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등산장비의 종류 및 중량표 본문
# 등산장비의 종류 및 중량표
1. 야 영 구
품 목 |
규 격 |
형 태 |
중 량 |
비 고 |
---|---|---|---|---|
텐트 |
3~4인 돔형 |
|
3~3.5kg |
|
|
1인용 vivi색 |
고어텍스 |
1kg |
|
펀초 |
3m * 3m |
|
600g~1kg |
고밀도 다후다,방수코팅천 |
매트리스 |
50*160*4cm |
에어 |
1,130g |
therm-a-rest |
|
50*120*4cm |
|
680g |
|
|
50*180*2.5cm |
|
584g |
|
|
50*180*2.5cm |
발포고무 |
519g |
ridge-rest |
|
50*180*1.9cm |
|
400g |
|
|
50*120*1.5cm |
|
255g |
|
그라운드시트 |
195*175cm |
|
|
은박매트리스 |
서머블랭킷 |
195*175cm |
|
|
|
침낭 |
|
오리털 |
1.8~2.9kg |
섭씨 -5도~-25도사용 |
|
|
퀄로필 |
2~3kg |
|
|
|
기타 |
2.5~4kg |
|
침낭커버 |
|
|
600~900g |
고어텍스 900g 내외 |
해먹 |
|
|
300g |
그물침대 |
2. 조 명 구
품 목 |
규 격 |
형 태 |
중 량 |
비 고 |
---|---|---|---|---|
랜턴 |
콜맨 피크1 |
휘발유사용 |
780g |
케이스 310g |
|
양초랜턴 |
양초사용 |
170~250g |
알루미늄 구리합금 |
|
가스랜턴 |
부탄가스사용 |
200g |
케이스 115g |
헤드랜턴 |
페츨줌 |
aa건전지 |
170g |
건전지 미포함 |
|
페츨 마이크로 |
|
100g |
건전지1개(60~80g) |
|
페츨듀오 |
|
200g |
|
3. 운 행 구
품 목 |
중 량 |
비 고 |
---|---|---|
등산화 |
1.2kg~ 1.6kg |
동계가죽등산화 |
|
1.6kg~2.5kg |
플라스틱화 싱글~더블 |
아이젠 |
150g~300g |
4~6발 워킹용 |
|
1.1kg~ 1.34kg |
빙벽등반용 |
스패츠 |
100g~140g |
|
삼단스톡 |
400g~ 500g |
|
알루미늄수통 |
105g |
1L들이 |
|
60g |
0.5L들이 |
|
110g~140g |
0.6L들이 |
보온병 |
370g |
0.45L들이 |
(스테인레스) |
700g~800g |
1L들이 |
4. 취 사 구
품 목 |
규 격 |
형 태 |
중 량 |
비 고 |
---|---|---|---|---|
버너 |
콜맨 |
휘발유사용 |
680g |
용량 400ml peak1 |
|
콜맨 |
|
520g |
용량 650ml APEX2 |
|
가스버너 |
부탄가스사용 |
200g~275g |
270 카트리지 사용 |
코펠 |
3~4인용 |
알루미늉,스테인레스 |
900g~1400g |
|
|
1~2인용 |
|
500g~850g |
|
개인식기 |
|
플라스틱,알루미늄 |
80g~255g |
컵으로 사용 |
스픈셋트 |
|
|
15g~100g |
스픈,포크 |
바람막이 |
6~8단 |
알루미늄 |
150g~220g |
|
칼 |
|
|
30g~80g |
|
수낭 |
|
10L |
120g~290g |
|
조미료셋트 |
|
알루미늄 |
50g~450g |
개당7g(필름통크기) |
1. 배낭의 종류
* 용량에 따른 구분 용 도 용 량 당일산행용 20-35리터 산장이용 및 동계당일용 35-60리터 야영을 겸한 장기산행용 60-100리터
* 형태에 따른 구분
