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필터 본문
필터는 렌즈의 앞이나 뒤 또는 중간에 끼워서 필름면에 닿는 빛의 질을 바꾸거나 양을 조절하여 의도하는 사진을 얻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표면이 정밀 가공되고 이미지에 손상을 주지 않는 양질의 것이어야 한다. 일반 촬영용 필터에는 주로 흑백사진 촬영에 사용되는 모노크롬용 필터, 컬러 사진 촬영용 필터 및 흑백사진과 컬러 사진에 공용되는 필터 등이 있다. 이러한 필터는 그 재료에 따라 유리 필터, 젤라틴 필터, 아세테이트 필터로 분류 되는데 유리 필터는 광학특성이나 강도가 뛰어나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있는데 필터에 따라 파장에 대해 다른 흡수 특성을 갖도록 코팅이 되어 있으며, 바깥 둘레의 금속테에 그 필터의 사이즈와 명칭이 표시되어 있다. 또 젤라틴 필터에는 젤라틴 시트 그 자체 말고도 두장의 투명 유리판으로 샌드위치 시켜 금속테에 끼워넣은 것도 있다.
스크루식 필터
대부분의 스크루식 필터는 재질이 유리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리 필터는 광학적 처리(연마)로 강도가 뛰어나 열이나 습기에 강하고 손으로 다루기가 편리하다. 스크루식 필터에는 구경이 다른 각종 교환렌즈에 맞는 여러 종류의 사이즈가 있고, 렌즈 앞부분에 나사식으로 끼워 사용하는 것도 있다.(렌즈의 앞이 반구형으로 된 어안렌즈에는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초망원렌즈처럼 구경이 큰 렌즈에는 렌즈의 뒷부분 연결부위에 끼워넣는 방식도 있다. 필터의 앞쪽에는 암나사가 있어서 후드나 렌즈 캡 등과 결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편광 필터는 필터 앞쪽의 암나사는 뒤쪽의 연결용 수나사보다 크게 되어 있다. 편광 필터에는 회전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서 파인더로 그 효과를 확인 할 수가 있다.
사각평형 필터
이 필터는 경합금으로 된 반듯한 사각테(평형테)에 끼워져 있는데, 스크루식 필터와는 달리 단독으로 렌즈에 끼울수가 없으므로 전용의 필터 홀더를 사용하든가, 홀더 겸용의 렌즈 후드 사이에 끼워서 사용한다. 이러한 평형 필터는 코닥의 라텐(Wratten)필터 시리즈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사각평형 필터는 아크릴이나 아세테이트를 염색하여 만든 필터로서 특수한 표현을 위한 필터가 많으며 모양이나 장착방법은 젤라틴 필터의 형식과 같다. 유리 필터와 같이 단단하고 취급과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젤라틴 필터
젤라틴 필터는 젤라틴 용액에 여러가지의 염료를 혼합하여 젤라틴 두께가 0.1~0.01mm로 되도록 엄격하게 만들어진 얇은 막(sheet) 모양으로, 종류가 다양하고, 절단 가공이 쉬우며, 얇기 때문에 2장 이상을 겹쳐서 사용할수 있다는 점 등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열이나 습기에 약하고, 퇴색되기 쉬우며, 때가 잘 지워지지 않는 등의 결점이 있으므로 사용시에 주의를 요한다. 코닥의 젤라틴 필터는 분광특성(分光特性)이 다른 것이 1백여 종이나 있지만, 여기서는 컬러 사진 촬영용 LB (Light Balancing) 필터 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젤라틴 필터를 사용하려면 홀더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젤라틴 필터 홀더에는 스크루 필터와 같은 것이 있는데, 어느것이나 다 렌즈의 앞부분에 연결하고, 앞과 뒤의 고정틀 사이에 3*3인치 크기의 젤라틴 필터를 끼워서 사용한다. 이들 홀더 앞테의 나사구경은 렌즈 연결 나사구경보다 크게 만들어져 있다.
흑백용 필터
1. 흑백용 필터란?
정물 사진(피사체와 배경)에서와 같이 개선된 색조의 분리는 언제나 강한 필터를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다양한 색들이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고려해야 한다. 만일 색조의 분리를 밝은 색 필터로 할 수 있다면 낮은 필터 배수 때문에 어두운 필터보다 선호해야 한다. 광선의 색 경향을 필터로 색을 거르는 정도와 관련시켜 생각할 때 흑백 필터는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엷은 노랑 필터가 아침에 가장 좋은 경우 오후에 같은 장면을 촬영하려면 강한 청색을 보충하기 위하여 더 짙은 필터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현대의 판크로매틱 필름은 녹색, 초록색, 노랑 그리고 밝은 오렌지색을 인간의 눈 에 보이는 것보다 약간 더 어둡게 나타낸다. 피사체가 중요한 디테일을 이들 색 중의 한 색으로 되어 있다면 약간의 반대색 필터를 권한다. 얼굴의 디테일이 나타나는 인상 사진 및 단체 사진은 엷은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눈 색의 재현의 분명한 변화를 거의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색 필터는 약 한 피부의 얼룩도 강화하는 경향이 있다.
