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한방약술3 본문

▒▒ 건강 이야기 ▒▒/약술이야기

한방약술3

청산거사 2006. 7. 20. 13:20
21. 아출술

탈모증, 변비,소화불량, 요통등에 쓰이며,구풍제로도 사용된다.

▣ 재료의 약성

아출은 생강과의 다년생 숙근초로 높이 약 1m 정도이다. 근경은 둥근 괴상으로 측면에 원주형의 가지를 내며 측근은 둥근 괴근으로 성장하는데 가로로 자른면은 중심이 옅은 남색을 띠며 서서히 흑변한다. 과실은 둥근삼각형이며, 종자는 긴원형이다. 근경, 괴근을 아출이라 한다.

건위, 위약, 식욕 부진, 오심(惡心; 메스꺼움), 희발 월경(希發月經; 월경 주기가 정상보다 긴 경우), 월경 불순, 진통 등에 효과를 보인다.

 혈액의 응고(울혈)를 풀어 적체(積滯)를 소통시키는 작용을 한다. 피덩어리(혈전)의 흡수를 촉진하기 때문에 자궁 근종(子宮筋腫)에도 많이 쓰인다. 건위 작용이 있어 소화 불량, 복부 팽만감, 가스차는 증상 등에도 효과적이다.

성분은 정유 중에 시네올, 칸펜, 섹키텔펜유를 함유하고 있고, 그외에 사포닌, 안테론 배당체, 플라본 배당체가 들어 있다.

▣ 만드는 법

⊙ 재료

아출 150g / 소주 1000㎖ / 설탕 15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가늘게 썬 아출을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설탕, 과당을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때때로 용기를 흔들어 주고 1 개월 쯤 익힌다.

1 개월이 지나면 마개를 열어 천으로 액을 거른다.

맑은 갈색, 산뜻한 향기와 쓴맛이 어우러진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3회, 식전에 마신다.

22. 오가피술

강장 보정, 건위 정장(健胃整腸), 손발의 냉증, 하퇴부가 저릴 때, 진통(鎭痛) 등에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오가피나무(五加皮)는 두릅나무과의 낙엽성 활엽관목으로 인삼과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 오래전부터 귀중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가시오가피는 국내외의 과학자들이 꾸준히 연구하여 탁월한 효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옛조상들의 체험방이 무위하지 않다는 것이 사실로 판명되었다.

오가피는 특히 하반신에 작용하여 허리와 다리의 나른함과 통증, 다리에 힘을 줄 수 없는 증상, 가벼운 수종(水腫)에 효과적이다. 또 소아의 발육 부진과, 운동 능력 불량에도 효과가 있다.

간장, 신장을 보호하고, 늑골(肋骨)을 강하게 하는 작용도 있다. 성분은 방향성(芳香性) 정유인 4-메트옥시살리틸 알데히드, 지방유, 비타민 A, B 등이다.

▣ 만드는 법

⊙ 재료

오가피 150g / 소주 1000㎖ / 설탕 15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잘게 썬 오가피를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0일 후 마개를 열어 액을 천으로 거른다. 걸러 낸 액은 용기에 다시 담고 설탕과 과당을 가미하여 녹인다.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개봉하여 천 또는 여과지로 액을 거른다.

갈색의 독특한 향기를 지닌 약간 씁쓸한 맛의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식사 전이나 또는 사이에 마신다.

※ 주의  

남오가피와 북오가피가 있는데, 북오가피는 작용이 매우 강하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

23. 오미자술

강장, 피로 권태, 무기력, 더위먹었을 때, 피로로 인한 사고력 저하, 기억력 감퇴, 주의력 감퇴 등에 효과를 보이며, 건위(建胃) 작용을 한다.

▣ 재료의 약성

오미자(五味子)라는 이름은 단맛, 신맛, 매운맛, 짠맛, 쓴맛을 갖고 있다고 해서 붙어진 이름이며 특히 단맛과 신맛이 가장 강하다. 오미자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으로 덩굴지어 뻗어나간다. 잎은 달걀모양이고 뒷면에 털이 있다. 열매는 이삭모양으로 늘어져 붉은색을 띠나 점차 어두운 갈색을 띠며 팥과 같은 씨가 한두 개 들어 있어 다른 열매와 구분된다.

