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필터의 종류와 용도 본문

▒▒ 생활 이야기 ▒▒/카메라 이야기

필터의 종류와 용도

청산거사 2007. 10. 23. 09:30

오늘 구입한 것은.. Hoya 67 mm HMC UV pro1과 CPL인데.. 두개 합해서 6만원
만약 '나두사'라면 61,000원, '필름국가'라면.. 81,000원 ㅜㅜ

 


필터란?

물체의 모양을 바꾼다든지, 사진의 색상을 바꾼다든지 분위기를 바꾸는 일을 해주는 것입니다.


종류

1) 자외선 방지 필터(UV filter)

   자외선이 사진하고 무슨 상관이 있느냐구요? 풍경 사진을 찍을때 자워선이 강하면 흑백사진에서는 원경의 콘트라스트가 약해지고, 컬러사진에서는 청자색으로 흐려집니다. 이때문에 UV필터를 사용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UV필터는 무색 투명한 광학 유리로 자외선을 걸러주는 역활이외에는 사진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기 때문에 보통때에도 늘 끼우고 있게 마련입니다. 그러다 보니 렌즈를 보호하게 되고 렌즈 보호용 필터라고 부르게 된것입니다.


2) 자외선 방지필터의 종류

   자외선 방지용 필터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파장의 범위에 따라 몇가지로 구분됩니다.
우선 다음 세가지를 살펴보면...
자외선을 흡수하는 정도가 중간정도인 L39는 자외선의 농도가 제법 강한 푸른 하늘이 있는 맑은 날의 풍경사진에 적합합니다. 보통 UV라고 부르는 필터가 바로 L39급에 해당합니다.
다음으로 L37 UV는 자외선 흡수율이 다소 낮지만 필터의 색이 거의 무색에 가까우므로 상용필터로 사용하기에는 이쪽이 오히려 낫습니다. 또 한가지 L41 UV는 자외선 흡수율이 강한 필터입니다. 그래서 자외선이 강하게 나타나는 산이나 바다 그리고 산악이나 설경등의 풍경촬영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노란색이 강해지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3) 스카이라이트필터

   스카이라이트(Skylight)는 자외선 흡수율이 낮은 약 자외선 흡수 필터입니다. 자외선의 흡수율은 낮지만 분홍빛이 들어가 있으므로 색보정효과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푸른 하늘이 있는 맑은 날의 인물이나 건물등의 쵤영에서는 푸른 하늘빛으로 인한 푸른 기미를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컬러사진에서는 UV대신 스카이라이트필터를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만, 푸른 하늘빛이 강한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 흔히UV필터는 흑백용,스카이라이트는 컬러용으로 구분하는 사람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자외선 제거용은 UV필터입니다.


4) MC보호필터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것이 MC보호필터(MC protector)입니다. 이 필터는 자외선을 흡수하지는 않으며 순전히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렌즈보호전용 필터입니다.


5) 필터의 코팅

   필터는 유리,플라스틱,젤라틴 등의 재질로 만들어 집니다.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것은 원형의 스크류장착방식의 유리필터입니다. 이 유리는 투과광을 표면에서 반사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투과광의 손실을 가져오게 됩니다. 그래서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유리에 코팅을 하게 됩니다. 이것은 렌즈의 제작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가급적이면 코팅이 잘 되어 있는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사진을 만드는 비결입니다.

특히 UV필터는 렌즈에 항상 끼우고 촬영하는 상용필터이므로 필터의 투과성능에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렌즈보호용이라고 무심코 끼운 필터때문에 렌즈의 고유한 성능이 저하되면 곤란하지요
아주 엉터리 필터가 아니라면 필터의 코팅은 기본입니다. 그러나 이 코팅처리가 어던 방식이냐에 따라서 등급이 틀려집니다. 소위 다층막 처리가 되어있는 필터가 고급필터입니다. 메이커에 따라 MC 코팅혹은 HMC 코팅 등으로 표시되어있으므로 가급적이면 다층막 코팅처리가 되어있는 좋은 필터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그외 기타 필터종류들입니다.