·UV (라텐 2C, 2B) 필터
이 필터는 UV(Ultra Violet) 또는 헤이즈커트 필터(Haze Cut Filter)로도 불리는 무색 필터로 자외선만을 흡수하며 다른 가시광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자외선이 많은 장소. 즉 직사일광하에서 공기가 맑은 산악, 해변, 설경 등의 원경촬영에 사용하면 흑백사진에서는 콘트라스트가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고 또 컬러 사진에서는 청자색으로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외선의 흡수 효과는 라텐 필터 2C보다 2B가 더 크므로 눈 덮인 계곡이나 고산지대, 여름의 해변같은 데서는 2B가 더 효과적이다. 또 이들 필터는 노출배수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것을 끼운 채 모든 촬영을 할 수가 있으나, 2A는 400 ∼ 430nm를 다소 흡수하므로 일반 컬러 촬영에서는 약간 황색기를 띠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렌즈 보호를 겸한 상용 필터로서는 컬러용에는 2C, 흑백용으로는 2B를 권장한다.
노출배수 1.0
3. 콘트라스트 조절용
샤프커트 필터에는 UV, Y1, Y2, Y3, O1, R1, R2 등이 있으며, 각 필터의 분광투과율(分光透過率)은 그래프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이러한 필터들은 사진공업규정에 따라 색을 나타내는 기호 다음에 메이커에 따라 투과한계파장을 나타내는 숫자를 붙여서, 각각의 명칭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Y2는 노란색(Yellow)이며 분광투과 한계파장은 480nm인 필터이다. 이러한 샤프커트 필터는 파랑, 보라 등의 단파장광을 흡수하고 노랑, 녹색 등의 장파장광을 투과시켜 색의 명암감을 고르게 하여 장파장에 가까울수록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O (Orange) 필터
이 필터는 자외선, 청자색 및 녹색의 일부까지 흡수하는 콘트라스트 강조용 필터이다. 나무나 돌의 조형물 등에 대한 극명한 묘사나, 색감의 이상효과에 의한 의욕적인 작화에 사용된다. 또 망원렌즈 등에 의해 평면적인 화면이 되기 쉬운 원경묘샤에서도 효과적인 필터로 산악사진이나 항공사진 촬영에 있어서 필수적인 필터이다.
·R (Red) 필터
이 필터는 O2의 효과와 더불어 녹색, 황색의 일부까지 흡수하는 필터로 적색과 오렌지색이 선명하게 찍힌다. 강한 콘트라스트에 의한 화면내의 복잡한 톤(Tone)을 단순하게 하며 야경 효과와 같은 분위기도 낼 수 있고 적외선 필름과 병용하면 원경의 선명한 묘사가 가능하다.
- B+W 021 엷은 노랑(2E)
이 필터는 노란색, 오렌지 그리고 적색을 강화함으로서 따뜻 하고 부드럽고 섬세한 장면을 강화한다. 특히 여자와 어린이, 자연광을 받는 피부, 봄철의 풍경 그리고 자연 장면 등에 적 합하다.
필터배수 약 1.5 - B+W 022 중간 노랑(8)
이 필터는 녹색 색조와 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하늘의 자연스 러운 표현을 강화한다. 이 필터는 풍경이나 숲의 촬영에 사용 하는 것이 좋다. 이 필터는 피부의 얼룩을 약화하고 자연광에 서 촬영하는 인상 사진을 연하게 나타내며 피부의 색조를 부드럽게 하고 금발을 강조한다.
필터 배수 약 2 - B+W 023 짙은 노랑
이 필터는 모래나 눈과 같은 섬세한 구조를 잘 나타내고 숲의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며 먼 안개를 사라지게 한다. 또 인공 조 명에서 피부의 주금께와 점을 약화한다. 그리고 눈의 색을 어 둡게 하며 입술의 색을 밝게 한다.
필터 배수 약 3 - B+W 040 밝은 오렌지(16)
이 밝은 오렌지 필터는 청색, 보라색, 녹색, 초록색 등을 어둡 게 한다. 이 필터는 생생하고 선명한 윤곽을 필요로 하는 풍 경화와 건축물 사진에 없어서는 안 되는 것이다. 하늘의 색조 를 뚜렷이 하고 거기에 대하여 구름이 뚜렷한 콘트라스트를 이룬다. 이 필터는 자연광으로 촬영하는 누드 사진에 자주 사 용된다.
필터 배수 약 4 - B+W 041 적색-오렌지(22)
이 필터는 하늘을 강하고 어둡게 하고 구름을 극적으로 강하 게 드러내며 강화된 콘트라스트로 인하여 그늘을 강화한다. 또한 노랑, 오렌지 및 적색을 밝게 함으로서 정물 사진에서 색조를 잘 분간 하도록 한다.
필터 배수 약 4 - B+W 060 초록색(11)
이 필터는 녹색 색조의 밝기의 차이가 중요한 장면에 이상적 이다. 특히 봄의 풍경화 촬영에 적합하다. 왜냐하면 잎의 밝은 녹색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적색에 좋은 효과를 미치기 때문 에 이 필터는 자연광으로 촬영하는 인상 사진과 단체 사진에 도 적합하다.
필터 배수 약 2 - B+W 061 녹색
이 짙은 녹색 필터는 늦은 봄과 여름의 녹색조를 뚜렷하게 구 분한다. 또한 도안처럼 사용되는 꽃사진, 정물 사진의 색조분 리 그리고 고감도 필름으로 촬영하는 인상 사진의 적색조의 수정에도 잘 사용된다.
필터 배수 약 3.0 - B+W 080 엷은 청색
이 필터는 낡은 사진용 전구나 가정용 전구와 같이 노랑과 적 색이 많은 인공 조명 수정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인상 사진 혹은 자연광으로 촬영하는 누드 사진에서 피부의 색조를 어둡게 한다.
