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등산 계획과 준비 등산도 여행의 일종이지만,휴양지 여행과 같이 돈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여행은 아니다. 상대는 자연이다. 몸의 상태를 완벽하게 해두는 것은 물론, 장비나 계획, 행동을 함께 하는 동료의 구성, 돌발상황에 대처하는 방법 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준비 단계에서부터 등산의 즐거움이 시작되는 것이다
|
| |
|
2. 장비의 종류와 선택 방법 몇 년 전만 해도 등산 장비의 외관은 전혀 상관이 없었다. 산에 오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장비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멋있고 기능도 좋은 용품들이 속속 등장, 보다 쾌적하고 편리하게 산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좋은 도구를 갖추고 산을 오르는 것은 생각만으로도 즐겁다. 장비만 멋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장비가 좋으면 등산도 더욱 즐거워진다. 자신의 산행 스타일에 맞게 가능한 한 좋은 등산 용품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
| |
3. 등산 테크닉 입문 등산의 테크닉이나 체력은 사행을 거듭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익혀지지만, 절대 과신해서는 안 된다. 산에서는 어떠한 위험이 기다리고 있는지 전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이다. 편안하게 산을 즐기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항상 사고에 대한 준비를 철저히 하면서 주의력을 갖고 행동해야 한다. 어떻게 하면 안전한지, 어떠한 방법으로 걸으면 편안한지, 몸이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을 때까지 의식적으로 기억해 두도록 하자.
|
|
|
4. 산을 즐기는 법 산에는 등산로를 걷고 정상에 서는 것 이외에도 여러 가지 즐거움이 있다. 산에서의 점심 식사나 모두 함께 만드는 저녁 식사, 테트에서 묵는 하룻밤도 신선한 경험이다. 자연 속으로 들어가 꽃을 보거나 야생 동물을 관찰하는 등 산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익혀 두자. 또한 그 순간을 스케치나 사진, 글로 기록하는 것도 좋다. 등산의 묘미는 산에 대해 많이 알수록 커지게 된다.
|
| |
|
|
5. 이것을 알면 등산이 보다 즐거워진다 일상 생활에서는 특별히 노력하지 않아도 정보가 들어오고, 특별히 머리를 쓰지 않아도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산에서는 그렇지 않다. 지형을 읽고 기후의 변화나 위험 예측도 모두 자신이 직접해야 한다. 자기 자신의 판단력이 등산을 보다 즐겁고 안전하게 해준다. 산에서 필요한 정보를 어떻게 얻을 것인지, 그것을 어떻게 행동으로 옮길 것인지 등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몸에 익혀두도록 하자
| |
|
6. 산에서의 매너 매너를 모르는 등산 애호가가 늘고 있다. 쓰레기를 아무렇게나 버리는 사람, 계곡에서 그릇을 씻는 사람, 고산 식물을 뜯어 가는 사람 등 자신만 좋으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산에 들어갈 자격이 없다. 산에 대해 인간은 훼방군이다. 엄밀히 말하면 사람이 들어가지 않는 것이 산에는 가장 좋다. 이런 점을 명심하고, 항상 겸허한 자세로 산을 대하도록 하자.
|
| |
|
|
7. 비상 대처법 산에는 즐거움의 이면에 위험이 숨어 있다. 사소한 판단 실수나 순간의 방심이 목숨과 연관되는 경우도 있다. 결코 산을 가볍게 보지 않고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만일 사고가 생기면 냉정하게 판단하여 최선의 방법을 치하도록 한다. 올바른 지식과 기술이 있으면 분명 위험은 줄어든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