1) PL필터(Polarizing light filter)

   PL필터는 편광필터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습니다.

  (1) 유리면이나 광택면에 비친 잔영을 제거해줍니다.
      특히 쇼 윈도안에 진열된 상품이나 유리가 끼워져 있는 액자의 사진을 찍을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2) 하늘의 푸른색이나 푸른 바닷물 색을 진하게 해줍니다.
  (3) 나뭇잎등의 원래색을 뚜렷이 표현해줍니다.
  (4) 이 필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는 사전지식과 훈련이 필요합니다.
      주위분들에게 도움을 받아 사용해주십시요


2) 소프트필터(Soft filter)

   촛점이 약간 흐린듯한 부드러운 묘사를 해주는 필터입니다. 인물사진을 찍을때 피부의 거친느낌을 없애주고 여성적인 피부를 보다 강조해줍니다. 꽃을찍을때에도 사용하면 좋습니다.


4) 크로스필터(Cross filter)

   반짝이는 빛이나 물체표면의 반사광을 십자형으로 길게 쪼개어 빛내는 효과를 냅니다. 역광에서의 태양,호숫가의 물반사,그리고 밤풍경등의 가로등을 십자형태로 만들어줍니다. 보통 4열,6열,8열의 종류가 있습니다.


5) 오렌지필터(Orange filter)

   오렌지색의 오렌지 필터는 원래 흑백용필터인데 컬러사진에 응용하면 대단히 재미있는 효과가 납니다. 특히, 저녁노을의 실루엣 촬영과 야경의 촬영에 응용하면 대단히 환상적인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합니다. 과감하게 오렌지 필터를 끼우고 사랑하는 연인의 모습을 담아보세요.


6) 포기필터(foggy filter)

   포기필터는 일명 안개필터라고도 합니다. 인물사진에 많이 쓰이며 실내촬영에서도 그 효과가 좋기때문에 결혼식장에서의 신부의 환상적인 표현에 좋습니다.


7) 센터포커스필터(Center focus filter)

  센터포커스필터는 주변부를 아웃포커스하여 주제를 강조하고 보다 분위기 넘치는 사진을 만들어 줍니다. 특히 불필요한 주변요소들을 정리하고자 할때 유용하며,주변부를 다양한 색채와 콘트라스트가 있는 쪽으로 유도해 촬영하면 더욱 효과가 좋습니다.


===========================================================================

 

1. 필터의 종류 및 용도

A.  UV
    i.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필터로서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색감에 미치는 영향이
      무시할 정도로 적고 저렴하기 때문에 렌즈 보호차원에서 항상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자외선에 의한 콘트라스트의 저하를 감소시키며, 하늘의 색을 보다 파랗게 찍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고산지대에서는 공기가 희박하여 자외선에 의한 영향이 강하므로 필수입니다.
    ii.  종류 :  L37, L39, L41, SKYLIGHT 등 다수
             1)  L37 :  370nm이하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합니다.
                 푸른 하늘이 있는 맑은 날의 풍경에 사용.
                 가시광선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color-balance를 무너뜨리지 않으므로
                 색재현성을 중시하는 분들의 상용, 렌즈 보호용으로 최적입니다.
             2)  L39 : 흔히 말하는 UV렌즈 입니다.
                 390nm이하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합니다.
                 일반적인 촬영, 도심지, 인물 등에 사용.
             3)  L41 : 410nm이하의 자외선 파장을 흡수합니다.
                 자외선 차단이 가장 높으며, 자외선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산악 설경 해변 등에
                 적합합니다. 일반 촬영에는 노란 색감이 나타납니다. 강렬한 태양광의 영향을 받는
                 바다, 산악, 눈 산등의 풍경 촬영에 최적입니다.
             4)  SKYLIGHT : 자외선흡수율이 가장 낮습니다.
                 연분홍 빛 색감을 가지므로, 건축물 등을 배경으로 한 인물사진의 청색감을 감소시켜
                 적절한 색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인물의 살색을 예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맑은 하늘 화제의 인물이나 근경이
                 중심이 되는 촬영에 최적입니다.
                 UV Filter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Filter지만 UV Filter처럼 항상 장착 할 수는 없는
                 Filter입니다.
                 특히 슬라이드 FILM을 사용할 때는 필수로 사용되며, 피사체 전체가 그늘에 있을 때
                 사용해야만 하고 인물 촬영의 경우 필터의 영향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5)  UV/IR필터는 디지털 및 비디오카메라에서 UV렌즈처럼 사용되는 필터로 CCD센서의
                 높은 적외선 민감도 때문에 생기는 흐림 현상이나 변색을 막아주는 필터로 자외선
                 (UV) 및 적외선(IR)을 차단하여줍니다. 로덴스톡에서 제조 판매합니다.
 
