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중국펀드 77% 수익났다..해마다 지역 바뀌어 본문

▒▒ 생활 이야기 ▒▒/재테크교실

중국펀드 77% 수익났다..해마다 지역 바뀌어

청산거사 2007. 1. 11. 14:33

 

- 중국펀드 2005년 3%에서 작년엔 77% 성과
- 2005년엔 유럽 이머징이 강세..2007년엔 저평가 시장에 주목을

지난 해 펀드시장에서 화제는 단연 '해외펀드'였다. 특히 해외주식펀드는 글로벌 증시의 강세를 배경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양호한 수익률을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머징 증시의 상대적 강세 현상이 나타나면서 신흥국 주식펀드 수익률도 두각을 나타냈다.

다만 해외펀드 수익률은 해마다 지역별 순위가 바뀌었다. 이에 따라 과거 실적을 일방적으로 뒤쫓아 투자에 나서기보다는 지역별로 고른 분산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펀드평가사 제로인(www.funddoctor.co.kr)은 9일 지난 한해동안 리퍼 투자지역별 글로벌 펀드 수익률(기준통화 기준)을 조사한 결과, 조사지역 모두에서 플러스수익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글로벌 주식펀드와 글로벌 이머징 마켓 주식펀드는 각각 20.08%, 31.26%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조성욱 제로인 연구원은 "미국, 홍콩, 호주, 페루, 중국, 베트남, 러시아 등 주요 국가들의 증시가 역사적 고점을 돌파하는 등 글로벌 증시의 상승세가 이어졌다"며 "특히 중국, 남미,인도 등 신흥국 시장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 해외펀드 2005년 유럽 이머징에서 2006년엔 중국펀드 대박

이에 따라 중국 주식펀드는 지난 해 1년 동안 76.76% 상승하며 조사지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중국 주식펀드가 강세를 보인 것은 중국 정부의 증시 계혁과 중국 경제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중국증시가 급등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조 연구원은 "중국은 높은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QFII(외국기관투자자)와 QDII(적격국내기관투자자)의 자금증가 등 외국인의 중국 증시에 대한 관심이 지속되었다"고 밝혔다. 또 올림픽과 엑스포 등 굵직한 국제행사가 예정되어 있고, 그 동안 외국인과 내국인으로 나뉘어 있던 중국 증시가 통합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인도주식펀드는 지난 해 38.5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작년 1분기까지 급등세를 유지했던 인도주식 펀드는 5월과 6월 수익률이 급반전 됐으나 6월 이후 부터 재차 반등에 성공하며 전고점을 넘어서는 등 오름세를 유지했다는 분석이다.

남미 이머징 주식펀드는 2006년 한해 동안 가장 높은 168.3%의 수익률을 보인 페루를 비롯해 ▲브라질 32.83% ▲멕시코48.56% ▲아르헨티나 35.45% ▲칠레 34.41% 등 남미지역 증시가 동반 상승하면서 21.3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유럽 주식 펀드는 같은 기간 17.59% 상승했으며 아시아태평양주식펀드(일본제외)도 아시아 증시가 견조한 상승세를 기록한데 힘입어 30.24%의 수익을 올렸다.

반면 글로벌 증시 상승세에서 소외되었던 일본 주식펀드는 연말의 반등에도 불구하고 1.01% 상승에 그치며 부진한 성과를 보였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유럽 이머징 마켓 주식펀드 15.97% ▲북미 주식펀드 11.86%의 수익률 흐름을 보였다.



조 연구원은 "2005년 수익률 최상위지역이 유럽 이머징에서 2006년엔 중국으로 바뀐 것처럼 외국펀드의 수익률 상위 지역이 해마다 바뀌고 있다"며 "기존의 투자지역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지역의 저평가된 시장에 투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펀드 수익률 14.29%로 1위

한편 지난 해 상반기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적인 금리인상 추세로 고전했던 해외 채권펀드는 6월 이후 금리 상승세가 꺽기면서 장기물을 중심으로 금리가 지속으로 하락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익을 거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난 2006년 한해 동안 리퍼의 투자지역별 글로벌 펀드 수익률(기준통화 기준)을 조사한 결과, 글로벌 채권펀드 평균수익률은 7.95%을 기록했다.신흥시장 채권에 투자하는 글로벌 이머징 마켓 채권펀드는 12.41%의 수익을 거뒀다.

유럽 채권 펀드와 유로 채권펀드는 금리인상이 이어지면서 각각 0.65%, 0.38% 하락하면서 부진한 성과를 거두었다. 글로벌 하이일드 채권펀드는 같은 기간 14.29% 상승하는 강세를 나타내며 조사대상 지역중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였다.

미달러 하이일드 채권펀드가 7.97%의 수익률을 기록했고 유럽 이머징 채권펀드가 1.82%의 수익을 거뒀다.그 밖의 지역에서는 ▲미달러 채권펀드 2.93% ▲유로 하이일드 채권 펀드 5.96% ▲아시아 태평양 채권펀드 9.39%의 수익률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