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피부 질환에 대한 민간 약초 요법 본문
피부질환은 너무 광범위 해서
실제로 눈으로 확인하고 촉진이나 문진을 해 봐야만 알수가 있답니다
여러가지 증상으로 발병을 하게 되지만
신체에서 장기의 이상으로 ( 위장장애 신경 장애 등등~~~)
생기는 피부질환은 장기의 근본치료를 하지않으면
오랫동안 고생을 하게 된답니다
다음에 적어드리는내용은 일반적인 피부질환이므로
치료가 가능 하지만 장기의 이상으로 오는 피부질환은
이상이 있는 장기를 치료 해야만 완치가 가능 하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아시고 싶으신분은
자세한 증상을 올려 보세요
제가 알고있는 부분 까지는 알려 드리겠읍니다
피부질환
농가진 및 화농성피부염
농가진 :
피부가 구균에 감염되어 얕게 곪는 병이다.
주로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으로 인해 피부와 노출된 부위와 털구멍이
감염되어 생기는데
여름철에 많다.
얼굴과 팔, 다리의 피부에 붉은 반점이 생기거나 작은 물집이나 농양이 생기고 딱지가 생긴다.
신염이나 신우신염이 같이 올
수도 있다.
화농성 피부염 :
하농성 균의 감염으로 인하여 피부가 곪는 병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머리, 얼굴, 목, 팔, 다리 등
노출된 부위가 가렵고 붉은 반점이나 작은 물집이 생겨서 곪는다.
대개 온몸증상이 없지만 혼합감염되거나 자가감염으로 온 몸에 퍼지면 열이
나고
임파선이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농양이 터지면 딱지가 생기거나 바로 아문다.
① 희렴(진득찰) 300그램, 다릅나무껍질 500그램, 위령선 200그램을 잘 섞어서솥에 넣고
약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끓인다.
충분히 끓인 다음 물을 걸러내고 다시 물을 붓고 3번 달여 걸러낸다.
이렇게 걸러낸 것을 합쳐 물엿처럼 될 때까지 달여 피부에 바른다.
② 농피증-황금 황련 대황을 가루 내어 여기에 같은 양의 콩기름을 섞는다.
솜을 여기에 담갔다가 아픈 부위에 붙이고 붕대를 감는다.
하루 걸러 한 번씩 5-8번 치료한다. 70퍼센트 효험.
백선(흰버짐)
보골지 300그램을 잘게 씻어 잘 말려서 부스러뜨린다.
이것을 체로 쳐서 70퍼센트 알코올을 3배 붓고 5일 동안 60도 이하에서
우린다.
추출액을 거르고 찌꺼기에 2배량의 알코올을 다시 붓고 3일 동안 우린다.
이것을 거르고 다시 찌꺼기에다 같은 양의
알코올을 붓고 하룻동안 우린다.
이렇게 3번 우린 액을 합하여 500밀리리터가 될 때까지 감압멸균한다.
따로 양제근 150그램에 물을 3-5배 붓고 6-8시간 끓여서 우리고 찌꺼기에
다시 4-6배 물을 붓고 끓여서 우린 뒤 여과액을 합하여 150밀리리터가 되게 졸인다.
보골지 팅크 500밀리리터에 양제근추출액 150밀리리터를 넣어 유동액기스를 만든다.
보골지팅크를 하루 한 번 아픈 부위에
바른 뒤 30분 뒤에 20-30분 동안 햇볕을 쪼인다.
치료는 15일 바르고 5일 휴식하고 다시 15일 바르는 방법으로 한다.
하루 한 번 이상 바르면 약물로 인한 화상이 생기므로 주의해야 한다.
1치료주기를 40일 로 한다
무좀
백선균과 피부사상균이 발과 손에 감염되어 생기는 사상균성 피부병이다.
손과 발을 잘 씻지 않을 때, 손과 발에서 땀이 많이 날 때,
젖은 양말과 어지러운 신발을 신을 때, 무좀이 있는 사람의 양말이나 신발을 신거나
장갑 같은 것을 끼거나 할 때 무좀균이 옮겨 붙을 수 있다.
발에는 둘째-다섯째 발가락 사이의 연한 피부와 발바닥, 발가락옆둘레,
손에서는 손가락끝과 손톱, 손바닥 등에 흔히 생긴다.
피부가 약간 붉어지고 작은 물집이 생기는데 어떤 것은 헤지면서 헐고
어떤 것은 마르면서 버짐 같은 것이 생겨 떨어진다. 몹시 가려운 증상도 있다.
대로 구균들이 임파선염이나 임파절염을
일으킨다.
발바닥, 손바닥에 생기면 비듬이 많이 일어나거나 각질이 증식하며
손, 발톱에 생기면 손톱, 발톱이 변형되고 백색을 띠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① 황백가루 400그램, 고백반 100그램, 개쓸개 20그램,
술파민 가루 100그램을 쌀겨기름 2000밀리리터에 개어서 고루 섞어 잘 개어서 연고가 되게 한다.