 

중추 신경계와 대뇌 피질을 흥분시키므로 작업 능률이 높아진다. 자궁의 평활근(平滑筋)을 흥분시키는 작용도 있으며 수축을 강하게 한다. 거담, 진해 작용(鎭海作用)도 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과 약물성 간염에 효과가 있고, 트랜스 아밀라제 값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성분은 시잔드린, 데스옥신, 잔드린, 프론트카텍킨산, 비타민 C, 구연산, 점액질 등이다.

▣ 만드는 법

⊙ 재료

오미자 100g / 소주 1000㎖ / 설탕 15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오미자를 용기에 넣고 20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한 다음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매일 1회, 액을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마개를 열어 액을 천으로 거른 후 용기에 붓고, 설탕과 과당을 넣어 녹인다.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용기 속에 넣고 밀봉하여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액을 천이나 여과지로 거른다.

아름다운 적갈색의 특이한 향과 산뜻한 신맛이 어우러진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3회, 식전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24. 오징어술

위산 분비 억제, 위산과다가 원인인 위통을 가라앉혀준다. 손발의 통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 재료의 약성

오징어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값싸고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식품인 데 비하여 그 약효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오히려 요즘에 와서 오징어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해서 기피 식품으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운 오징어와 굽지 않은 오징어를 같이 사용하는 것은, 그 약효가 조금씩 차이가 있어 각기 다른 효능을 동시에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오징어를 이용한 약술을 가정 상비약으로 만들어 두면 여러모로 쓰임새가 있다. 염증과 통증을 진정시켜 준다.

차멀미에 오징어를 씹으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여행 갈 때 오징어를 준비하는 것도 지혜라 할 수 있겠다.

▣ 만드는 법

⊙ 재료

구운 오징어 1 마리 / 마른 오징어 2 마리 / 청주 준비한 재료의 3배

⊙ 담그는 법

오징어의 다리를 떼어 낸 다음 3마리를 잘게 찢어 함께 유리병이나 항아리에 넣는다.

청주를 부어 밀봉시킨 다음 햇볕이 들지 않는 냉암소에서 3 개월 이상 숙성시킨다.

오징어는 오랫동안 용기에 담가 두면 엑기스가 많이 빠져 나오기 때문에 용기에서 오징어를 건져 내지 않고 넣어 둔 채 사용하는 것이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 음용법

구수한 맛이 독특하고 향 또한 좋아 온 가족이 즐길 수 있는 약술이다.술을 마실 수 없는 사람은 저녁 식사 후 소주잔 한 잔 정도를 한소끔 긇여 알코올 성분을 없앤 뒤 마시면 된다. 술을 즐길 수 있는 사람은 식전과 저녁에 소주잔으로 한 잔 정도 마신다.

25. 옥죽술

자양 강장, 허약 체질, 자주 피로를 느끼는 사람, 병후 회복기에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백합과로 잡목림숲에 자생하는 내한성이 강한 여러해살이풀이다. 예로부터 흉년기에 배고픔을 덜어주던 구황식물로 많이 쓰였으며 4-5월에 꽃이 핀다. 자양지초(滋養之草)라 하여 3백일을 계속하여 복용하면 귀신을 볼 수 있고 신선이 되어 승천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마른기침, 혀가 건조하고 갈증이 나는 등의 증상에 사용하며, 아드레날린에 의한 고혈당에 혈당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허약 체질을 개선 시키고 몸을 편안하게 한다. 그 밖에 혈액 순환을 원할하게 하고 강심 작용, 부신피질 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 보고가 있다.

성분은 강심 배당체, 알칼로이드, 비타민 A 같은 물질이 있다.

▣ 만드는 법

⊙ 재료

옥죽 150g / 소주 1000㎖ / 설탕 100g /미림 50㎖

⊙ 담그는 법

가늘게 썬 옥죽을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와 미림을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매일 1회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준다.

1주일 후에 마개를 열고 천으로 거른 후 액을 용기에 다시 담는다.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액 속에 넣고 설탕을 가미하여 녹인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이 되면 마개를 열어 윗부분의 액을 용기에 따른 다음 나머지는 천 또는 여과지로 걸러 앞의 액과 합친다.

흑갈색의 독특한 향기를 지닌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30㎖,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공복에 마신다.

26. 용안술

자양 강장, 건위, 진정, 불면, 신경 쇠약, 정신 불안, 병후 쇠약증에 좋다.

