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경주기가 불규칙해지거나 얼굴이 달아오르거나 우울해지는 것이 단지 특정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일은 아니다. 일생에 한 번 폐경을 맞는 여성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이다. 폐경 전환기와 폐경기에 여성 호르몬이 부족해지는 폐경 증후군들이기 때문이다. 이 같은 폐경증후군은 왜 나타나는 것일까?
◆불규칙한 월경주기
초기에는 월경주기가 오히려 짧아지는 빈발월경을 경험하기도 하지만 점차 주기가 1주일 이상 길어지고 무배란성 월경이 되면서 월경주기는 2, 3개월 또는 그 이상으로 불규칙해지며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을 자주 경험하게 된다.◆달아오르는 얼굴
이는 여성 호르몬의 부족으로 말초혈관이 갑자기 확장되었다가 수축하기 때문이다. 주로 얼굴, 목, 가슴부위의 혈관이 확장되면서 열감과 함께 피부가 붉어지고 뒤이어 혈관 수축이 일어나서 환자는 땀을 흘림과 동시에 오한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폐경 전 후 여성의 약 75%에서 나타나며 그 중 25% 여성에서는 심각한 정도를 보이기도 한다. 증상의 지속시간은 대개 1~3분이며 하루에 5~10회 정도 나타나고 보통 1~2년 지속 후에 사라지지만 약 25% 여성에서는 5~10년 지속되기도 한다. 과체중 여성이나 스트레스, 불안, 음주. 더위 등에 의하여 증상이 더욱 심해지기도 한다.◆정서적 불안정 및 우울감
폐경은 여성다움의 상징을 상실하는 것으로 생식능력도 잃고 몸의 변화와 함께 여성으로서의 매력이 쇠퇴해지는 것을 느끼게 한다. 이로 인해 정서적 불안감과 우울증이 생기게 된다.<폐경기 여성 건강 관리>
1. 불규칙한 월경주기 또는 비정상적인 질 출혈이 있다면 피임약을 복용하거나 황체호르몬을 투여해 월경주기를 규칙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2. 갑상선 질환이나 심리적 문제가 원인이 아닌 안면홍조라면 에스트로겐을 투여받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가벼운 옷차림으로 체온을 낮추거나 살이 찌는 것을 막도록 한다. 금연과 적당한 운동이 도움이 된다.
3. 폐경 후 비뇨생식기의 위축으로 질벽의 건조, 소양증, 배뇨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것은 특히 흡연자, 성생활이 소극적인 여성, 또는 질식 분만의 경험이 없는 여성에서 더 심할 수 있다. 따라서 금연과 함께 적극적인 부부생활은 질의 위축을 막고 혈액순환을 증가시켜서 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에스트로젠 투여로 증상을 효과적으로 개선 할 수 있으며 질정이나 질크림의 형태로 된 호르몬을 사용하여 전신적인 투여로 오는 부작용도 줄일 수 있다.
4. 폐경 후에는 하루 1200mg의 칼슘이 필요하며 주요 함유식품에는 우유와 유제품(요구르트, 치즈), 뼈째로 먹는 생선, 콩류, 정제하지 않은 곡류, 두부, 녹색채소(시금치, 브로콜리) 등이 있다. 비타민 D는 주로 자외선 노출에 의해서 피부에서 합성되는데 노인에서는 피부의 합성능력이 감소한다. 일일 권장량은 400IU 이며 함유식품으로는 간유, 고등어, 청어 등 등 푸른 생선과 육류, 달걀 등이 있다.
씨밀레로 블로그
후끈거리는 당신, 혹시 폐경기 증후군? 본문
후끈거리는 당신, 혹시 폐경기 증후군?
'▒▒ 건강 이야기 ▒▒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저근 막염 (0) | 2007.03.13 |
---|---|
피부가 좋아지는 10가지 상식및 피부를 탱탱하게 하는 방법 (0) | 2007.03.13 |
몸속 독소 빼내는 디톡스 건강법 인기 (0) | 2007.03.13 |
담석증 (0) | 2007.03.13 |
회춘할려면 자주 만져 주세요 (0) | 2007.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