필터 배수 약 1.5 - B+W 081 청색
이 청색 081은 골짜기의 안개를 강조하고 물, 안개, 아지랑이 등으로 광선을 투과시켜 하늘의 색조를 강화한다. 또한 이 필 터는 정물 사진의 색조 분리에도 사용되고 인공 광원의 광선 스펙트럼을 수정한다. - B+W 090 엷은 적색
이 필터는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데 이상적이다. 풍경화와 건 축물 사진에서 이 필터는 흰 부분을 강조한다. 예를 들면 어 두워진 하늘에 대하여 구름을 뚜렷이 하고 먼 안개를 크게 감 소시킨다. 또한 정물 사진의 색조 분리에도 사용된다.
필터 배수 약 5 - B+W 091 적색
풍경화와 건축물 사진에 이 필터를 사용하면 “폭풍우 같은” 구름효과, “달빛 효과”그리고 “나무”효과를 나타냄으로서 초현실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정물 사진의 색조 분리에는 이 필터가 필수품이고 판독하기 어렵게 된 서류의 복사에도 효과 적이다.
필터 배수 약 8
일반적인 팬크로매틱 필름은 일단 가시광(可視光)의 모든 범위에 걸쳐서 감도를 갖고 있으나 시감도(視感度)에 비하면 청자색계와 적색계에 대해서는 필요 이상으로 민감하게 감지한다. 정색 필터에는 YG, G의 두 종류가 있는데, 흑백 필터의 분광투과율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것이나 모두 단파장광과 장파장광의 일부를 흡수하는 특수한 필터로, 팬크로매틱 필름의 감색성을 시감도에 접근시킨다. 이러한 필터는 다채로운 피사체의 색상을 정리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정색 필터 또는 강조용 필터라고 부른다.
·YG, G (Yellow-Green, Green)필터
이들 필터는 청자색 외에 적색의 일부 단파장의 일부를 흡수한다. 팬크로매틱 필름에 대해서는 청색계와 적색계를 동시에 어둡게 떨어뜨리는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으므로 피사체의 색체에 주의를 기울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다채로운 피사체나 특히 포트레이트의 자연스런 피부 질감을 묘사하는 데 적합하다.
- 1. B+W 092(Schott RG 695)
이 검붉은 필터는 흑백 적외선 필름을 위한 것으로 파장 650nm 미만의 광선을 걸러낸다. 이 필름은 순전히 붉은 영상만 기록하는 한편 비교적 낮은 감도의 적외선 필름을 잘 사용 할 수 있다.
필터 배수 약 20-40 - B+W 093(Schott RG 830)
이 검은 적외선 필터는 모든 가시 광선을 걸러낸다. 이 필터 는 감도 1000nm까지의 흑백 적외선 필름에 사용한다. 필터 배수는 필름의 감광도에 따라 정한다. - B+W 094(Schott RG 1000)
이 필터는 눈에 보이지 않는 파장 1000nm이상의 긴 파장의 광선을 통과시킨다. 그 결과 적외선 사진이 된다. 필터 배수는 필름의 감광도에 따라 정한다. - B+W 099(Schott OG 1000)
이 오렌지색 필터는 가시광선 중 약 500nm까지의 청녹색 부분을 차단한다. 이 필터는 칼라 적외선 필름의 지나친 감광도를 푸른색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고 색들의 차이를 더 고르게 나타낸다. 필터 배수는 필름의 감광도에 따라 정한다.
주파수 780nm이상의 광선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적외선 감응 필름을 위한 지침이 있다. 흑백 적외선 필름의 감지도는 약 900nm에 이른다. 일부의 적외선 영상은 가시 광선의 것과 적외선 영상의 혼합이 가능하다. 순수한 적외선 영상을 위해서는 약 780nm이하의 광선은 완전히 걸러내어야 한다.일반적으로 흑백 적외선 필름의 감광도는 약 ISO 50이다. Kodak 적외선 필름과 B+W 필터 #092는 약 ISO 20이다. B+W 필터 # 093과 사용하면 약 ISO 10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태양이 다른 각도보다 매우 낮은 각도에 있을 때 강한 촬영 장면에 있는 적외선의 강도에 크게 의존한다. 필름과 필터 콤비네이션을 먼저 시험해야 한다. 렌즈 설계는 보통 가시 광선을 위하여 되어 있다. 적외선으로 촬영을 하려면 초점 맞추는 문제가 생긴다. 결과는 초점이 맞지 않은 사진이 될 것이다. 고급 렌즈에는 적외선 초점 거리 눈금(초점 거리 옆의 붉은 점)이 있다. 적외선 촬영은 이 붉은 점으로 거리를 맞춘다. 인상적인 특수 “나무 효과”(흑백 포지티브 영상에 매우 밝게 나타난 백색)는 태양이 낮은 각도로 있을 때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그러한 조건 아래에서는 강한 적색 필터와 보통 흑백 필름으로 충분하다.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적외선 사진은 언제나 색조의 계조가 없는 흑백 사진과 강한 청록색을 나타내며 색의 차이가 거의 없는 칼라 사진과 유사한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낸다.
필터를 사용하면 각 필터의 흡수 정도에 따라서 투과 광량이 줄어들게 되므로 그 비율에 따라 노출의 증가가 필요하다. 노출 증가의 비율을 사용하는 필름의 감색성(感色性)과 조명광원(照明光源)의 성질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것을 노출배수(露出培數)또는 필터 팩터(Filter Factor)라 부르고 있다.