▣ 재료의 약성

무환자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높이 10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며 두껍고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15∼45cm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작은잎은 3∼6쌍이 달리고 길이 약 10cm이며 혁질(革質:가죽 같은 질감)이다. 열매를 용안 또는 계원(桂圓)이라 하며 식용한다. 과육같이 보이는 투명한 것은 가종피(假種皮)이며 마르면 검은 갈색이 되는데, 말린 것을 용안육 또는 복육(福肉)이라고 한다.

용안(龍眼)은 아주 온화한 약물로서 부작용이 없고 자양 강장 효과가 뛰어나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황후가 즐겨 먹었던 식품으로 유명하며, 양귀비와 측천 무후가 미용과 건강을 위해 매일 즐겼다고 한다.

정신이 안정되고 혈색이 밝아진다. 그리고 피부가 윤택해지고 살결이 고와진다.

한방에서는 강장제, 진정제로서 건망증과 불면증에 약용한다. 자양 강장의 효과가 좋아 산후 회복기에 복용하는 습관이 중국에서는 지금도 남아 있다.

성분은 아데닌, 콜린, 당류, 비타민 A, B 등이다.

▣ 만드는 법

 ⊙ 재료

용안육 15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과당 50g / 미림 50㎖ / 벌꿀 50㎖

⊙ 담그는 법

용안육을 그대로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 5일간은 매일 술을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 후에 술을 천으로 걸러 액은 다시 용기에 담고 설탕과 과당을 넣어 녹인다.

여기에 생약 찌꺼기 1/5을 다시 용기 속에 넣고 미림, 벌꿀을 추가하여 섞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약 1 개월이 지나면 마개를 열어 액을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흑갈색의 농후한 맛과 달콤한 향기가 있는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3회, 식전이나 식사 사이에 마신다. 브랜디를 약간 넣으면 향기가  좋아진다.

 

27. 우슬술

 혈액 순환을 조절하고, 울혈 개선, 관절 동통, 요통, 냉증과 상기, 손발 저림에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우슬(牛膝)이란 이름의 유래는 줄기의 마디가 구부러져 있는 모양이 소의 무릎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방에서는 쇠무릎지기라고 한다. 약으로 쓰는 부분은 뿌리 부분이다.

우슬술은 자궁을 흥분시키고 수축을 강하게 한다. 상반신의 피를 아래쪽으로 유인하고 요퇴부의 동통(疼痛)을 줄인다. 노인의 보약으로 효과적이며, 쇠약해지는 정력을 되살리고 하반신의 기능을 강화하여 노인성 무력증을 치료한다.

성기능이 쇠퇴한 노인의 요각통, 부인의 무월경, 월경통 등에도 많이 쓰인다. 다리, 허리, 하복부를 충실하게 하고 힘이 나게 하므로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약술이다.

▣ 만드는 법

⊙ 재료

우슬 150g / 소주 1000㎖ / 설탕 150g

⊙ 담그는 법

잘게 부순 우슬을 용기에 넣고 25도짜리 소주를 부은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일 1회 가볍게 흔들어 준다.

10일이 지나면 개봉하여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 후 다시 용기에 넣는다.

생약 찌꺼기 약 1/10을 다시 넣고 설탕을 가미한 다음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2 개월 후 마개를 열고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적갈색의 독특한 맛을 지닌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식사 전에 마신다.

 

28. 육종용술

자양 강장, 강정(强精), 피로, 허약 체질, 허리의 나른함, 청력 쇠약, 통변(通便)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

▣ 재료의 약성

양귀비를 비롯한 중국 역대의 황후, 궁중의 여관(女官)들도 몰래 애용하였다고 전해진다.

강장 강정(强奬强精)을 목적으로 하는 처방에 쓰이는 대표적인 보정제(補精劑)이다.

발기 부전, 허리와 다리의 냉통등에 효과적이고, 성기능을 충실하게 하는 비약(秘藥)으로 손꼽힌다. 장기간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다.

성분은 복시니아킨, 복시니아킨산, 복시니아락톤 등이다.

▣ 만드는 법

⊙ 재료

육종용 15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미림 50㎖ / 벌꿀 50㎖

⊙ 담그는 법

잘게 썬 육종용을 용기에 넣고 25도 짜리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5일은 1일 1회 가볍게 흔들어 준다.

7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거른다. 액은 용기에 다시 담고 설탕과 미림, 벌꿀을 넣어 잘 녹인다.

