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택지의 모양과 길흉화복 본문
알면 알수록 건강에 보탬이 되는 생활풍수
자연환경의 조건을 고려하여 대지 또는 택지를 선택하였으면 다음으로 택지의 모양과 크기를 살펴야 합니다. 택지의 모양은 천차만별로 다양합니다. 택지가 크고, 작고, 넓고, 좁고, 둥글고, 모지고, 곧고, 굽고, 아름답고, 추하고 이밖에도 셀 수 없을 정도의 다양한 대지의 생김새가 있습니다. 이 많은 대지나 택지의 모양을 보고 일률적으로 길흉화복을 논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러나 건물과 균형이 이룰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의 땅이 있어야 하고, 평탄원만해야 택지로 모아진 지기와 천기가 모두 안정되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택지의 선정에는 반듯하고 평탄한 곳으로서 단조롭고 무결(無缺)한 곳을 우선적으로 찾아야 합니다. 토색이 좋은 택지가 길하다 사람은 누구나 땅을 의지하고 땅 위에서 한평생을 살다가 죽어서 다시 땅으로 들어갑니다. 따라서 땅은 산사람의 주거지든 죽은 사람의 묘지든 매우 중요합니다. 좋은 땅은 흙의 색깔이 오색토(五色土)이면서 밝고 유연합니다. 오색토란 붉고(홍,紅), 노랗고(황,黃), 하얗고(백,白), 검고(흑,黑),자주빛(자,紫)이 나는 흙이 서로 섞여있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꼭 이 다섯 가지만 가르키는 것은 아니고 밝은 색이 나는 여러색깔의 미세한 입자의 흙이 단단하게 서로 결합하여 섞여있는 것을 뜻합니다. 이를 홍황자윤(紅黃紫潤)이라고 표현하는데 오색토가 결합하여 더욱 윤기가 나는 땅이기 때문입니다. 또 생기가 뭉쳐있는 땅은 단단하면서도 부드러워 견고유연(堅固柔軟)하다는 표현을 씁니다. 택지는 무엇보다도 토색(土色)이 좋아야 합니다. 토색이 좋다는 이야기는 그만큼 지기가 좋다는 것과 상통하는 말입니다. 기가 없거나 빠져버린 무기허모(無氣虛耗)한 땅은 재빛 회색(灰色)이거나 검은 흑색(黑色)으로 윤기가 없습니다. 양명(陽明)한 기운이 감도는 생토(生土)에 집을 짓고 사는 사람은 정재병발(丁財竝發, 사람과 재물이 함께 흥함)에 무병장수하며 대대로 안거(安居)할 수 있습니다. 옛말에 황백색(黃白色)이 자윤(滋潤)하면 재관제래(財官齊來, 재물과 벼슬이 함께 들어옴)하고, 자황색(紫黃色)이 자윤(滋潤)하면 재관운(財官運)과 건강운이 좋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무기력한 사토(死土)에 집을 짓고 살면 정재불흥(丁財不興, 사람과 재물이 흥하지 않음)에 병고상정(病苦傷丁, 병들어 고통스럽고 결국 장정이 다침)합니다. 사토는 일반적으로 비가 조금만 오면 진수렁이 되었다가도 비가 오지 않으면 흙먼지가 휘날리는 점토질(粘土質)의 땅, 자갈과 왕모래가 섞여있는 퇴적토(堆積土)등을 말합니다. 요즈음 택지개발 현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매립지나 심하게 절토(切土)한 땅은 좋지 않습니다. 그러나 불가피하게 보토(補土)를 해야 할 경우는 생땅인 생토(生土)를 파다가 보토를 해야지 진흙, 모래, 자갈 등이 섞여진 땅을 가지고 보토하면 안좋습니다. 또 땅을 깎아 정지(整地)할 때는 부토(腐土, 낙엽 등이 섞여 흙으로 된 것)를 걷어내고 신선한 생토 위에 집을 지어야 합니다. ☞ 집터로 쓰지 말아야 할 땅 늪지, 천변(川邊), 연못, 호수를 매립한 땅 이러한 곳은 물이 드는 곳으로 집에 습기(濕氣)가 많아 집의 수명과 거주하는 사람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본래 습지(濕地)에는 무성한 풀이 자라있을 것인데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객토(客土, 다른 곳에서 가져온 흙으로 덮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습기도 많은데다가 물풀들이 섞어서 내는 독성의 가스가 집으로 스며들어 가족들을 병자 또는 신체 허약자로 만듭니다. 