B. Protector
    i. 렌즈 보호로서의 역할만을 하는 상용필터입니다.
      UV에서 아주 적게 발생하는 색감의 차이도 없고 UV 차단 기능이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필터보다 UV차단 기능이 있는 L39의 사용을 권하여 드립니다.

C. Polarizing light filter 
    Polarizing light filter, 편광 필터라고 하며 금속표면을 제외한 유리, 플라스틱 수면 등의
    반사광을 차단시켜주고, 하늘의 푸른색, 나무 등의 원래 색을 뚜렷이 표현해 줍니다.
    풍경사진에는 필수인 필터 입니다.
    i. 편광은 비스듬한 투사광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표면으로부터 반사될 때 발생합니다.
      유리, 광택제, 플라스틱은 절연체에 포함됩니다.
      그러나 물도 역시 매우 낮은 전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금속체와 비교할 때).
      따라서 물 반사는 편광 됩니다.  알루미늄 케이스 또한 반사가 편광 됩니다.
      따라서 편광 필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알루미늄은 대기 중에서
      일정시간이 흐른 후 산화되어 표면이 절연되기 때문입니다.
    ii. PL및 CPL이 있습니다. 기능은 둘 다 동일합니다.
       PL은 수동식 초점카메라에 사용하시면 되고, CPL은 자동초점 카메라에 사용하시면 됩니다.
      수동초점 방식 에서 CPL을 사용하실 수 있으나,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 이므로 PL을
      사용하시길 권장합니다.  예외적으로 올림푸스의 E-10및 20 기종은 자동초점 방식이지만,
       PL필터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iii. 편광 필터는 앞쪽에 나사선이 있는 전통적인 회전 마운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렌즈
       후드나 다른 필터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색 온도를 맞추기 위한 Conversion 필터. 그러나 일반적으로 편광 필터는
       슈퍼 광각 렌즈와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필터 효과는 입사각에 막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극도로 큰 이미지 앵글은 왼쪽과 오른쪽이 완전히 다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수명은 3-5년 정도 입니다.
    iv. 사용방법은...
          1) 수면이나 유리면의 반사를 없애는 촬영에서는 기울기의 위치로부터 촬영하는 것이
             효과적(평면에 대해서 30~40도 때가 가장 효과적).
             바로 정면으로부터의 촬영이나 금속면의 반사에는 효과가 없습니다.
          2) 푸른 하늘을 배치한 풍경으로 색채 콘트라스트를 높이는 촬영에서는 태양의 위치가
             중요합니다. 필터를 회전시켜 콘트라스트가 가장 풍부하게 나타나도록 조절하면 되고,
             검지와 엄지를 벌린 후 검지는 태양을 향하게 한 후 검지를 중심축으로 엄지를 회전시킬
             때, 엄지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카메라를 향하게 한 후 사용하면, 최대의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D. ND
    i. 색감의 변경 없이 노출을 인위적으로 저하시킬 경우에 사용합니다.
      해변에서 셔터속도를 저하시켜 움직이는 물체의 동감을 부각시킬 경우, 흐르는 물을
      저속으로 촬영하여 부드럽게 표현할 경우 등에 사용합니다.
      ND2, ND4, ND8, ND400등이 있으며, 노출을 한 스톱씩 증가시켜 줘야 하며, ND400은
      태양을 촬영할 경우, 일식 등의 촬영에 사용합니다. 