생약 찌꺼기 1/10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남아있는 건더기를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흑갈색의 특이한 향기와 달콤한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2~3회, 식사 전이나, 공복일 때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29. 음양곽술

 발기 부전, 유정(遺精), 조루(早漏), 무력 권태, 기억력 저하, 노인성 치매에 좋은 효과가 있다.

▣ 재료의 약성

산지의 숲속에 자라는 매자나무과의 다년생초로 줄기는 30Cm 내외 가늘게 자라며, 선단에서 3개의 가지로 갈라진다 하여 삼지구엽초라 하며, 잎은 긴 잎자루로 난형의 소엽이 달린다. 이 잎을 말린 것을 음양곽이라 한다. 꽃은 5월에 연한 노랑색의 복총상 화서로 피며, 열매는 삭과로 등줄기가 터진다. 주로 경기도 이북지방에 산지의 나무밑에 분포한다. 선령비, 방장초, 엽장초, 천량금, 건계근, 황련조, 강전  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리운다.

중국 사천지방에 양을 치는 목동이 있었는데 숫양 한마리가 유독 많은 암양을 거너리는 것을 보고 의아하게 여겨 숫양을 따라가 보니 어떤풀을 열심히 뜯어 먹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 목동도 그 풀을 뜯어다 끓여 먹었더니 정력이 왕성해졌다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 즉 양이 먹으면 음란해진다 하여 음양곽이라 한다. 그래서 음양곽은 정력을 강하게 하고 건망증을 예방하는데 특효가 있다.

신허(腎虛)로 인한 노인성 치매, 하반신 무력, 권태에 효과가 크다. 음양곽의 최음 작용은 정액의 분비가 왕성해지는 작용 때문에 생기는 것인데, 정낭의 충만(充滿)으로 인한 지각 신경계의 자극에 의해 간접적으로 흥분이 일어나는 것이라 한다.

▣ 만드는 법

⊙ 재료

음양곽 6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잘게 선 음양곽을 용기에 넣고 25도짜리 소주를 넣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처음 4, 5일 동안은 때때로 액을 흔들어 준다.

10일 정도 지나면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거른다.  액은 다시 용기에 붓고 설탕과 과당을 넣어 녹인다.

여기에 생약 찌꺼기 1/5을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마개를 열어 남아있는 건더기를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호박색이 나는 씁쓸한 맛의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30㎖, 1일 2~3회, 식전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30. 익모초술

산후의 생리 이상, 일반 생리 불순, 부인의 보건약으로 특히 유명하다.

▣ 재료의 약성

꿀풀과의 두해살이풀로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육모초라고도 불리운다. 가지가 갈라지고 줄기 단면은 둔한 사각형이며 흰 털이 나서 흰빛을 띤 녹색으로 보인다. 잎은 마주나는데,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원형이며 둔하게 패어 들어간 흔적이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3개로 갈라진다.

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이 풀의 농축액을 익모초고(益母草膏)라고 하는데, 혈압강하, 이뇨, 진정, 진통 작용이 있다고 한다.

혈액 순환 개선제이다. 월경을 조절하고 혈독(血毒)을 해소시키므로 주로 여성에게 쓰인다. 일종의 자궁 흥분제로서 자궁근의 수축과 긴장을 현저히 늘려 주는 작용이 있어 여성의 생식 기능 저하로 인한 불임증에 많이 쓰인다.

성분은 결정성 알칼로이드인 레오눌린 A 및 B, 피트스테린, 레오눌리진, 수지 등이다.

▣ 만드는 법

⊙ 재료

익모초 150g / 소주 1000㎖ / 설탕 10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잘게 썬 익모초를 용기에 담고 20도 짜리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일 1회,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 준다.

7일 후에 마개를 열어 건더기를 천으로 거른다. 액은 다시 용기에 담고 설탕, 과당을 넣어 녹인다.

여기에 생약 찌꺼기 1/5을 다시 용기에 넣고 밀봉한 다음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개월 후에 나머지 건더기를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다.

갈색의 약간 씁쓸한 맛이 일품인 약술이 완성된다.

▣ 음용법

1회 20㎖, 1일 3회, 식전 또는 식사 사이에 마신다.

'▒▒ 건강 이야기 ▒▒ > 약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방약술5  (0) 2006.07.20
한방약술4  (0) 2006.07.20
한방약술2  (0) 2006.07.20
한방약술1  (0) 2006.07.20
효능으로 살펴본 건강약술  (0) 2006.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