아무리 좋은 생토(生土)를 가져다 보토(補土)를 했다 하더라도 이러한 곳은 피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산을 절개한 땅 산을 절개하여 택지로 개발한 곳은 아직 지기가 탈살(脫煞)되지 않은 곳이 많습니다. 또한 산의 절개(切開)한 면과 건물 사이로 골이 형성되어 강한 바람의 통로가 됩니다. 골바람은 강한 살풍(殺風)이 되어 지기를 흩어지게 하고 동물이나 식물의 생장에 큰 장애를 줍니다. 심하면 바람소리가 항시 윙윙거려 정신착란과 같은 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거주자는 정신이 산만하여 집중이 안되므로 자녀들의 학업부진은 물론 일의 성과도 없습니다. 또 산의 절개로 인하여 축대붕괴와 같은 위험이 존재하게 됩니다. 골짜기를 보토한 땅 골짜기에 옹벽을 쌓고 흙을 메워 택지를 개발한 곳은 지반이 약할 뿐만 아니라 엄청난 수맥을 받습니다. 골짜기는 본래 물이 흐르는 곳입니다. 보토를 했다 하더라도 지하로 스며든 물들은 본래 물길인 골짜기로 모여들어 흐르게 됩니다. 토사 유출로 지반의 침하(沈下)가 우려되고 심한 즉 건물붕괴의 위험이 있습니다. 골짜기는 바람도 유통되었던 곳입니다. 바람이 옹벽에 부딪혀 회오리나 광풍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곳은 사람이 오래 살곳이 못됩니다. 오래 살면 요통과 두통 등 병에 시달리고 건강과 의욕 상실로 일의 성과가 없습니다. 결국 파산하는 흉한 택지입니다. 큰 공장이 서 있던 땅 큰 공장이 있던 자리는 기계 돌아가는 진동으로 인하여 오랜시간 지기가 흔들렸기 때문에 기가 흩어졌을 확률이 높습니다. 아무리 단단한 혈지(穴地)라도 지기가 흔들렸다면 이미 죽은 땅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또 공장의 폐수나 오염물질로 인하여 토양이 섞였을 수도 있습니다. 불가피하게 이러한 곳에 집을 지을 때는 깨끗한 흙이 나올 때까지 파내고, 좋은 객토(客土)로 보토한 다음 다지기를 철저히 해주어야 합니다. 재래식 화장실, 축사, 두엄, 쓰레기 매립지였던 땅 재래식 화장실이나 축사, 퇴비와 축사의 배설물을 쌓아 놓았던 두엄, 쓰레기 매립지 등은 악취와 부패 가스로 나쁜 영향을 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불가피할 경우에는 오물이 스며든 곳까지 완전히 흙을 파낸 다음 깨끗한 생토로 보토하여 다지기를 철저히 해주어야 합니다. 고목이나 큰 나무가 서 있던 땅 고목(古木)이나 큰 나무가 서 있던 땅은 나무뿌리가 땅속으로 뻗어 지기를 다 파헤쳐버렸을 가능성이 큽니다. 비록 나무는 잘랐다 하더라도 뿌리가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나무뿌리가 있는 곳으로 물이 스며들고 바람이 들어 가족 중에 정신질환자가 나오는 등 좋지 않은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또 큰 나무가 있는 집터는 무성한 나뭇가지로 양기인 햇볕을 차단할 뿐 아니라 각종 곤충이나 해충들이 붙어 질병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오행(五行)으로도 목극토(木剋土)하여 지기를 괴롭히고, 수생목(水生木)하여 집터의 지기를 보호하는 수기(水氣)를 모두 흡수합니다. 나무뿌리는 가지가 옆으로 퍼지는 만큼 뻗는다고 합니다. 집안에 나무를 심을 때는 최소한 나무의 높이만큼 간격을 두고 심어야 하고 나뭇가지가 지붕 위로 뻗어서는 안됩니다. 