E. 기타
    i. 특수 효과 필터, 색 보정 필터, 적외선 촬영 필터 등이 있습니다.
      가로등의 불빛을 별처럼 만들어 준다거나, 색감을 변경시키거나, 적외선 필름을 사용
     한다거나, 여름날 얇은 옷을 투시하여 본다거나, 이미지를 뽀얗게 만든다거나 하는 아주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만, 종류가 너무 방대하여 여기에는 적지 않겠습니다.
     광학적 투과율 97%의 멀티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2. 코팅 및 등급별 특징

A. 필터는 재질 및 가공방법 그리고 코팅에 따라서 품질에 차이가 납니다.
    이중 가장 주요한 것이 코팅입니다.

B. 필터에 가해지는 코팅의 종류는 코팅 없음(광 투과율 91%), 싱글코팅(광 투과율 95%),
    멀티 코팅(광 투과율 97% 이상) 등이 있습니다.
    코팅막이 중요한 이유는 코팅의 종류에 따라서 광학적 투과율이 달라지고, 이에 의해서
    플레어나 고스트 현상이 감소 혹은 증대되기 때문입니다.
    저가의 필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렌즈의 성능을 감소 시킵니다.
    저가의 필터는 코팅막이 없거나 싱글코팅만이 된 것이 대부분입니다.
    적어도 MC즉 멀티 코팅된 제품을 사용하십시오.
    i. 멀티코팅 멀티코팅에도 등급이 있습니다. 광학적 투과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호야의 필터를
      기준으로 하면, 일반 멀티코팅은 97%, 고급은 99% 이상의 광학적 투과율을 갖습니다.

C. 강화코팅이란 것이 있습니다.
    이 코팅이 가해진 경우에는 물이나, 먼지에 대한 저항력이 우수해지며, 흠집이 잘 안납니다.
    내구성 및, 청소의 용이함이 달라지지요. 예를 들어 BW의 MRC와 호야의 SUPER MC는
    광학적 투과율에서는 저렴한 호야의 것이 광학적 투과율이 미세하나마 우수합니다.
    하지만 강화코팅의 유무에 따라 BW가 쉽게 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필터 표면에 물방울이
    잘 맺히지 않지요.

D. 참고로 UV, PL, SKYLIGHT, PROTECTOR를 제외한 색 보정 필터, 특수효과필터 등에는
    코팅을 하지 않습니다.  이는 필터의 재질 및 특성상 코팅을 해서 사진의 질이 나아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3. 메이커별 특징

