 건더기를 천이나 여과지로 걸러 내고 앞의 술과 합친다.

감칠맛이 나는 흑색의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3회, 식사 사이에 마신다.

49. 구기황정술

정력 감퇴, 음위(陰威 ; 성교 불능증), 무기력, 노후 강장, 피로 권태에 좋은 효과가 있다.

▣ 재료의 약성

구기환(枸杞丸)을 약술로 만든 것으로, 오히려 환제 보다도 약술이 더 효과적이라고 한다.

알코올이 들어가 더욱 효과가 높아진다.

허약 체질로서 성생활이 과도하여 몸이 쇠약하고 피로 권태, 안색 불량, 정력 감퇴, 발기 부전, 피부가 거친 사람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구기자(枸杞子)를 장기간 복용하면 정력이 좋아지고 심신이 충실해져 강장 체질로 바뀐다. 안색이 좋아지고 눈이 밝아지며 노쇠를 막을 수 있다.

황정은 자양 강장제로서 병후 쇠약해졌거나 영양이 부족할 때, 자양 강장의 목적으로 복용한다. 황정을 오랫동안 복용하면 성기의 발기력이 강해진다고 한다.

▣ 만드는 법

⊙ 재료

구기자 50g / 황정 5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벌꿀 80g / 미림 50㎖

⊙ 담그는 법

구기자는 그대로 사용하고 황정은 잘게 썰어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5 일간은 매일 1회 술을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걸러내고 술은 다시 용기에 붓고 설탕, 꿀, 미림을 넣은 다음 잘 저어 녹인다.

여기에 생약 건더기 1/5을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나머지 건더기를 천이나 여과지로 걸러낸다.

독특한 맛이 나는 흑갈색의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3회, 매 식전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50. 독계산술

성기능 쇠약, 발기력 부전, 성교 후의 권태감, 무력성 사정, 조루, 신경 쇠약증을 다스린다.

▣ 재료의 약성

허리, 배 하반신의 쇠약을 막고 성기능을 촉진시키며, 발기력을 높이고 온몸을 튼튼하게 하며 정력을 왕성하게 해준다. 80세의 할아버지도 즉시 장년의 정력을 되찾을 정도로 효과가 크기 때문에 독신자가 사용해서는 안된다는 말이 따라다니는 술이다.

사상자는 옛부터 부인의 음부 질환에 사용하였는데, 소염제 또는 가려움을 없에는 외용약과 연고로 쓰여 왔다. 인풀루엔자 바이러스와 토리코모나스균의 활동을 억제하고, 남성 호르몬과 같은 효능이 있어 최음제 역할을 한다.

양귀비를 비롯한 중국 역대의 황후, 궁중의 여관(女官)들도 몰래 애용하였다고 전해지는 육종용은 강장 강정(强奬强精)을 목적으로 하는 처방에 쓰이는 대표적인 보정제(補精劑)이다. 발기 부전, 허리와 다리의 냉통등에 효과적이고, 성기능을 충실하게 하는 비약(秘藥)으로 손꼽힌다.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다.

▣ 만드는 법

⊙ 재료

사상자 30g / 육종용 20g / 오미자 20g / 토사자 20g / 원지(遠志) 20g / 소주 1000㎖ /

과당 50g

⊙ 담그는 법

사상자, 오미자, 토사자는 그대로 사용하고 원지와 육종용은 잘게 썰어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5일 동안은 매일 1회 술을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걸러 내고 술은 다시 용기에 붓고 설탕과 과당을 넣어 잘 저어 녹여준다.

여기에 생약 건더기 1/5을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이 지나면 마개를 열어 윗부분의 맑은 술만 따르고 나머지 건더기를 천이나 여과지로 걸러 앞의 술과 합친다.

독특한 감칠맛이 나는 흑갈색의 부드러운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30㎖, 1일 2회, 공복에 마신다.

'▒▒ 건강 이야기 ▒▒ > 약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방약술7  (0) 2006.07.20
한방약술6  (0) 2006.07.20
한방약술4  (0) 2006.07.20
한방약술3  (0) 2006.07.20
한방약술2  (0) 2006.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