실제 촬영에 있어서는, 노출배수보다 조리개 또는 셔터 속도에 의한 노출의 증가배수를 아는 것이 편리하다. 모노크롬용 필터의 팬크로매틱 필름에 대한 노출증가 배수 및 컬러용 필터의 증가배수는 필터편의 각 항에 나타나 있으나, 모노크롬용 필터는 조명광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므로 주광(晝光)과 텅스텐의 두 가지 경우의 증가배수가 표시되어 있다.
TTL 방식의 노출계를 내장한 카메라에서는 필요한 필터를 끼운 채 측광하면 거의 적정노출을 얻을 수가 있다. 그러나 각 카메라에 내장된 노출계의 수광소자의 분광감도 특성과 필름의 감색성 사이에 차이가 있을 때는 약간의 노출보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노출보정량은, 일반적으로 각 카메라의 사용설명서에 기재되어 있다.
컬러용 필터
컬러 사진 촬영용 필터에는 청공광(靑空光)의 영향을 잘 묘사하기 위한 스카이라이트 필터(Sky Light Filter) 와 촬영용 조명광의 색온도를 필름의 타입에 맞게 변화시키는 필터가 있다. 물체가 지니는 자연색을 재현시키기 위한 색온도변환 필터는 컬러 필름의 청감유제층, 녹감유제층, 적감유제층의 촬영용 광질에 잘 맞도록 광질을 변화 시켜주는 필터이다. 일반적인 컬려용 필터에는 스카이라이트 필터와 색온도변환 필터들이 있는데, 그래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분광투과율을 지니고 있다.
1. 색온도 변환용 필터(Color Conversion)
컬러 사진은 촬영 광원의 광질(색온도)에 의해 절대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때문에 각 컬러 필름 메이커들은 3종류의 색온도를 설정하여 그에 맞게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은 제조회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550K 정도의 데이라이트용과 3400K에 맞추어진 텅스텐용 타입 A, 그리고 3200°K에 맞추어진 텡스텐용 타입 B의 필름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러므로 색온도가 다른 광원으로 촬영하게 되면 컬러 밸런스가 무너져서 청색 또는 주황색을 띠는 사진이 되어 원색을 재현할 수 없게 된다. 색온도변환 필터는 이같은 사용 필름과 광원의 광질의 차이에서 오는 색조의 언밸런스를 보정하고 바른 색재현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색온도변환 필터는 색온도를 높이기 위한 블루계와 이와는 반대로 낮추기 위한 엠버계로 대별되며, 코닥에서는 블루계 80A, 80B, 80C, 80D 그리고 엠버계 85, 85B, 85C를 시판하1`ㅍㄹㄹㄹㄹㄹㄹㄹㄹㅇ;;;;;고 있으며, 다른 메이커에서도 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80A
32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시킨다. 타입 B의 텅스텐 광원에서 데이라이트 타입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준다.
·80B
34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 시킨다. 타입 A의 텅스텐 광원에서 데이라이트 타입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준다.
·80C
3800K 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시킨다.
·80D
4200K에서 5500K의 색온도로 변환시킨다.
·85
5500K에서 3800K의 색온도로 변환시킨다.
·85B
5500K에서 3400K 의 색온도로 변환시킨다. 데이라이트 광원에서 텅스텐 타입(타입 A)의 컬러 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준다.
·85C
5500K에서 3200K 의 색온도로 변환시킨다. 데이라이트 광원에서 텅스텐 타입(타입 B)의 컬러필름을 써서 촬영할 경우에 발생되는 색온도의 언밸런스를 보정하여 준다.
2. 색온도 조정용 (Light Balancing Filter)
컬러 필름의 색온도와 촬영하고자 하는 광원의 색온도가 크게 차이가 날 경우에는 색온도변환 필터를 사용하게 되며, 반면에 적은 색온도의 차이를 보정하여야 할 경우에 맞게 설계된 필터가 바로 색조조정필터(LB필터) 이다.
그러므로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색조조정 필터(LB필터) 또한 색온도를 변환시킨다는 점에서 색온도 변환 필터(컬러 컨버전 필터)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으나 냉조, 온조의 감각을 느낄 정도로 적은 양의 색온도를 변환시켜주는 것이 색조조정 필터이고, 많은 양의 색온도를 변환시켜주는 필터가 색온도변환 필터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또한, 색조조정 필터는 미묘한 색온도를 변환시켜 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컬러 사진에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적합한 필터이다.
색온도를 크게 흐트리지 않으면서도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화면에 따뜻한 느낌과 차가운 느낌을 자연스럽게 부여할 수 있는필터이다. 이러한 필터로는 색온도를 상승 시켜주는 블루계의 82, 82A, 82B, 82C와 엠버계의 81, 81A, 81B, 81C, 81D 등이 있다.
3. 색보정용 필터(Color Compensating Filter)
색보정 필터(CC 필터)는 스펙트럼 중의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가운데서 어는 하나 또는 두 색광을 주로 감소시킨다는 점에 있어서 색온도변환 필터와는 그 성질이 다르다. CC 필터는 어느 한 색광을 감소시키는 동안 다른 두 색광은 통과시키므로 컬러필름으로 프린트 할 때 컬러 밸런스를 교정하거나 광원의 분광 중의 부족한 광질을 보정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특히 상반칙불궤로 인한 컬러 밸런스의 보정이나 형광등과 같은 휘선스펙트럼을 가진 광원의 색보정을 위해서 많이 사용된다. 색온도변환 필터와 색조조정 필터 (LB 필터)에서는 색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블루계와 앰버계의 필터만이 있는 데 반하여, 색보정 필터는 Y(옐로), M(마젠타), C(시안), R(레드), G(그린), B(블루)의 각 색에 걸쳐 농도 0.025~0.5에 이르는 40여종의 필터가 있어 대부분의 색보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필터의 수치를 20Y, 20M, 등은 각각 0.2 농도의 Y와 M을 가리킨다.