이 정보는 주로 사용하는 UV, PL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A. 헬리오판 Heliopan
   헬리오판은 최상의 필터메이커 중 하나입니다.
   아노다이징 처리된 황동 링을 사용하여 필터가 장착 시 뒤틀리는 것을 방지합니다.
   Schott glass(Zeiss)를 사용합니다.
   헬리오판은 B+W 필터보다 하나 많은 나사산을 만들어서 나사가 풀려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장착 시 B+W 필터보다 약간 얇습니다.
   헬리오판 필터의 특징은 양면에 하드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또한 14층의 멀티 코팅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독일제입니다. 무한 보증을 한다는군요.
     1) Heliopan Standard Coated Filters
        각각의 렌즈는 반반사코팅 및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금속산화물 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이 특별한 코팅은 반사율을 약 50%정도 낮추어 줍니다.
     2) Heliopan SH-MC Multi Coated Filters
        특별주문에 의하여 생산되는 필터이며 특수 멀티코팅이 적용됩니다.
        SH-MC (Super High- Tech Multi Coating)은 각 면에 7층의 코팅이 되어 있으며
        가시광 대역에서의 반사를 최소화 해줍니다.  대부분의 특수효과 필터들, 예를 들면
        soft focus, cross, fog and Softars는 코팅이 되어있지 않습니다.
     3) Heliopan UV Filters.  EV 0x LV 0.0
        Haze 감소, 렌즈보호용으로 상시 착용 가능. Haze 상태에서 맑은 사진을 위하여 단파장
        영역을 흡수합니다.
     4) Heliopan Polarizing Filters
         ? Linear Polarizers, Circular Polarizers, Slim Circular Polarizers(No Front Filter
           Threads, Linear Polarizer Multi Coated, Circular Polarizer Multi Coated, Linear
           & Circular Kaesemann. (Also Available in Warm Tone KR1.5)
           모서리를 완전히 마감하여 극한의 기상상태에서의 내구성을 보장합니다.
         ? Wide Angle Polarizing Filter
           비네팅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쪽의 나사산의 직경이 큰 형태입니다.
         ? Double Polarizer Filter
           두 개의 편광필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필터는 90도로 회전하여 노출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Circular Kaesemann Polarizer MC for Nikon Telephoto lenses.

B. B+W
   가장 품질이 좋은 필터가 어느 회사 제품이냐 모든 분들이 헬리오판이나 bw를 꼽는데
  주저하지 않으시더군요. 유리 자체가 다른 회사의 그것과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다른 회사는 마치 풀빵을 찍어내듯, 판 위에 녹아있는 액체 유리를 부어 만들어내는 반면,
  세계 최고의 광학용 유리메이커인 Scott 광학용 유리를 커다란 덩어리상태에서 다이아몬드
  커터로 실린더 형태로 잘라낸 뒤 이것을 연마하여 만듭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유리 내부의 결함을 최소화 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샘플링 검사가 아닌 전수검사를 한다는 겁니다.
  즉 생산되는 모든 제품을 검사한다는 겁니다...... 렌즈가 편평하고 굴곡은 없는지, 윗면과
  아랫면의 평행이 정확한지 레이저로 측정하고, 균열이나 흠집이 없는지 일일이 들여다 보고,
  테스트환경이 다양하고 뛰어나다는 겁니다.
  기온의 변화에 따른 열팽창 혹은 수축시의 변형 까지도 고려한다는 겁니다.
  링도 걍 찍어내는 링이 아니고, 황동을 수치제어 공작기계로 일일이 깎아내고 렌즈 장착 시
  압박하여 발생할 수 있는 렌즈의 뒤틀림마저 방지하기 위해 끼워 넣는 게 아니라 위에서 링을
  덧대고. 명품을 위한 것이랄까요......간혹 어느 회사는 황동 링보다 알루미늄 링이 좋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렌즈의 몸체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보다 단단한 황동
  재질로 만들면, 파손 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렌즈가 더 손상된다는 것이죠.  일리 있는 얘기
  입니다. 각각 장단이 있겠지요. 아무튼 이 회사 제품이 비싼지 납득할 수 있었습니다.
  머 가공상의 얘기는 둘째로 치고, 아무튼 우리야 어케 만들었든 품질만 좋으면, 되니까.. ㅎㅎ.
  흠집이 잘 발생하지 않고, 광학적 성능이 우수함은 물론, 흠집에 강하고 먼지가 잘 닦인다는
  겁니다. 광학적 성능이야, 코팅으로 투과율은 어느 정도 높일 수 있겠지만, 코팅막 자체가
  단단한가 하는 것은 별개의 얘기 입니다. 이런 점을 일본의 메이커가 제대로 따라잡지 못하는
  것이겠지요. 이게 독일 제와 일제의 차이인가 봅니다. 롤라이와 니콘, 메르세데스와 도요타의
  차이가 실존하는 것처럼. 최고의 필터이다 보니 설명이 길어졌습니다.
      i. 대부분의 B+W filters는 단층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멀티코팅의 경우 UV에 적용되어 있는데 구형 MC와 신형 MRC는 표면강화코팅의
        유무입니다. 신형 MRC의 경우 광 투과율은 99.5%입니다.

