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산속의 숨은 진주 칡 본문

▒▒ 건강 이야기 ▒▒/토종나무

산속의 숨은 진주 칡

청산거사 2008. 5. 2. 18:29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칡이란?
칡은 다년생 식물로서 겨울에도 얼어죽지 않고 대부분의 줄기가 살아 남는다.

줄기는 매년 굵어져서 산기슭이나 양지에서 자라는데 적당한 습기와 땅속깊은 곳에서 잘자라며

줄기의 길이는 20m이상 뻗쳐 나간다. 칡은 생명력이 강하고 땅의 영양소들을 흡수해

우리 몸에 좋은 많은 량의 비타민과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고지혈증을 완화하고 치료하는 데 탁월한 효능을 가진 것이 "칡"이다.

[동의보감]에 나와 있는 문헌에 따르면 "칡을 즙을 내어 장기간 복용하게 되면 장기를 보하고 신체의 기순환 및 혈액을 잘돌게 하여 몸을 보신하며 머리에 몰려있는 나쁜 기운을 몰아내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데 큰 효능을 보인다"고 나와있다.


♠ 고전문헌에 수록된 칡의 효능은?

강장성 수림약으로 남성의 경우 낭습이 유난히 많고 정력이 감퇴되는 음위증에 크게 활용되며, 신경안정내지 보강의 약효가 있어 유정(조루)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소변의 절제를 원활히 하는 한편, 여성의 경우 정신쇠약으로 인한 불임증에 크게 활용되는 묘미를 지녔으며,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남녀 모두에게 좋은 식물로 알려져 있다.
신경쇠약으로 인한 시력감퇴와 야맹증에 효과적이며, 또한 속을 덥게하여 간을 보호하고 소변을 줄이고 정력과 양기를 강하게 한다.
발한과 해열약으로 감기, 폐렴, 기침, 항암작용 및 당뇨에 탁월한 효과를 나다낸다.
또한 칡즙을 장기간 복용하면 혈압을 낮추며, 피를 맑게하여 건강에 활력을 주는 등의 역할을 한다.
[출처 : 동의보감, 본초강목, 당본본초, 약성론]


♠ 칡에 대한 현대의학적 약리작용은?

1. 항산화 물질 : 우리 몸에서 에너지 생산이나 기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일종의 독성 노폐물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물질인 항상화 물질은 노화예방과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피를 맑게하는 효과가 있다.

2. 탄닌 : 체내에 생성된 독성분인 알칼로이드의 인체 흡수를 막고 노폐물을 배출시킨다.

3. 안토시아닌 : 세계적으로 인정된 인삼에 들어있는 성분으로 항암치료 및 항암효과, 거담, 진해, 콜레스테롤 분해 촉진, 고지혈증에 탁월한 효과와 동맥경화 방지, 당뇨예방 등에 좋은 영향이 있다.


칡을 캐는 가장 좋은 시기는 11월에서 5월 ?
 
칡은 잎과 줄기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영양분을 뿌리에서 흡수해 잎과 줄기로 전달됩니다.

칡의 성분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이 수분인데, 칡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뿌리에 저장된

수분과 영양분을 먹고 번성도 하고 살아가는 것이겠지요~

그런데 여름이 지나고 9월말쯤부터는 잎과 줄기가 지기 시작하고 겨울이 될수록 뿌리만 남게됩니다.

다음해 봄이 되어 잎과 줄기가 다시나오기 전동안엔  모든 영양분이나 수분을 뿌리에 저장해두기 때문에

아마도 채취시기가 늦가을에서 초봄이라고 말하는것이지요~

실제로 즙을 내보면 11월에서 5월정도 캔 칡에서 제일 많은 수분이 나옵니다.

맛도 계절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여름에 캔 칡에서는 쓴맛이 많이 나고 겨울이나 봄에 캔 칡에서는 단맛이 많이 납니다.

한편으로, 어떤 분은 여름칡이 더 좋다고도 말합니다.

칡은 갈증해소에 좋은 식품이기때문에 여름에 칡을 즙내어 먹으면 갈증이 안난다고도 합니다.

 

< 칡즙, 칡 효능 > 

1.학생:여드름 방지 및 면역성 증강.

2.여성:식물성 에스트로겐 콩의 10배, 석류의 628배, 골다공증 예방, 피부미용 및 갱년기 시기 늦춤.

3.남성:피로회복, 숙취해소,

기타효능: 변비, 기력회복, 관절염, 어깨결림, 불면증, 변비통, 간기능개선, 피부개선, 노화방지 효능. 고혈압으로 인한 두통, 해열, 갈증.

고혈압, 동맥경화, 노인성당뇨병, 협심증 해열과 갈증에 큰 효과. 과음 욕구 저하.(음주에 대한 욕구 저하).술로 인해 생긴 병이나 갈증.