여기에서 일반적인 필터 농도의 수치를 20Y, 30M,등으로 말하지만, 이것은 물리적인 수치인 0.2Y 또는 0.3M에 편의상 100배로 환산한 것이다.
- B+W UV 010 :
사진의 선명도를 저하시키고 안개처럼 나타나는 자외선은 UV 010 필터로 차단한다. 자외선은 육안에는 보이지 않으나, 직사일광하에서 공기가 맑은 산악, 해변, 설경 등의 원경 촬영 에 사용한다. 따라서 색이 없는 UV 010 필터가 반드시 있어 야 한다. 왜냐하면 이 필터는 노출 보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필터는 언제나 렌즈 앞에 장착하여 렌즈를 보호 하는 것이 좋다. - B+W KR 1.5(1A) :
연한 분홍색으로 인하여 KR 1.5는 자연광의 청색조를 감소시 켜 화면에 보기 좋은 더운 색조를 나타낸다. 동시에 이 필터 는 자외선과 안개를 차단한다. 이 필터는 스카이라이트 필터 라고도 하며 UV 010과 마찬가지로 언제나 렌즈 앞에 장착하 여 렌즈를 보호하는 것이 좋다.
노출 배수 약 1.1 - B+W KR 3(81C) :
이 필터는 특히 봄과 여름의 구름 없이 맑게 개인 날씨의 자 연광 촬영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필터는 자외선의 정도에 따라 생기는 강한 청색조와 안개를 제거한다. 뿐만 아니라 흐 린 날씨에 그늘에 생기는 달갑지 않은 청색도 제거한다.노출 배수 약 1.2 - B+W KR 6(81EF) :
청색의 비율이 큰 자연광(여름 고산 지대의 정오)이 청색이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칼라 사진에서 KR 6 필터로 중성화된다. 이 필터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청색조를 감소할 뿐만 아니라 가벼운 안개도 침투한다.
필터 배수는 약 1.4이다. - B+W KR 12(85)
갈색 KR 12 필터를 사용하면 텅스텐 밸런스 필름으로 자연광 이나 플래시 촬영을 할 수 있다. 이 필터는 이 필터를 사용하 지 않을 때 생겨나는 강한 청색조를 제거한다. 뿐만 아니라, 많은 종류의 칼라 필름들은 이 색전환 필터에 특히 밝은 색 반응을 나타낸다.
필터 배수는 약 2.0이다. - B+W KR 15(85B) :
비록 KR 15 필터는 KR 12와 같은 상황에 사용되기는 하지만 이 짙은 갈색 필터는 공기가 맑고 색온도가 매우 높은 자연광 촬영에 이용하는 것이 좋다.
필터 배수는 약 2.3이다. - B+W 81A
이 필터는 인공광원의 색온도를 칼라 텅스텐 필름의 3200K에 맞추며 3400K까지도 높인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눈에 띄게 더운 색조가 나타난다. 이러한 훌륭한 색의 재현은 그림 복사 와 같이 더운 색재현을 요하는 특수한 작업에 중요하다.
필터 배수는 약 1.2이다. - B+W 81B :
이 81B 필터는 인공 조명의 강한 색온도를 역시 약간 더운 색조로 나타내는 3500K로 맞출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인상 사진에 인공 조명을 사용할 경우, 특히 더 매력적인 더운 색 조가 적절할 경우(여자와 어린이의 인상사진)에 이 필터를 사 용하는 것이 대단히 효과적이다.
필터 배수는 약 1.2이다. - B+W KB 1.5(82A) :
이 연한 청색 필터는 아침과 저녁 시간에 지나치게 많은 황- 적색을 흡수한다. 이 필터는 칼라 필름의 더운 색 경향을 수 정하여 시원한 색을 만든다. 이 필터는 칼라 밸런싱 필터로도 사용할 수 있다.
필터 배수 약 1.1 - B+W KB 3(82C) :
색온도의 중간 범위에 포함된 붉은 색조를 KB 3 필터는 제거 한다. 이 필터는 텅스텐 필름과 500와트 사진용 전구를 사용 할 때 흔히 나타나는 붉은 색 경향을 수정한다. KB 3 필터는 구식 니트레이트 사진용 전구를 사용할 때에도 필요하다.
필터 배수 약 1.2 - B+W KB 6(80D) :
이 중간 청색 필터는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 광선에 강한 짙 은 적색을 감소한다. 이 필터는 촬영장면에 황색, 오렌지 그리 고 적색이 극단적으로 많은 것을 광학적으로 감소시키는데 사 용된다.
필터 배수 약 1.5 - B+W KB 12(80B) :
이 짙은 청색 필터는 색온도 3400K의 인공 조명 광선을 주광 용 필름에 맞도록 바꾸는 색 전환 필터로서 작용한다. 이 필 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강한 황색-오렌지색이 사진에 깔린다.