암석이나 자갈이 많은 땅 바위나 돌멩이들이 날카롭고 뾰족뾰족하게 있는 땅은 살기(殺氣)가 있으므로 집터로 옳지 않습니다. 아직 탈살(脫煞)이 덜 된 곳으로 지기 역시 날카롭고 예리하게 작용합니다. 이러한 곳에 집을 짓고 오래 살면 큰 흉화(凶禍)를 당할 수 있습니다. 점토가 많아 질퍽거리는 땅 끈끈하게 찰진 점토질의 토양은 배수가 되지 않아 습기가 많고 질퍽거립니다. 항상 음습(陰濕)하므로 건강을 헤치기 쉽고 각종병에 자주 걸립니다. 자고 일어나면 개운하지 않고 몸이 무겁습니다. 이러한 곳에 오래 살면 의욕이 떨어져 일의 성과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결국 파산하고 단명(短命)합니다. 먼지가 자주 일어나고 부석부석한 땅 미세한 입자의 흙이 바람이 불면 뿌옇게 먼지로 되었다가 비가 오면 곤죽이 되어 질퍽거리는 땅입니다. 비록 풍화가 잘되어 미세한 입자로 되었으나 흙에 생기가 없다보니 서로 결합을 못합니다. 건조했을 때 밟아보면 신발이 푹푹 빠져 자국이 남습니다. 이러한 곳은 지기가 없는 곳으로 집을 지으면 발전이 없습니다. |
▣ 길격 택지 모양과 흉격 택지 모양 ☞ 길격 택지 모양 ●방정원만(方正圓滿, 네모 반듯하고 둥그런 땅)한 택지는 가화형통(家和亨通, 집안의 모든 일이 순조롭게 풀림)에 식산가부(殖産家富, 가업이 번성하여 부자가 됨)한다. ●충만평탄(充滿平坦, 평평한 땅이 꽉 찬 느낌이 드는 곳)한 택지는 정재창성(丁財昌盛, 가족과 재산이 번창함)에 안거고수(安居高壽, 살기에 편안하고 무병 장수함)한다. ●전면충만(前面充滿, 택지의 앞이 평탄원만함)한 택지는 대발치부(大發致富, 크게 발전하여 큰 부자가 됨)에 인정흥왕(人丁興旺, 가족들도 잘 되어 크게 번창함)한다. ☞ 흉격 택지 모양 ●다각복잡(多角複雜, 각이 많고 복잡하여 산란한 땅)한 택지는 빈번재앙(頻繁災殃, 재앙이 빈발함)에 퇴산상정(退産傷丁, 가업도 망하고 사람도 다침)한다. ●요함돌출(凹陷突出, 한쪽이 푹 파이거나 심하게 돌출한 땅)한 택지는 다재다난(多災多難, 재앙과 어려움이 많음)한다. ●사비경도(斜飛傾倒, 땅이 기울고 경사진 곳)는 가빈여세(家貧如洗, 집안이 가난하여 빈털터리가 됨)에 종내퇴향(終乃退鄕, 마침내 고향을 떠난다)한다. |
▣ 택지와 도로의 관계 도시에서 택지를 선정할 때 주변 도로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택지와 도로를 음양의 관계로 따지자면 택지는 움직이지 않는 음(陰)이고, 차와 사람이 다니는 도로는 움직이는 양(陽)으로 봅니다. 마치 사람과 차들의 이동이 하천이나 강에 흐르는 물과 같다고 보는 것입니다. 풍수지리는 음과 양이 얼마만큼 균형과 조화를 이루며 교합(交合)하느냐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따라서 도로를 물로 보고 수세론(水勢論)과 똑같은 이론을 적용하면 됩니다. ☞ 길한 도로란 도로가 택지를 감싸듯 완만하게 굽어 있는 곳이 좋다 물이 혈지를 금성환포(金星環抱)해주듯 도로가 택지를 완만하게 감싸주는 형태로 있으면 길합니다. 도로가 택지의 정면과 평탄하게 평행으로 나있으면 좋다 반듯한 도로가 택지 앞을 평행으로 나있고, 경사지지 않고 평탄하면 완만하게 굽은 것보다는 못하지만 길한 형태입니다. 택지보다 낮은 도로는 좋다 앞에 나있는 도로가 택지보다 낮아야 배수가 잘되고, 도로에서 나오는 매연과 먼지, 소음 등의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적당한 넓이의 도로가 좋다 택지는 음이고 도로는 양입니다. 음과 양이 항상 균형을 이루고 조화가 되어야 길한 택지입니다. 택지는 작은데 도로가 넓으면 음은 작은데 양이 커 조화가 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택지는 넓은데 도로가 좁아도 좋지 않습니다. ☞ 흉한 도로란 도로가 등을 돌리고 있는 택지는 좋지 않다 양인 도로가 음인 택지를 등을 돌리고 있으면 음양교합을 이룰 수가 없습니다. 