C. 겐코
   겐코, 토키나 호야.. 이 회사들은 사명과 브랜드가 다르지만 제품은 거의 동일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겐코라는 회사는 여러 회사들로 이루어진 겐코 그룹 중 하나로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가 아니라 판매만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겐코 그룹 내에는 판매를
   전담하는 겐코, 기계적 가공을 전문으로 하는 겐코 정밀, 산업용 렌즈코팅을 전문으로 하는
   겐코광학, 카메라 렌즈 등을 만드는 토키나 등의 회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웹을 찾아보면 kenko-tokina로 나옵니다. 여기가 바로 판매를 전담하는 겐코사의 홈페이지죠.
   호야는 호야그룹내의 브랜드입니다.
   겐코그릅과는 별개의 회사군이죠. 다만 이 회사는 안경렌즈 광학용 유리 등으로 세계적으로
   꽤 유명한 회사입니다. 첨단의 반도체 관련 제품을 생산하기도 하죠.
   호야의 카메라 렌즈 필터 중 일부는 토키나로부터 OEM공급 받습니다.
   전량인지 일부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적어도 UV나 PL의 일부 제품은 그렇습니다.
   제품의 스펙을 비교해도 동일하죠. 아마 뛰어난 브랜드 명으로 인한 것일 겁니다.
   제가 일보에서 다년간 거주 했었는데, 일본에선 호야라는 브랜드의 필터를 구경하지
   못했습니다. 적어도 카메라로 유명한 신주쿠나 저희 동네에서는 겐코와 마루미, 캐논,
   니콘 정도 였죠. 제가 며칠 전 호야의 super MC UV를 구입했습니다. 필터케이스 밑에
   금색으로 이렇게 써있더군요.. Made by Tokina. 사족이 길었습니다.
   해외에서는 오히려 호야가 더 유명합니다.
        i. 4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업체로 1960년대부터 일본 사진용 필터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는 업체입니다. 특히 쌍안경용 필터에서는 세계 최고라는 군요.
          알루미늄제 링을 사용합니다.
          파손 시 황동으로 제작된 링은 너무 단단하여 렌즈마운트를 파손시킬 위험이 커서,
          렌즈 마운트로 주로 쓰이는 알루미늄으로 제작한다고 합니다.
       ii. Standard, MC, HMC, PRO 등급 있습니다.
             1) Kenko Standard Filters
                양 면에 싱글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특수효과용 필터에는 코팅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2) Kenko Multi Coat
                광학적 투과율 97%의 멀티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3) HMC Series
                신 설계 하이그레이드 코트&발수 코트에 의해, 필터를 뒤따른 물방울이 떨어지고
               쉽고, 닦기가 간단.
             4) Super PRO Series
                광 투과율 99.7%의 멀티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슈퍼 시리즈는 최고급의 연마 기술과 멀티 코팅 기술을 구사해, 프로, 하이?아마추어
                의 요구에 대응한, 최고 품위 필터입니다.