필터 배수 약 2 - B+W KB 12(80A) :
이 필터는 주광용 필름을 색온도 약 3000K인 인공 조명으로 색의 편향 없이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 배수 약 1.5 - B+W KB 20(85B) :
실내에서 주광용 필름을 사용할 경우 재래의 가정용 전구는 적색의 포함 정도에 따라 극단적인 색온도 전환을 필요로 한다.
필터 배수 약 2.3
4. 자외선 방지용 (Skylight Filter : IA)
·UV (라텐 2C, 2B) 필터
이 필터는 흑백과 같다. 색이나 노출배수에 대한 영향이 전혀 없다.
·Skylight Filter (1A)
연한 필크색 필터로서 분광투과성은 아주 연한 황색의 라텐 2C와 비슷하나, 그보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양이 약간 적고 550nm 부근의 빛을 약간 흡수한다. 따라서 라텐 2C에 준하는 헤이즈커트 필터(Haze Cut Filter)로서의 효과도 있다.
일반적으로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아주 맑은 하늘 아래서 촬영하면 그늘진 부분에 있는 청색기가 없어질 뿐 아니라 생생한 색재현에도 도움을 주게 되며, 청색광이 그다지 많지 않은 곳에서 이 필터를 사용해도 색보정을 한 것처럼 느껴지지 않고 오히려 온화한 느낌을 주게 된다.
광질이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광원을 혼합하여서 조명한 경우, 컬러 필름의 성질상 색온도변환 필터에 의해 자연스런 컬러 밸런스를 얻을 수가 없다. 그리고 색온도변환 필터와 라이트 밸런싱 필터를 겹쳐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때의 색온도 변환량은 각 필터의 변환량이 합쳐진 것이 된다.
예컨데, A2를 2장 켭치면 A4(변환량)로 된다. 이 경우의 노출증가배수는 각 필터의 증가배수를 더한 값과 근사하게 된다. 그러나 엠버계(A)와 블루계(B)를 함께 혼용해서는 안된다.
흑백, 컬러 겸용 필터
스카이라이트 필터는 흑백사진 촬영에나 컬러 사진 촬영에도 공용으로 쓸 수 있으며 이 밖에 함께 슬수 있는 필터로서는 피사체의 색채와는 관계없이 광량만을 줄이기 위한 ND필터와 반사광을 없애기 위한 편광 필터(PL) 및 특수한 표현을 위한 소프트 포커스나 크로스 스크린, 미라주(Mirage)등과 같은 필터가 있다.
1. ND 필터란?
ND 필터는 피사체의 색채와는 관계없이 전파장역에 걸쳐서 균등하게 광량을 줄이는 필터로, ND (Nautral Density)란 특정한 색을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색에 대해서 중립적이고 단지 농도만을 가진 필터라는 뜻이다. 일반 촬영용인 ND 필터에는 여러 종류와 사이즈가 있으며, 숫자는 각 필터의 노출배수를 표시한다. 이 필터는 오늘날의 고감도 필름이나 대구경렌즈의 출현과 함께 사용 빈도가 높아진 것으로, 셔터 속도나 조리개의 한계를 넘는 매우 밝은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나, 최대 조리개를 사용하여 심도를 얕게 하고 싶을 때, 경우에 따라서는 반사망원렌즈처럼 조리개가 없는 렌즈의 광량을 줄여서 적정노광을 얻기 위해 사용한다. 또 이 필터는 무채색으로 농도만을 가지며, 투과하는 광질이 변화되지 않아 색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일반 흑백사진 촬영은 물론 컬러 촬영에도 사용된다. ND 필터의 사용상의 주의점은 모노크롬용 필터의 경우와 똑같으나 2장 이상의 필터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 필터의 노출증가배수를 곱한 값만큼 증가된다. 예를 들면 ND 4필터를 2장 겹치면 노출증가배수는 4*4, 즉 ND 16의 필터에 상당하는 셈이다.
중성 농도 |
필터 배수 |
조리개 감소 |
농도(ND) |
101 |
2 |
1 |
0.3 |
102 |
4 |
2 |
0.6 |
103 |
8 |
3 |
0.9 |
106 |
64 |
6 |
1.8 |
110 |
1000 |
10 |
3.0 |
113 |
10000 |
13 |
4.0 |
120 |
1000000 |
20 |
6.0 |
2. ND 필터의 종류
- B+W ND 필터
- 1.ND 101 :
* 이 밝은 색 필터는 고감도 필름을 사용할 경우 광선이 너무 밝을 때 광선의 투과를 감소시킨다.
* 필터 배수 2 - 2. ND 102 :
* 이 필터를 사용함으로서 비록 밝은 조명에서도 조리개를 열고 비교적 긴 셔터 속도를 사용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시야의 깊이를 조절하여 피사체를 강조하거나 피사체의 흐림으로 움직이는 효과를 만들 수 있다.
* 필터 배수 4 - 3. ND 103
* 이 필터는 102보다 더 진하여 광선을 더 많이 흡수한다. 이 필터는 비디오에 적합하고 특히 조리개를 충분히 조이지 못할 경우에 그러하다. 뿐만 아니라 특정한 시야의 깊이의 한계를 나타낼 수 있다.
* 필터 배수 8 - 4. ND 106 :
* 이 필터는 극단적으로 긴 노출(수분)을 할 때 특히 편리하다. 또한 비디오 촬영에도 적합하다.