동의보감」에 칡 뿌리의 약성으로 「성질은 평하고 서늘하다. 맛이 달며 독이 없다. 풍한으로 머리가 아픈 것을 낫게 하며 땀구멍을 열어 주며 술독을 푼다. 소화를 잘되게 하며 가슴에 열을 없애고 소장을 잘 통하게 하며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다. 허해서 나는 갈증은 칡 뿌리가 아니면 멈출 수 없다. 술로 인해서 생긴 병이나 갈증에 쓰면 아주 좋다.」고 적혀 있다.

폐경기 여성에게 보약 "칡"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는, 칡~!!

중년 여성이 칡을 즐기면 폐경을 지연시키고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는데... 최근 칡 속에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키고 골다공증치료에 탁월한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밝혀지면서 칡이 건강식품으로 다시 한번 주목을 받고 있다! 이미 칡은 숙취 해독, 위장. 간장 보호, 소화불량, 해열, 설사, 변비, 당뇨, 피로 회복 등에 효과가 있고 탄수화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건강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칡의 성분

*칡뿌리의 성분--칡뿌리의 일반성분으로 단백질, 섬유, 칼슘, 지방, 철분, 당질, 비타민 등 다양한 성분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칡뿌리의 주성분으로 전분 10~14%들어 있습니다


질병에 이용하는 방법

1. 당뇨병

칡뿌리 120g에 물 반되(900ml)를 붓고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1일 3회 나누어 마신다. 오래 복용하면 상당한 효험이 있다.

2. 부종

칡뿌리 200g에 물 1되를 붓고 물이 1/3이 되도록 달여서 1일 3회 밥먹은 뒤에 마신다. 3~5일 계속하면 효과가 있다.

3. 고혈압, 협심증

가을에 칡뿌리를 캐서 잘게 썰어 그늘에 말려서 하루 100g에 물 반 되를 붓고 절반이 되게 달여서 그 물을 조금씩 수시로 마신다. 오래 복용하면 심장이 튼튼해지고 혈압이 안정된다.

4알콜중독

칡뿌리를 날 것으로 생즙을 내서 한번에 한잔씩 하루 세번 밥먹기 전에 마신다.

15일쯤 복용하면 술독이 깨끗하게 풀린다.

5. 황달

칡 뿌리를 잘게 썰어 말린 것 80~120g을 물로 달여서 하루 3~4번에 나누어 마신다

6. 불면증

칡을 날것으로 즙을 내어 한잔씩 잠자기 전에 마신다.

7. 구토, 구역질

칡뿌리를 즙을 내어 한번에 한잔씩 마시거나 칡뿌리르 200g에 물 반되를 붓고 1/3로 줄어 들때까지 달여서 하루 세번 밥 먹기전에 먹는다.


 일반적인 용법(용량)

뿌리 또는 꽃 4~12g에 물 700ml를 넣고 2~3시간 달여서 식후 1시간에 복용

 채약시기

뿌리는 3월, 꽃은 8월

 주의

칡 뿌리는 성질이 차가우므로 몸이 찬 사람, 곧 소음이나 태음체질인 사람이 오래 복용하면 좋지 않다. 칡은 소양체질인 사람, 몸에 열이 많은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자 보약이다.

 금기

땀을 많이 흘리는 시기(땀구멍을 열어주는 작용 등)

 칡술(감기, 당뇨, 불면증)

1. 만드는 법

토막 낸 갈근 1kg을 용기에 넣고서 소주 3~6리터를 붓는데 갈근은 소주를 빨아들이므로 나중에 소주를 더 추가해도 무방하다. 3개월 쯤 저장하면 완숙되는데 색깔은 짙은 커피색으로 맛은 달콤하고 갈근 특유의 향내가 나는 약술 맛이 난다. 제맛으로 마셔도 좋으나, 꿀을 가미하면 더욱 향기로운 약술이 된다. 맑은 술은 체에 밭여 떠내고 한번 더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오래동안 저장하면 첫번째 술보다 순하고, 진기한 갈근주를 얻을 수있다. 갈근주는 모과주나 매실주에 가미하면 더욱 마시기 쉽고 맛도 좋다.

2. 효능

갈근의 성분은 다량의 전분이다. 초기감기, 발한, 해열, 정강, 불면증, 요통, 당뇨 등에 효과가 높다. 

 좋은 칡 구하기

1. 구별법

좋은 칡은 육질이 부드럽고 색깔도 밝으며 유즙이 많으며 달콤하다(일부지방에서는 가루칡, 살칡이라고도 한다). 반면에 품질이 좋지 않은 것은 씹어보면 꼭 나무뿌리 씹는 것 같고 육질도 질기고 어두운 색깔이 난다(나무칡이라고 부르기도 함)

2. 칡 구하기

직접 캐는 것이 제일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힘든 경우가 많을 것이다. 무턱대고 한약재료상이나 약초집에서 구입하기 보다는 시골장이나 재래시장 등에서 직접채취한 것을 구입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3약초 말리기

약초를 잘게 썰어 말릴 때에는 바람이 잘 드는 그늘진 곳에서 말려야 한다. 아파트의 발코니는 그 훌륭한 장소가 될 것이다. 또 방바닥에 신문지를 깔고 방바닥의 온열로 말리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