마치 물이 용혈을 반배(反背)하는 형상입니다. 이러한 곳은 재산을 모을 수 없는 곳입니다. 경사진 도로는 좋지 않다 경사진 도로는 양기를 머물게 할 수 없습니다. 수관재물(水官財物)이라 했으니 도로가 경사지면 재산을 관장하는 물도 급히 흘러가게 됩니다. 이러한 곳은 가산이 빨리 패하는 곳입니다. 도로가 택지를 향하여 똑바로 난 곳은 좋지 않다 도로가 택지 정면을 혹은 옆을 직선으로 치고 들어오는 형태로 나있으면 비명횡사(非命橫死)와 같은 화를 당할 수 있으며, 재산 또한 급히 망합니다. 택지 앞으로 일직선으로 내려가는 도로는 좋지 않다 택지 앞으로 도로가 급하게 경사져 내려가는 곳은 온 재산을 끌고 내려가는 형상입니다. 이를 수세론(水勢論)에서는 견동토우(牽動土牛)라 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도로가 있으면 지극히 흉하여 사람과 재산이 같이 망하게 됩니다. 택지를 대각선으로 비켜가는 도로는 좋지 않다 택지 옆에서 이어진 도로가 앞으로 오지 않고 비껴 가는 곳은 마치 청룡이나 백호가 비주(飛走)한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곳에서는 재산이 모일 수 없습니다. 택지보다 높은 도로는 좋지 않다 택지가 도로보다 낮으면 비가 왔을 때 도로의 오염된 물이 집으로 침범할 수 있고, 평상시 도로의 온갖 오염된 먼지와 매연등이 집으로 들어와 집안의 기를 혼탁하게 합니다. 가족들의 건강을 해치고 뜻하지 않은 흉화(凶禍)의 우려가 있습니다. 도로가 삼각점을 이루는 곳은 좋지 않다 직선으로 된 도로가 양쪽에서 나와 택지 앞에서 만나 삼각점을 이루는 곳은 마치 두개의 칼이 마주치는 형상입니다. 비록 사람의 눈에 잘 띄고, 사람과 차들이 모이는 장소라 좋을 것 같아도 항상 시비와 싸움이 끊이지 않는 곳입니다. 또 재산상의 손실과 화재의 우려도 있습니다. 이러한 곳에 건물을 지을 때 도로와 접하는 부분을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빈터로 놔두고 도로변에 가로수를 심어 살기(殺氣)를 차단하면 어느 정도 흉함을 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집터로는 부적합하고 상가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택지 뒤의 도로는 좋지 않다 택지 뒤에 있는 도로는 지기(地氣)를 전달해주는 용맥을 절단시켰을 가능성이 큽니다. 또 뒤가 안정되어 있어야 하는데 차와 사람의 유통으로 항상 불안한 심리를 가지게 됩니다. 배산임수의 원칙과 어긋나는 형상이므로 더욱 좋지 않습니다. 이러한 곳은 병치레가 많고 예기치 못한 흉화를 당할 염려가 있습니다. 택지에 비해 너무 넓은 도로는 좋지 않다 택지는 음이고 도로는 양입니다. 너무 넓은 도로가 작은 택지를 제압하는 형상이니 자손이 왕성하게 번창하지 못하고 부진합니다. 재산 또한 모이지 않고 흩어지고 맙니다. 그러나 도로 넓이에 맞는 택지와 건물이라면 오히려 크게 발전할 수 있습니다. 택지를 사면으로 둘러싼 도로는 좋지 않다 택지를 사면으로 도로가 둘러싸고 있다면 우선 고립을 뜻합니다. 항상 불안하여 정신적 고통을 많이 받게 됩니다. 또 건강과 재산 모두를 잃게 됩니다. |
'▒▒ 생활 이야기 ▒▒ > 생활풍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로 본 아파트 (0) | 2006.10.02 |
---|---|
'부자가 되는 거실'을 위한 인테리어 (0) | 2006.10.02 |
부부금실에 분홍빛으로.... (0) | 2006.10.02 |
가장 길한 곳에 집을 짓기 위한 체크사항 (0) | 2006.09.26 |
체질로 알아보는 부부궁합 (0) | 2006.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