* 필터 배수 64. - 5. ND110 :
* 이 필터는 밝은 광선과 높은 온도에서 산업 과정을 관찰하거나 기록할 때 편리하다. 이러한 종류의 필터는 강한 플레어를 방지하고 재미있는 디테일을 나타낸다.
* 필터 배수 1000 - 6. ND 113 :
* 이 필터는 공업 과정과 태양 및 달 촬영의 분야에 속한다. 높은 농도로 인하여 필요한 긴 노출을 가능하게 한다.
* 필터 배수 10,000 - 7. ND 120 :
* 이 필터는 태양의 관측 및 촬영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어떤 필터를 통해서라도 태양을 바로 관찰하는 것은 엄격하게 피해야 한다. 왜냐하면 눈에 해로운 로그 파장 적외선이 차단되지 않기 때문이다.
* 필터 배수 1,000,000
일반적인 편광 필터(PL:Polarizing Filter)는 렌즈에 부착시킨 다음 가장자리를 잡고 180도범위에서 회전시키면서 파인더를 들여다보며 반사제거효과를 확인하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들은 ND 필터와 마찬가지로, 흑백사진과 컬러 사진 촬영에 모두 효과가 있는 필터이며, 2장으로 된 평행 평면유리에 편광막(偏光膜)을 끼운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이나 전등과 같은 직접광 이외의 거의 대부분의 빛은 편광하고 있으나, 편광필터는 빛파동의 진동방향(振動方向) 이 필터의 투과축과 같은 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지만 진동방향이 다른 빛은 차단하는 필터이다. 유리와 같은 비금속의 편평한 표면에 부딪쳤다가 반사되는 빛을 편광이라하므로, 이 편광의 진행 방향과 직교(直交)하도록 필터의 투과축을 돌려주면 반사광이 제거된다. 보통 물질의 굴절률에 따라 다르지만, 입사각(入射角)이 대략 30~40˚의 조건일 때 편광 필터의 효과도 최대로 발휘된다. 이와 같이 편광필터는 편광되고 있는 반사광을 편광 필터에 의해서 차단하여, 투명한 물체의 내부나, 표면질감을 나타내고 싶은 경우에 반사광을 약화시키거나 제거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광뿐만 아니라 푸른 하늘빛도 강한 편광이므로, 이 필터에 의해서 푸른 하늘 색을 짙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때문에 피사체 등과는 콘트라스트에 관계없이 푸른하늘만을 더욱 푸르게 하여 주제를 강조시킬 수가 있다.
1. 편광 필터의 종류
- B+W 선상 편광 필터
선상 편광 필터는 대부분의 수동 초점 SLR과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에서 색의 포화도를 높이고 반사를 감소하기 위하여 사 용된다. 중성 회색이고 평면 평행인 편광 재료는 최상의 영상 결과를 보장한다. 필터 배수는 태양에 대하여 필터가 어떤 위치에 있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필터 배수는 2.3과 2.8사이이다. - B+W 원형 편광 필터
이 필터는 자동 노출과 자동 초점 SLR과 비디오 카메라에 사 용하기 위하여 특별히 고안된 것이다. 이 필터는 이들 카메 라의 노출 측정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 B+W Kasemann 편광 필터
이 고급 편광 필터는 특선된 편광 포일과 특별히 마련한 광학 유리로 만든 것이다. 이 중성 편광 필터는 모서리가 봉합되어 극단적인 기후에도 견딘다. 이 필터는 가장 엄격한 촬영 조건 특히 밝은 망원 렌즈와 아포크로매틱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선상과 원형으로 구할 수 있다.
필터 배수는 2.3내지 2.8이다. - B+W 더운 색조 편광 필터
이 특이한 필터는 편광 필터와 스카이라이트 필터의 장점을 겸하고 있다. 이 필터는 칼라 촬영에서 두 가지 필터의 장점 을 발휘하는 한편 생기 있는 색을 나타낼 뿐 아니라 매우 보 기 좋은 더운 색조를 나타내는 인상적인 사진을 만들어 낸다. 선상과 원형으로 구할 수 있다.
필터 배수는 2.3내지 2.8이다. - B+W 이중 편광 필터
두 장의 편광 필터를 합치면 광선을 거의 대부분 차단된다. 그 효과는 보통 필터 배수의 약 3-4배에 이를 수 있다. ? 편광 필터를 통한 광선 흡수는 무단계이고, 두 편광 필터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기능을 달리한다. - B+W 편광 호일(박판)
복사 작업을 할 때 광원의 편광에 편리한 편광 호일은 대개 광원 앞에 배치한다. 렌즈 앞에 배치한 두 번째 편광 필터를 통하여 금속 혹은 강한 표면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이 필 터의 다른 용도는 반사가 없는 플레쉬 사진을 만드는 것을 돕 는 것이다. 두 편광 필터 사이에서 투명 물체를 촬영할 때 서 로 다른 색효과 형태의 스트레스를 눈에 보이게 할 수 있다.
형광등은 실내 조명광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나, 휘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서 색온도변환 필터만으로는 바른 색재현이 곤란하다. 또 형광등의 특성이 여러종류가 있고, 점등시간이나 전압의 변화 등에 의해서 밝기나 광질(光質)이 달라지므로 형광등 조명하에서 컬러 촬영을 할 때 바른 색재현을 위한 가장 적합한 필터를 선정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특수효과 필터
무색 광학유리에 가로 세로의 선을 그어넣은 것으로 이것을 렌즈앞에 부착하고 촬영하면 전등광이나 빛나는 수면등 번쩍이는 부분에 십자무늬가 생긴다.
