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삼 백 초 본문
![](http://www.teamate.co.kr/blog_gal/1109_2.jpg)
변비, 당뇨병, 간장병, 암, 고혈압, 심장병, 부인병, 신장병 등 갖가지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에
주목할 만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주된 효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삼백초(三白草)는 변비와 숙변을 없애는데 효과가 탁월하다.
숙변은 두통, 고혈압, 간장병 등 만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삼백초에 들어 있는 쿠에르치트린, 이소쿠에르치트린, 프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이
변통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한다.
둘째, 삼백초(三白草)는 해독 및 이뇨작용이 매우 뛰어나다.
공해물질로 인한 중독, 간장병으로 인하여 복수가 차는데
신장염, 부종, 수종 등의 치료에 효력이 있다.
간염, 간경화 같은 간장질환과 당뇨병 치료에도 일정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삼백초(三白草)는 고혈압, 동맥경화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크다.
고혈압, 동맥경화는 심장병, 중풍, 뇌졸중 등의 원인이 된다.
삼백초를 차로 해서 늘 마시면 모세혈관이 튼튼하게 되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진다.
넷째, 삼백초(三白草)는 갖가지 부인병에 효과가 있다.
냉 대하, 자궁염, 생리불순, 자궁탈출 등을 치료한다.
자궁이 아래로 처져 고생하던 부인이
삼백초 뿌리를 달인 물로 찹쌀밥을 지어먹고 나았다는 임상결과가 나와 있고,
밖의 갖가지 여성질환에도 큰 효험을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다섯째, 삼백초(三白草)는 염증을 없어지게 하고, 항암작용이 강하다.
중국에 사는 박순식이라는 조선족 여의사가
삼백초와 짚신나물 등을 이용해서 갖가지 말기암 환자 80명을 90%이상 고쳤다고 한다.
특히 폐암, 간암, 위암 치료에 효과가 탁월하다고 한다.
삼백초(三白草)로 난치병을 치료한 사례가 많다.
고질적인 두통, 고혈압, 만성변비, 기관지염, 악성무좀, 심장병,
비만증, 중풍으로 인한 보행 및 언어장애, 악성 여드름, 만성피로, 습진,
피부병, 화상 등이 삼백초를 먹거나 짓찧어 붙이는 방법으로 나았다는 기록이 있고
정력이 좋아졌다는 보고도 있다.
" 삼백초는 그 효능과 성분이 아직까지 미지에 가려져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신비스런 약초이다. "
--------------------------------------------------------------------
삼백초(三白草)는 소담(消痰)·파벽(破癖)·제적취(除積聚)
즉 「옆구리와 뱃속의 혹이나 덩어리 제거작용은
오늘날처럼 복부(腹部)의 각종 기관에 이상형성물(異常形成物)이 많이 생기는 상황 아래에서는
우리의 건강 생활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이런 옆구리와 복부의 혹·덩어리는 경변체(硬變體)나 암(癌)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암(癌)은 어떤 일종의 질병(疾病)이라기 보다는
그 환자(患者)의 총체적 생명현상(總體的 生命現象)의 파탄이 특정 부위에 나타난 현대의 사신(死神)으로서
아직도 온 인류의 공포를 자아내고 있는 것은 다 아는 바와 같다.
만약 암(癌)에 듣는 자연약(自然藥)이 있다면
이 약은 성인병(成人病) 전반에 듣는 것이다.
삼백초(三白草)라는 풀에 이런 힘이 있다면 삼백초야말로
딴 약초(藥草)와는 비교도 안 될 생명력(生命力)을 지니고 있다고 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 수종(水腫) - 인체 내에 수분이 많으면 몸이 붓기도 하고
혹은 차기도 하고 감기나 비염 축농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각기(脚氣) - (다리 아픈 것). 암. 모든 종기, 대변과 소변의 작용을 이롭게 한다.
▶ 소담파벽(消痰破癖) - 가래가 오래도록 떨어지지 않은 것
▶ 제적취(除積聚) - 복부에 오래된 기적(氣積), 혈적(血積), 식적(食積),
주적(酒積), 담적(痰積)을 낫게 한다.
▶ 소정종(消汀腫) - 종기를 사라지게 한다.
▶ 영인토역제학(令人吐逆除虐) - 구토를 낫게 하고 학질을 제거한다.
▶ 흉격열담(胸膈熱痰) - 가슴에 열이 있고 담이 있는 것
▶ 소아비만(小兒비滿) - 소아가 가슴 밑이 더부룩한 것
'▒▒ 건강 이야기 ▒▒ > 토종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산야초 및 동물, 광물 약이되는 재료들 (0) | 2006.08.29 |
---|---|
약초 복용담 (0) | 2006.08.29 |
산과 들에 피어나는 각종 산야초...[식물도감] (0) | 2006.08.08 |
약용식물도감 (0) | 2006.08.08 |
냉이의 효능 (0) | 2006.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