하루 한 번씩 먼저 무좀 부위를
소독하고 약을 바른다.
약을 바르는 3-4일 동안 발을 적시는 일이 없게 해야 한다.
상처에 혼합감염이 있을 때에는 아연화를 발라서 감염을 없애고
약을 바른다.
재발을 막기 위해서 7-15일 동안 비눗물로 발을 씻지 말아야 한다
.
300명을 7일 치료한 결과 가려움증 300 중 280, 통증 60 중 51,
열나는 것 60중 54명이 완치. 11일 치료로 97퍼센트 효과. 6개월동안 재발한 사람 전혀 없음.
습진
피부 겉면에 염증이 생기는 알레르기성 질병이다.
기계적 원인, 화학적 원인, 물리적 원인, 생물학적 원인, 신경계통의 장애,
내분비기능의 장애,
물질대사의 장애, 위 및 간장의 장애 등과 연관이 있다.
급성 습진은 몹시 가렵고 붉은 반점이 생기거나 피부가 짓무르거나
물집이나 고름이 생기고
미란이 생기거나 작은 딱지가 생기는 등 증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물집이나 염증은 쉽게 터지며 터진 곳에서 진물이 나온다.
만성습진은 급성습진이 여러 번 반복되면서 생긴다.
발진은 국부에 한정되어 있고 두꺼우며 피부가 가라않거나 색깔이 바뀌며 몹시
가렵다.
① 도꼬마리 열매 20그램, 우엉씨 10그램, 민들레, 인동꽃, 연교 각 8그램, 형개, 방풍, 감초 각 4그램, 선퇴 2그램을 한 첩으로
하여 하루 2첩씩 물에 달여 40일 동안 복용한다.
5일 만에 나은 것이 5, 10일 안에 나은 것이 10, 52명 중에서 나은 것이
22, 좋아진 것이 18, 효과없는 것이 12, 유효율 76.9퍼센트.
② 연교, 인동꽃, 황기 각 10그램, 우슬 4그램, 백출 6그램, 황백 감초 황금 황련 대황 각 5그램을
한 첩으로 하여 약탕관 에 넣고 물을 5배쯤 부은 다음 2시간 동안 달여서 거른다.
2첩을 달여 거른 찌꺼기를 약탕관에 두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재탕하여 거른 찌꺼기를 얻는다.
이것을 한 번에 100밀리리터씩 하루 3번 밥먹기 30분 전에 먹는다.
15일 복용하고 5일 쉬었다가 복용한다.
건선
표피세포의 이상증식과 만성염증성 구진을 바탕으로 하는 각질증식성 피부병의 하나이다.
원인은 내분비장애, 유전적 원인, 신경세포이상,
알레르기 감염,
물질대사 이상 등의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뚜렷한 것은 없다.
처음에 작은 홍반 구진이 생기고 점차 커지면서 겉면에 은백색을 띤
백색의 비늘 같은 것이 두껍게 생긴다.
발진의 모양과 경과에 따라 점모양 건선, 돈잎모양 건선,
지도모양 건선, 고리모양 건선 등이 있으며 비늘을 긁으면 피가난다.
피부를 자극하면 피부를 따라 발진이 생긴다. 팔과 다리의 펴는 쪽 특히 무릎과 팔굽에 잘 생긴다.
① 조각자나무 가시와 분지나무 가시를 3 : 2의 비례로 섞어 부드럽게 가루 내어
꿀이나 물엿으로 한 알이 1.5그램 되게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10알씩 밥먹고 나서 먹는다.
1-2개월 복용한다. 이와 함께
주엽나무 껍질을잘게 썰어서 1-2시간 달인 물로 하루 1번 10-15분 동안 목욕을 하면 효과가 더 빠르다.
② 주엽나무가시 67그램, 분지나무 가시 24그램,
회화나무꽃 오갈피 황기 나팔꽃씨 우엉씨 각 20그램, 울금 18그램을 무두 부드럽게 가루내어
고루 섞은 다음 꿀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한 번에 4그램씩 하루 2번 밥먹고 나서 먹는다. 2-3개월 복용한다.
민간 요법은 실제사용 하신분들의 경험방이며 같은 증상 일지라도
개개인의 체질 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가 있답니다
정확한 체질 구분만이 빠른 치료의 지름길 이랍니다 ★
'▒▒ 건강 이야기 ▒▒ > 토종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주변의 약초이야기 / 삽주뿌리 (0) | 2006.06.17 |
---|---|
강장 효과가 아주좋은 칡뿌리 (0) | 2006.06.17 |
검은콩(쥐눈이콩) . 흑미 ( 검정색 현미) 검은깨의 비밀 (0) | 2006.06.17 |
구기자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 ~~~. (0) | 2006.06.17 |
거담제 역할을 하는 도라지 (0) | 2006.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