미라주, 미러클 이미지(Mirage, Miracle Image) 필터
한 화면에 같은 상을 몇 개든 맺게 하는 필터이다. 미라주 필터는 하나의 주피사체를 프리즘 면수에 따라 분리하여 다중 효과를 내는 필터로서 패턴의 중복효과로 흥미로운 화면을 만들 수 있다.
투명 광학유리 두 장을 맞붙인 사이를 특수 처리한 필터로서 화면 전체에 흰 포그(Fog)가 낀 것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것들은 대게 농담(濃談)이 다른 두 장을 한 세트로 하여 의도에 따라 가려 쓰도록 되어 있다.
|
1. 코킨필터 시스템 장코킨은 거의 걸음마 전부터 아버지의 작업실에서 구두수선 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다른 아이들이 뛰어다니며 놀 때 장은 발명을 하며 놀았습니다. 아주 어렸을 때, 장은 본능적으로 예술의 기질을 타고 났음을 알았고 오래지 않아 그는 납결염색, 실크스크린 그리고 리터칭과 같은 기술을 취미로 하게 되었습니다. 1955년, 그는 엘르紙 (Elle), 마리클레르紙 (Marie-Claire), 프랑스 저널紙 (Jours de France) 그리고 보그紙 (Vogue)와 같은 저명한 프랑스 잡지사와 자유계약자로 18년간의 거래를 시작하였습니다. 장 코킨은 사진가로서 만족했으나, 또한 쉬지 않는 발명가였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그의 작업실에서 더 정교해진 도구를 가지고 그 자신이 사용하던 필터를 개선하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용도에 맞는 필터를 직접 만들어보기로 했습니다. 모든 35mm SLR(일안리플렉스) 카메라와 필터 구경이 다른, 모든 렌즈에 사용할 수 있는필터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면 이 얼마나 놀라운 일입니까. 프로 사진가들은 처음으로 기능성 위주의 필터 시스템을 갖게된 것입니다. 최초로, 아마추어 사진가들은 프로 사진가들만의 것으로 생각되던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장 코킨은 모든 사람들에게 새로운 창조적인 사진의 세계를 열어주었습니다. 코킨 필터 시스템 - 이것은 시스템화 되어있습니다. A 시리즈 P 시리즈 2. 코킨필터 Q & A Q : 필터란 무엇입니까? Q : 엄밀히 코킨 시스템은 무엇입니까? Q : 누가 코킨 시스템을 사용해야 할까요 ? Q : 언제 사용해야 합니까 ? Q : 코킨 필터 시스템으로 어떠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까 ? Q : 저와 같은 초보자에게 어떤 조언을 해주시겠습니까 ? 3. 필터의 종류와 사용법 초현실필터 : Dreams 091 092 093 다중병렬필터 : Multi-parallel 209 무지개필터 : Rainbows 195 196 난색(暖色)필터 : warm tone 026 027 028 블루필터 : Blue filters 020 021 022 023 024 025 색온도 변환필터는 코닥의 래튼 80시리즈에 상당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일광용 컬러필름을 인공 조명광(2800에서 3400K℃)에서도 사용할수 있도록 인공 조명광을 전환 시킵니다. 추가적으로 그들은 당신의 사진에 심연의 블루색조를 내기 때문에 신비감을 더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일광용 필름을 일광에서 사용하기 위해 부착하는 오렌지 계열의 색온도 변환필터(코킨 029, 030, 031)가 있습니다. 또한 블루필터 시리즈(023, 024, 025)나 Warm 필터시리즈(026, 027, 028)와 같이 보다 엷은 오렌지 계열의 필터도 있습니다. 색보정필터는 일몰 직전이나 일출 직후의 너무 따뜻하거나 불그스름한 색조를 약화시키거나 억제합니다. 세피아 필터 : Sepia 005 파스텔필터 : Pastels 086 087 일몰필터 : Sunsets 197 198 편광필터 : Neutral Polarizer 160 색편광필터 : color Polarizers (Pola-color) 161 162 163 다색필터 : Vari-color 170 171 172 173 확산필터 : Diffusers 083 084 슈퍼스피드필터 : Super Speed 217 회절필터 : Diffractors 040 041 042 알콜유약 : colored Varnish 376 080 계조필터 : Graduated 코킨 계조필터의 성질 콘트라스트 조절 특수한 효과 색확산필름 : colored Diffusers 082 스카이라이트필터 : Skylight 230 미라지필터 : Mirage 220 오렌지필터 : Orange filters 029 030 031 안개필터 : Fog Filters 150 151 스타필터 : Stars 055 057 056 058 센터스폿필터 : Center Spot 060-078 Pre-shaped Frames 397 다중상필터 : Multi-images 201 202 203 204 흑백필름용필터 : Filters for B&W film 001 002 003 004 노란색 필터 오렌지 필터 녹색 필터 빨간색 필터 빨간색 필터 + 편광필터 접사필터 : Close-up lenses 101 102 103 다중노출필터 : Double exposure 346 |
'▒▒ 생활 이야기 ▒▒ > 카메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LR 초보자를 위한 바디와 렌즈 안내와 구매 요령 (0) | 2007.11.20 |
---|---|
메이커별 디지털 전용 렌즈 총람 (0) | 2007.11.20 |
필터의 종류와 용도 (0) | 2007.10.23 |
디지털카메라, 그것이 알고 싶다 (0) | 2007.10.17 |
사진 촬영명소 시기 (0) | 2007.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