자루에 뚜껑이 달린 형태와 바깥부분 전체를 지퍼로 여닫는 전면개폐 형태가 있다. 뚜껑이 달린 모양은 물건을 넣었다 빼는 데 불편이 있다. 전면개폐식은 물건을 넣고 빼기는 쉽지만 개폐용 손잡이가 미끄러져 내용물이 흘러내릴 우려가 있으므로 개폐용 지퍼를 한쪽 옆으로 모아두어야 한다. 소형배낭일 경우, 모양이 물방울 떨어지는 모양같이 생겨 티어드롭 (TEAR DROP)형이라 불리기도 하는 전면개폐식이 편하고 물건도 보기보다는 많이 들어간다. 우선 필요한 용량을 선택해야 하고 무엇보다도 자신의 몸에 잘 맞아야 한다. 등판시스템이 좋아 어깨와 허리에 골고루 무게 분산이 되어야 한다. 지퍼 알이 굵어야 하고 멜빵이 인체에 맞게 디자인되고 튼튼해야 한다. 요즘은 거의가 방수처리된 원단을 사용하지만 사용한 배낭원단을 확인해보고 구입한다. 겉으로 보이는 디자인보다는 자신이 직접 매어보고 자신의 체형에 잘 맞는 배낭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3. 배낭꾸리는 방법 배낭을 꾸릴 때에는 집에서 미리 기본장비의 목록을 만들어 완벽하게 꾸려서 집을 나선다. 비가 올 경우를 대비하여 배낭 안에 커다란 비닐주머니를 넣어 방수가 되도록 하고 배낭커버를 준비한다. 배낭에 넣을 짐들을 미리 모두 내놓고 용도나 사용시기에 따라 작은 주머니에 나누어 담은 뒤 넣으면 찾기 편하다. 배낭아래에는 무게가 가벼운 것(침낭,의류), 위쪽에는 무게가 무거운 것을 넣고 무거운 것은 될수록 등판 쪽에 넣는다. (텐트나 식량 등) 무거운 것을 위쪽과 등판 쪽으로 넣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배낭을 매고 걸을 때 상체를 조금 숙이므로 배낭의 무게가 몸의 중심선에 놓이게 되도록 짐을 꾸려야 하기 때문이다. 오버복, 물통 등 자주 쓰는 것을 위쪽을 넣고 배낭헤드나 바깥주머니에는 자주 사용하는 물건(지도, 나침반, 칼, 휴지, 간식, 컵, 헤드랜턴, 배낭 카바)을 넣는다. 무리없는 하중의 한계는 자기 몸무게의 1/3까지므로 초보자의 경우에는 무리하게 무거운 배낭을 매지 않고 산행경험을 쌓고 배낭꾸리는 요령을 터득한 후 점차로 무게를 늘려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낭밖에 수통이나 컵, 텐트폴등을 달고 다니지 않도록 한다. 배낭을 벗어둘 때는 허리박클을 꼭 채워두도록 한다. 배낭의 늘어지는 끈 등은 나뭇가지에 걸려 사고의 위험이 있으니 고무밴드나 테이프를 이용하여 잘 간추려 둔다. 배낭 속에서 달그락거리는 소리가 나는 것은 잘못 꾸려진 경우이다. 산행 중에 소리가 나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주위사람들에게 실례가 된다. 배낭을 맸을때 배낭 밑 부분이 자신의 허리 밑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한다. 4. 배낭 중량을 줄이는 법 |
1. 종 류
구 분 |
설 명 및 사 용 처 |
---|---|
중등산화 |
창이 두꺼움, 무거워서 기동성이 떨어짐, 발바닥충격 완충작용, |
경등산화 |
기동성이 좋아 당일산행과 하계용에 효과적. |
전문등산화 |
릿지화, 암벽화 |
2. 재 질 |
바람에 의한 체감온도 환산표
풍속/기온 |
5 |
0 |
-5 |
-10 |
-15 |
-20 |
-25 |
---|---|---|---|---|---|---|---|
2.5 |
3 |
-3 |
-8 |
-13 |
-18 |
-23 |
-28 |
5.0 |
0 |
-5 |
-11 |
-19 |
-23 |
-30 |
-39 |
7.5 |
-3 |
-10 |
-19 |
-25 |
-32 |
-37 |
-45 |
10.0 |
-8 |
-15 |
-22 |
-30 |
-37 |
-45 |
-50 |
12.5 |
-10 |
-16 |
-25 |
-33 |
-40 |
-47 |
-53 |
15.0 |
-12 |
-18 |
-27 |
-35 |
-42 |
-50 |
-56 |
17.5 |
