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등산로 등급따라 산에 오르세요~ 본문
![]() |
“등산로 등급따라 산에 오르세요” 산림청, 내년부터 난이도 등급 부여 내년부터 전국의 등산로에 1급부터 3급까지 등급이 부여된다. 산행 난이도나 안전도에 따라 어려운 구간은 1급, 쉬운 구간은 3급이다. 스키 슬로프와 같이 상급자, 중급자, 초급자 코스로 나누는 것이다. 자기 수준에 맞는 등산로를 택할 수 있게 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겠다는 취지에서다. 등산로의 경사도, 요철 정도, 안전시설 및 탈출로 유무 등이 기준이다. 1급의 경우 사고위험이 높아 전문 장비가 필요한 곳, 2급은 장비는 필요 없으나 노약자는 어려운 곳, 3급은 노약자도 이용 가능한 곳으로 구분된다. 또 2009년까지 등급, 주변 생태 역사문화자원, 소요시간 등 정확한 등산로 정보를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국가 표준 등산로 지도’가 발행된다. 지금까지의 지도는 발행기관별로 표시방법이나 정보가 다른 데다 알아보기 어려워 개선 필요성이 지적돼 왔다. 산림청은 5일 이 같은 내용의 ‘등산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올해부터 2017년까지 11년 동안 2400억원을 들여 안전하고 유익하게 등산을 즐기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등산 안내표지판, 이정표 등의 표준 디자인도 개발하기로 했다. 교통 표지판처럼 미끄럼주의, 추락주의, 위험구간 우회로, 노선 및 소요시간 등을 나타내는 디자인과 문안을 통일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이와 함께 약 1만8000㎞에 이르는 전국의 크고 작은 등산로를 도로처럼 행정구역이 아닌 노선별로 ‘국가등산로’〈지도〉, ‘지방등산로’, ‘지역등산로’로 구분하기로 했다. 전국 등산로 향후 10년간 체계적 정비 [산림청, 2017년까지 '등산지원 기본계획' 마련] 올해부터 약 1만8000킬로미터에 이르는 전국의 크고 작은 등산로가「국가 등산로」,「지방등산로」,「지역등산로」로 구분되어 관리ㆍ지원되고 100대 명산 등 전국 주요 산에는 종합 등산정보를 제공하는「등산안내센터」가 설치된다. 또 훼손이 심각한 등산로에 대해서는「등산로 휴식년제」가 실시되고 전국 주요 산에 대해서는「국가표준 등산로 지도」가 제작되는 등 국민의 등산활동에 대한 정부차원의 체계적인 지원정책과 사업이 추진된다. 산림청은 5일 종합적인 등산지원 정책과 사업계획을 담은『등산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국민들이 좀더 안전하고 유익하게 등산을 즐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림청이 지난 7개월여에 걸쳐 대학, 관련기관ㆍ단체, 관계부처, 지자체 등 등산관련 전문가 집단의 자문과 의견수렴을 통해 수립한『등산지원 기본계획』의 세부내용을 보면, 우선 등산로의 특성, 등산활동 지원주체에 따라 등산로 분류체계를 「국가등산로」,「지방등산로」,「지역등산로」로 새롭게 구분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소관 산림별로 국유림의 등산로는 국가가, 민유림(사유림+공유림)의 등산로는 지방자치단체가, 국립공원의 등산로(탐방로)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각각 관리해 왔으나 앞으로는 백두대간을 비롯한 9개 정맥과 같은 국가 주요 산줄기 등산로는「국가등산로」로 지정해 국가가 관리한다. 시·도 일주(一周) 등산로 등 지방자치단체의 중요 등산로는「지방등산로」로 지정해 광역자치단체가, 도시생활권의 등산로는「지역등산로」로 지정해 기초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등 등산로의 특성과 지원주체에 맞는 새로운 등산로 분류체계가 만들어졌다. 이같은 구분은 그동안 등산로 관리가 노선단위가 아닌, 산림소유 기준으로 국가와 지자체가 구간구간을 나누어 관리함으로써 관리 효율성이 떨어지고 주요 등산로 대부분이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경계선상에 위치하고 있어 지방자치단체간 관리주체가 불명확하여 등산로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와 더불어 보행편의성이나 안전도를 기준으로 1급부터 3급까지 등산로 등급을 구분하여 등산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등산객들이 자신의 체력 수준에 적합한 등산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등산로 분류체계 개선과 더불어 산림청은 전국 등산로 분포현황, 이용빈도, 훼손실태 등 등산자원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를 통해「국가표준 등산로 지도」를 제작ㆍ배포함으로써 등산정보를 표준화하고 누구나 손쉽게 등산지도를 활용하여 등산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를 위해 이미 「숲길 조사원」410명을 선발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산림청에 배치하였으며, 3월까지 조사요령 등에 관한 교육을 마치고 현장조사에 투입할 예정이다. 이밖에 전체 등산로 1만8000킬로미터의 약 30% 가량이 바닥침식, 노면확대 등으로 훼손되어 등산객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훼손 등산로는 신속히 복구하고 훼손이 심하여 복원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구간은「등산로 휴식년제」를 실시한다. 나아가 복원이 불가능하거나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등산로는 대체노선을 발굴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이와 같은 등산로 관리체계 개선 외에도 등산객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과 안전 프로그램 확대에도 투자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우선 등산로 주변에 야생 동·식물 해설판, 경관 해설판, 조류관망대 등을 설치하여 등산객들이 숲 체험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등산로 주변의 산촌마을, 자연휴양림을 등산과 연계한 숙박시설로 활성화하는 가운데 폐교를 야영장으로 전환하여 등산객들을 위한 숙박시설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산악마라톤, 산악자전거, 산악스키 등 산악레포츠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을 고려, 산림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지금까지 주로 산림경영을 위해 활용되어 온 임도시설을 정비하여 산악레포츠 공간으로도 활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100대 명산 등 주요 산에는「등산안내센터」를 설치하여 등산지도, 산악기상정보 등 종합적인 등산정보를 제공하고, 등산안내인이나 숲해설가도 배치하는 등 등산객을 위한 다양한 안내·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체계적이고 올바른 등산문화를 만들기 위해 등산학교를 운영하고 전국 8개 지역에는 산림청 항공관리본부 자원을 활용한 산악구조대를 두어 등산객의 안전사고에도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추어 나갈 계획이다. 등산은 우리나라 18세 이상 성인 5명 가운데 4명이 1년에 한번 이상 즐기는 취미생활로 약 1500만명 정도가 매월 정기적으로 산행을 하고 있고 연간 등산인구 만도 4억6000만명에 이르는 가장 활성화된 국민의 취미생활이다. |
'▒▒ 등산 가이드 ▒▒ > 등산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0) | 2007.04.09 |
---|---|
관악산 등산로 정보 (0) | 2007.03.27 |
겨울 산행시 T셔츠 중요성 (0) | 2007.03.15 |
선 글라스 사용법 (0) | 2007.03.13 |
전국 산행지도 981장 (0) | 2007.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