D. 호야
    i. 1941년 일본 최초의 광학유리 제조업체로 설립. 정밀 가공된 알루미늄제 필터 프레임사용.
      렌즈 프레임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혹은 폴리카보네이트보다 동등하거나 약한 강도를 지닌
      알루미늄을 사용함으로써 충격이 가해질시 알루미늄보다 강한 황동 제 필터에 비하여
      렌즈의 손상을 줄일 수 있음.
    ii. Standard, Green, HMC(Hoya Multi Coating), Super MC (Super Multi Coated Filter),
       Pro, Ultra가 있습니다.
       유리는 BW 필터처럼 스냅 링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습니다. 일본제와 필리핀제가 있습니다.
             1) Hoya Green Series
                필리핀 산의 가장 저렴한 제품군입이다.
                UV, Sky and Circular Polarizer 만 있으며, 모두 코팅막 처리가 되어있지 않습니다.
             2) Hoya Standard Filters
                단층막 코팅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3) HMC(Hoya Multi Coated)
                광 투과율 97%의 각 면에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멀티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4) Super HMC
                광 투과율 99.7%. Skylight 1B, UV Filters ND 2X, ND4X 에는 각 면에 6층의 멀티
                코팅(5층의 광학코팅 및 1층의 스크래치 방지 코팅)이 적용되었으며, Ultra thin
                Circular Polarizer filters는 유리 후면에 7층의 멀티코팅이 되어있습니다.
             5) Ultra Series
                전면에 나사산이 없는 얇은 필터입니다.
                두께는 3mm입니다. UV/Circular Polarizer 복합필터는 5mm 입니다.
                멀티 코팅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광각계열의 렌즈 사용시의 비데팅을 감소시키기 위한 필터입니다.
                렌즈 캡을 제공합니다.
              6) Hoya Super Pro HMC Filters
                 1mm 두께의 특별한 광학유리를 사용하였으며, 양면에 각각 6층의 멀티코팅이 되어
                 있습니다. 광 투과율 99.7%. 두께 3mm의 알루미늄 필터 링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후로 2개의 나사산이 존재합니다.  슬림형 중에 전면에 나사산이 장착된 것은
                 전 메이커 통틀어 이 제품군이 유일합니다.

E. 마루미
    i. 일본내의 매장에서 겐코 다음으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품질은 겐코와 비슷하거나 약간 떨어진다고 봅니다. 가격대도 그렇습니다.

F. 로덴스톡
    i. 또 하나의 독일 필터, BW보다 약간 저렴합니다.
       RODENSTOCK FILTER는 HIGH QUALITY의 광학 GLASS에 특수강화코팅 처리되어 있어
       렌즈의 성능을 비교적 덜 떨어트린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ii. UV/IR (Ultra Violet/ Infrared Ray 자외선 및 적외선차단) FILTER
       디지털 카메라 및 CCD CAMCORDER (DIGITAL CAMCORDER)용 FILTER입니다.
       UV(자외선) 및 IR(적외선) 차단용 FILTER 입니다.

G. 비비타
    i. 일부러 폄하하는 것은 아니지만, 렌즈살 � 공짜로 끼워주는 필터로 유명하며, 차라리 쓰지
      말아라 하는 나쁜 평이 많은 필터입니다. 전 써본적 없습니다.
      일부러 깎아내리는 것은 아니고, 그런 글들을 웹 게시판에서 많이 봤습니다.

H. 니콘
    i. BW 다음으로 쳐주는게 니콘 필터입니다.
      품질은 캐논이나 미놀타 등 타 렌즈 메이커의 필터보다 우수하다고 봅니다.

I. 시그마
   i. 시그마….도 필터 팝니다.
     특이한 점은 이 회사의 MC CPL의 가격이 의외로 저렴하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은 평으로는 BW, Hoya 등 유명메이커의 필터나 렌즈 제조회사의 필터가 우수하다는
     겁니다. 그러나 실제로 MC CPL은 생산하는 회사가 드물며- BW kaesemann PL,
     Hoya Ultra CPL, hoya UV-PL, Marumi MC PL, Sigma MC PL-가격도 상당히 고가라는
     점입니다. 마루미와 시그마가 저렴하지만, 마루미의 제품은 평이 않좋습니다.
     특히 내구성에서, 저도 마루미의 MC PL을 써보았지만, 코팅 막에 쉽게 상처가 납니다.
     그런 점에서 저렴한 가격에 우수한 품질 면에서 좋은 점수를 주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