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옛 선조들의 지혜
1. 오행 식이요법 황제 내시경의 글귀를 살펴보면 육장육부의 음·양·허·실과 인간의 근본이 있으면 만병의 근원이 있다고
하였다.
木
|
|
|
|
|
|
신맛 고소한 맛
|
|
|
간과 담낭에 영양을 주어 건강하게 한다. 영양이 과다하면 목극토(木克土)하여 비장와 위장을 상하게 한다. 병들면 신맛이 나는
음식을 집중적으로 공급하되 병이 나으면 공급을 줄여야 한다. |
|
|
|
|
음식 |
|
|
토마토, 작약, 꽈리, 오미자, 산조인, 산수인, 모과 |
|
|
|
| |
간장 담낭 |
火 |
|
|
|
|
|
쓴맛
|
|
|
심장과 소장에 영양을 주어 건강하게 한다. 영양이 과다하면 화극금(火克金)하여 폐와 대장을 상하게 한다. 병들면 쓴맛의 음식을
집중 공급하되 명이 나으면 공급을 줄여야 한다. |
|
|
|
|
음식 |
|
|
수수, 커피, 녹차, 건과류(특히 호도, 잣), 영지, 익모초, 질경, 우황, 웅담 |
|
|
|
| |
심장 소장 |
상 火
|
|
|
|
|
|
떫은 맛 |
|
|
심포와 삼초에 영양을 주어 건강하게 한다. 영양이 과다하면 화극금(火克金)하여 폐와 대장을 상하게 한다. 병들면 떫은 맛의
음식을 집중 공급하되 병이 나으면 공급을 줄여야 한다. |
|
|
|
|
음식 |
|
|
향부자, 시호, 빈낭, 오수유, 조, 옥수수, 바나나, 녹두, 된장, 케찹, 마요네즈, 토마토, 가지, 도토리 |
|
|
|
| |
심포 삼초 |
土
|
|
|
|
|
|
단맛 |
|
|
비장과 위장에 영양을 주어 건강하게 한다. 영양이 과다하면 토극수(土克水)하여 신장과 방광을 상하게 한다. 병들면 단맛의
음식을 집중 공급하되 병이 나으면 공급을 줄여야 한다. |
|
|
|
|
음식 |
|
|
당귀, 숙지황, 구기자, 호박, 대추, 감, 귤, 쇠고기, 흙설탕, 식혜, 인삼, 감초, 황기, 계피 |
|
|
|
| |
비장 위장 |
金
|
|
|
|
|
|
매운맛 |
|
|
폐와 대장에 영양을 주어 건강하게 한다. 영양이 과대하여 금극목(金克木)하여 간과 담낭을 상하게 한다. 병들면 매운맛 음식을
집중 공급하되 병이 나으면 공급을 줄여야 한다. |
|
|
|
|
음식 |
|
|
현미, 율무, 구고추(고추가루 음식), 천마, 박하, 부자, 계피, 홍화차, 생강, 오가피, 피마자 |
|
|
|
| |
폐장 대장 |
水
|
|
|
|
|
|
짠맛 |
|
|
신장과 방광에 영양을 주어 건강하게 한다. 영양이 과다하면 수극화(水克火)하여 심장과 소장을 상하게 한다. 병들면 짠맛의
음식을 집중 공급하되 병이 나으면 공급을 줄여야 한다. |
|
|
|
|
음식 |
|
|
서태목, 밤, 소금, 미역, 파래, 해산물, 녹용, 녹각, 홍합 |
|
|
|
| |
신장 방광 |
|
(1) 간장, 담낭이
약해지면(木) |
|
|
- 신맛 나는 음식을 섭취한다. 그러나 신맛을 너무 지나치게 섭취하면 위장을 해한다 (木克土). - 민들레
뿌리나 잎을 삶아 먹는다. - 토마토는 지방 소화를 촉진시켜 간장의 부담을 덜어 준다. - 고소한 맛, 건과류 특히 호도, 잣을
먹으면 효과가 있다. - 꽈리를 말려 두었다가 집중적으로 섭취한다. - 영양을 주는 음식 : 건과류, 호도, 잣, 꽈리 등 위의
음식들을 집중적으로 섭취하되 영양이 과다하면 목극토(木克土)하여 비장, 위장이 상하게 된다. |
(2) 심장, 소장이 약해지면 (火)―생명력을 주관하는
장부 |
|
|
- 쓴맛 나는 음식을 집중적으로 섭취한다. - 영양을 주는 음식 : 수수, 커피, 녹차, 건과류 특히
호도(중성지방의 일종인 리놀레인산 은 심장의 리듬을 규칙적으로 만들어줌으로써 심장병의 위험을 줄인다), 잣 등.