-12 |
-20 |
-28 |
-37 |
-43 |
-51 |
-58 |
등산의류의 재질에 따른 특성 종류/특성 흡습성 발수성 보온성 방풍성 감촉 변형 무게 면직류 좋음 나쁨 나쁨 부드러움 모직류 나쁨 좋음 가벼움 폴라텍 좋음 좋음 좋음 나쁨 부드러움 안됨 가벼움
등산의류 최신 재질에 대한 소개
1. 오 버 복 이 란
1. 폴라텍이란 |
구 분 |
설 명 및 사 용 처 |
---|---|
폴라플리스 |
최초의 생산품, 보풀이 일기때문에 안감으로 쓰임 |
폴라플러스 |
이중조직으로 양면모두 벨벳같이 부드러움, 대부분의 폴라계의류에 사용 |
폴라라이트 |
폴라플러스보다 얇고 가벼움, 신축성을 위해 라이트라 섞어 직조 |
폴라텍 |
부드러운 촉감과 함께 흡습성이 뛰어나 내의용, 활동용으로 쓰임 |
풀라터프 |
폴라플러스에 보풀방지를 강화한 것으로 극한지방에서 사용할 때 뻣뻣해지거나 터지지 않도록 개발된 원단임 |
폴라텍 파워스트레치 |
듀퐁사 원단인 코듀라 플러스 사용, 내마모성 강함 |
4. 분 류 방 법
여러가지 제품이 나오다보니 소비자들이 혼돈을 가져 그 명칭을 원단의 밀도를 수치로 표시(가로세로 25cm당 원단의 그램
수)하여 분류한다.
구 분 |
설 명 및 사 용 처 |
---|---|
100시리즈 |
가벼움, 통기성좋음, 안감이나 셔츠에 주로 사용 |
200시리즈 |
기본 외줄복쟈켓이나 바지 |
300시리즈 |
기온이 매우 낮은 외부활동용, 등산용재킷 |
폴라마이크로텍 |
언더웨어, 목출모에 사용 |
5. 구입시 주의할 점
1. 종 류 |
텐트 제원의 예 :
텐트의 생명은 통기성과 방수성이다. 질기며 가벼워야한다. 주거공간이 넓어 거주성이 좋아야 한다. 설치와 해체가 간편해야 한다. 본체와 플라이에도 환기구멍을 설치했는지.... 벽면 망사잡주머니 설치여부...방충망 설치여부. 지붕면에 끈걸이.....랜턴걸이 여부.... 튿어지기 쉬운 지퍼의 시작부분에 원단을 이중으로 덧대어 튼튼한지... 폴튜브에 폴을 끼우기 간편한지/ 가볍고 탄력성이 강한 듀랄루민 폴인지... 텐트폴 끼우고 플라이로 텐트를 씌웠을 때 플라이와 본체가 넉넉하게 공간을 유지하는지.... 입구는 터널식구조(동계용)와 지퍼식구조(하계용)로 나뉜다. 본체의 방수코팅바닥이 땅위로 10센치이상 올라와서 방수기능을 잘 하는지.... 텐트와 플라이 사이에 짐을 둘 수 있을 정도의 여유공간이 있는지.... 플라이밑단이 땅까지 닿아 여유가 충분해서 보온성이 뛰어난지..... 문을 여닫기 편하도록 구입후 지퍼에 넉넉한 끈을 달아준다. 5. 켐프사이트로 적합한 장소 바람이 강하지 않은 곳 / 맞바람이 불지 않는 곳 / 땅이 고른 곳 / 낙석, 눈사태의 위험이 없는 곳 / 양지바른 곳 / 경치가 좋은 곳 / 빗물이 잘 빠지는 곳/ 식수가 가까운 곳 6. 텐트설치하는 순서 미리 텐트와 준비물(삽, 조임끈, 그라운드시트, 햄머, 돌)등을 모두 꺼내 놓은 후 땅바닥에 그라운드시트(판초우의, 방수깔개, 비닐)를 깔아준 뒤 텐트입구를 바람이 불어오는 반대방향으로 놓고 텐트를 사각으로 펼친다. 텐트의 네귀퉁이를 먼저 팩으로 고정시킨다. 폴을 대각선으로 해서 폴 양끝을 귀퉁이에 끼우고 플라이를 씌운 다음 당김줄을 45도 각도로 박은 팩에 고정 시킨다. 당김줄은 잘 보이도록 끈을 매달아두어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표시해둔다. 우천시를 대비하여 배수로를 판다. 7. 텐트생활에서 유의할 점 야영지를 선택할 때는 늘 사용하던 야영지라도 계절에 따라 적합하지 않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지형이 낮은 곳과 맞바람이 부는 곳은 피한다. 여름에는 폭우를 주의하고 탈출로를 사전에 확인해두고, 겨울에는 눈사태의 위험을 고려해서 주위를 잘 살펴보아야 하고 낙석의 가능성도 고려한다. 텐트 두 동을 서로 마주보고 치면 편리하고 모든 장비는 정리정돈을 잘 해둔다. 텐트 밖의 장비는 자기 전에 다시 한번 잘 덮고 점검해둔다. 될 수록 텐트 안에서는 취사를 삼가한다. 밀폐된 공간인 텐트 안에서 불길이 치솟아 오르는 사고가 발생하면 텐트 안의 산소를 갑자기 소모하기 때문에 텐트가 쪼그라들며 사람이 질식하므로 위험하다. 버너용 연료는 항상 텐트 밖에다 두고 버너와 가스랜턴은 사용한 후 텐트와 플라이사이에 둔다. 동계에 가스랜턴을 보온용으로 켜두고 자다가 불이 꺼지면 가스가 바닥에 깔리면서 질식으로 인한 사고의 우려가 있다. 사용한 가스버너도 항상 버너와 연료 통을 분리한 뒤 텐트밖에 보관한다. 잠을 잘때 머리맡에 헤드랜턴과 수통을 두고 자고 칼 안경등 자주 사용하는 잡물은 잡주머니나 모자에 넣어 찾기 쉬운 곳에 둔다. 이외에 필요없는 물건은 모두 배낭에 넣어두는 버릇을 들이면 텐트안 여유 공간이 넓어지고 필요한 장비를 찾기 쉽다. 식기를 세척할 때는 샘터나 계곡에서 물을 떠서 조금 떨어진 곳에서 따로 세척해야 한다. 흐르는 물에 세면, 세탁, 식기세척은 삼가한다. 아침에 이슬에 젖은 텐트는 플라이를 걷어 나뭇가지에 걸어 말리고 몸체는 뒤집어 바닥을 말린다. 산행을 마친 후 텐트는 완전히 말려서 부풀은 상태에서 보관하고 더러운 부분은 솔이나 물로 털어내고 세제나 비누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텐트의 수명을 위해 좋다. ★ 비 박 (BIVOUAC)이란 등산도중 예상치 못한 사태가 일어났을 때 한데서 밤을 지새우는 것을 말한다. 침낭커버, 비박색, 비박용텐트, 잡끈, 비닐, 판초 등을 준비한다. 자연과 더욱 가까이 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준비로 비박을 즐기는 추세다. 비박을 할 경우 노출에 의한 체온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자는 동안에는 에너지의 생산이 현저히 줄기 때문이다. 마른 옷으로 갈아 입고 모닥불을 피우거나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음식을 섭취 하는 것이 중요하다.
1. 재 질 |
★ 침낭제원의 한 예
품 명 |
원 단 |
충 전 재 |
비 율 |
---|---|---|---|
익스피디션 |
수입고밀도나일론 |
구스 1500g |
9:1 |
" |
E엔트란 |
구스 1500g |
9:1 |
알피니스트에이 |
다후다 |
덕 1300g |
9:1 |
" |
dryloft |
덕 1300g |
9:1 |
알피니스트 비 |
다후다 |
덕 1100g |
9:1 |
★ 원단의 설명
1. 매트리스
1. 가스스토브
2. 콜맨(휘발유)스토브
|
- ★ 무게 및 연소량 비교
구 분 |
스토브무게 |
연료통용량 / 무게 |
---|---|---|
가스스토브 |
200~300그램 |
270그램 (카트리지70그램) |
휘발유스토브 |
500~700그램 |
350ml |
★ 1끼 1인당연료량 (4~5명 밥 찌개 차 취사시)
구 분 |
하 계 |
동 계 |
---|---|---|
부탄가스 |
60그램 |
70그램 |
휘발유 |
45cc |
60cc |
콕 헬
가스/휘발유랜턴 |
'▒▒ 등산 가이드 ▒▒ > 등산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 길라잡이 (0) | 2008.05.05 |
---|---|
등산교실 (0) | 2008.05.05 |
산정보 미리 파악하기 (0) | 2008.02.16 |
등산관련 유용한 사이트 모음 (0) | 2007.12.24 |
한국여행 정보은행 (0) | 2007.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