※ 참고 쓴맛 나는 것이 좋다고 하여 무조건 많이 먹으면 폐장, 대장을 상하게 하므로(火克金) 심장, 소장이 약해졌을 때 집중적으로
먹다가 끊어야 한다. 모든 음식은 다 같은 방법으로 영양을 취하여야 한다. |
(3) 심포, 삼초가 약해지면(火) |
|
|
- 손과 손가락이 자주 붓는다. - 손에 땀이 많이 난다. - 떫고 단백한 음식을 집중적으로
섭취한다. - 저녁에 수분과 음식의 섭취를 줄일 것 - 틈틈이 반듯이 누워 쉴 것 - 다리 근육을 많이 움직이는
운동(걷기) - 뚱뚱한 사람은 몸무게 줄이기 - 영양을 주는 음식 : 조, 옥수수, 바나나, 녹두, 된장, 케찹, 마요네즈, 토마토,
가지, 도토리 등 - 운동요법 : 손가락 털기, 어깨 돌리기, 발목 무릎 돌리기 등을 꾸준히 하면 좋다.
|
(4) 비장, 위장이 약해지면(土)―입 냄새가 심할
때 |
|
|
- 단맛 나는 음식을 집중적으로 섭취한다. - 영양을 주는 음식 : 중지, 호박, 대추, 감, 꿀, 쇠고기,
흙설탕, 식혜 등 - 운동요법 : 전신운동, 무릎 돌리기, 무릎 자극운동을 꾸준히 한다. - 비장은 위장의 뒤쪽에 있는 장기로 백혈구
생산과 노폐한 적혈구를 파괴하는 역할을 한다. - 안장다리 * 원인 : 비장, 위장의 주 경락이 무릎을 지나기 때문에 비장,
위장이 약해지면 안짱다리 가 될 확률이 높다고 한다. * 음식요법 : 적게 먹는 습관(소식)을 들이면 위장에 무리가 되지 않으므로
안짱다리 예 방 차원에서 소식을 권장한다. * 운동요법 : 전신운동, 무릎 돌리기, 무릎 자극운동을 꾸준히
한다. |
(5) 입술이 심하게 갈라지고 입 주변까지 갈라질
때(土)―비장과 위장이 약해서 생기는 증상 |
|
|
- 입술에 꿀을 바른다. - 단맛 나는 음식을 집중적으로 섭취한다. - 곡식으로는 기장을 섭취한다. -
운동요법 : 무릎 돌리기를 꾸준히 한다. * 내장과 위장이 약해지면 공상을 많이 하기도
한다. |
(6) 속쓰림(속쓰림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다) |
|
|
- 일반적인 속쓰림으로 비장과 위장이 약해져서 생기는 경우, 각종 스트레스로 더욱 악화 되는 경우가
대부분(土)이다. - 숙취로 인한 속쓰림에는 맵고, 짠음식, 해장국, 콩나물국, 북어국 등을 먹으면
좋다. |
(7) 트림이 심할 때(土) |
|
|
- 비, 위장이 약해져서 생기는 증상 - 단맛 나는 음식을 많이 먹어야 좋다. - 영양을 주는 음식 :
호박. 대추, 감, 꿀, 쇠고기, 흙설탕, 식혜 등 - 운동요법 : 무릎 운동을 계속하여 비, 위장에 영양을 주면
된다. |
(8) 폐장, 대장이 약해지면(金) |
|
|
- 증상 : 어릴 때부터 아침만 되면 재채기와 콧물이 심하게 나오며, 재채기를 시작하면 십여번은 해야 진정된다.
이러한 경우 폐. 대장이 약한 체질에서 생기는 만성적인 증상 이다. - 폐, 대장을 약화시키는 과일 : 사과, 살구, 복숭아, 자몽
등 - 코는 호흡기가 시작되는 부위로서 폐장, 대장의 지배를 받고 있으므로 매운맛 음식을 섭취하면 좋다. - 영양을 주는 음식
: 현미, 율무, 구고추(고추가루 음식) 등 |
(9) 알레르기 성비염(金) |
|
|
- 증상 : 갑자기 재채기, 맑은 콧물, 코가 막히거나 가려운 증상이 일반적 증상이다.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등을 피하면 증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 비염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음식물 : 술, 초콜릿, 게, 계란 흰자위, 고기, 치즈,
적포도주 등 - 피해야 할 과일 : 사과, 살구, 복숭아, 자몽 등(먹어서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으면 먹어 도 됨) -
영양을 주는 음식 : 마늘, 생강, 배추, 무 등(금기가 강한 야채) * 한국 사람들은 마늘, 생각 등의 음식을 많이 섭취하므로 알레르기가
적다. |
(10) 신장, 방광이 약해지면(水) |
|
|
- 증상 : 소변에 이상이 온다. 머리카락이 많이 빠진다. 숨이 차다. 몸 전체가 자주 붓는다. -
음식요법 : 서태목, 밤, 소금, 미역, 파래, 해산물 등 - 운동요법 : 발목 돌리기, 골반 돌리기 등을 꾸준히 한다. - 본초강목
: 조를 먹으면 신장, 방광에 좋다. - 민간요법 : 토하거나 구역질이 심할 때, 땀띠가 날 때, 이질에 조가
좋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