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소나무잔나비버섯
소개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구멍장이버섯과(POLYPORACEAE)
잔나비버섯속(Fomitopsis)
학명
: Fomitopsis pinicola
시기·서식
: 침엽수의 생목, 고목, 쓰러진 나무 위에 발생하는 다년생 심재갈색부후균
분포
: 한국·일본 북반구 온대 이북
특징
: 균모의
지름은 10~50㎝, 두께는 20~30㎝로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차차
편평말굽형이
되고, 표면은 피가 있으며, 생육부는 백색을 거쳐 차차 회흑색 ~
흑색이
되고 생장 과정을 나타내는 환문이 있다. 조직은 백색이고 목질(木質)이며,
자실층은
황백색이다. 관공은 여러 층이고, 관공구는 원형이며 4~5개/㎜가 있다.
다년생으로
백색의 반구형의 혹모양을 거쳐 반원형이 되고 둥근산 모양이 된다.
균모의
표면은 회흑색 또는 흑색으로 단단한 각피가 있고 이것을 둘러싼 광택있는
적갈색
띠가 있으며, 또 가장자리는 황백색이다. 윗면은 생장과정을 나타내는
고리홈이
있으며 살은 단단한 흰나무색의 나무같이 질기다. 균모의 아랫면은 황백색,
관공은
다층이고 각층의 두께는 2-5㎜로 구멍은 가늘다.
소나무과의
각종 침엽수(전나무, 분비나무, 소나무, 낙엽송)의 고목 또는 생목의 줄기에
발생한다.
자루가 없이 갓이 나무줄기에 선반 모양으로 붙어서 반원형을 이룬다.
갓은
지름이 최대 50㎝, 두께 15㎝ 정도 되는 큰 버섯이다. 윗면은 두꺼운 각피(殼皮)로
덮여
있어 단단하고, 표면은 밋밋하며 흑색 또는 적갈색이고 동심상(同心狀)으로 이랑
모양의
융기가 있다. 흔히 갓 둘레 부분에 적갈색의 띠가 둘려져 있다. 밑면은 황백색이며
미세한
관공이 밀포되어 있다. 살은 엷은 황백색이며 단단한 목질이다.
소나무잔나비버섯은
다년생, 백색 반구형이 되고 둥근산 모양의 균모가 생긴다.
균모의
표면은 회흑색~흑색, 단단한 각피가 있고 이것을 둘러싼 광택 있는 적갈색
띠가
있으며, 또 주변부는 황백색이고 자라는 곳이다. 상면은 생장 과정을 나타내는
고리홈이
있으며 살은 단단한 흰 재목색의 나무질이다.
균모의
하면은 황백색, 관은 다층이고 각층은 두께 2~5㎜로 구멍은 가늘다. 포자는
난형,
6~8×4~5㎛로 무색이다.
갈색부후를
일으키며, 분포는 한국, 일본, 북반구 온대 이북으로 우리나라는 해발 300m
이상
고산지대로 죽은 소나무 조직, 분비나무, 전나무 등에 많이 자라고 있다.
암에
유효하다고 전승되어 온 버섯류 중에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은
호손안(胡孫眼)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용
: 버섯류의
항종양 활성은 1960년대 일본에서 보고된 쥐에 대한 고형 암세포
sarcoma-180에
대한 저해 활성이 보고 되면서 관심이 높아졌다. 그 후 많은 연구자에
의해
버섯류에 대한 고형 암세포sarcoma-180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버섯류의
열수출물이
sarcoma-180에 대하여 항종양활성을 대부분 나타내고 있으며 소나무
잔나비버섯
성분(a-glucan, B-glucan, Heterogalactan)으로 위암,
심장병, 항종양,
간암,
콜레스테롤 배출
등에 약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항종양 활성물질은
대부분
다당류인 glucan류로 그들의 독특한 화학구조 특성에 따라 일부 기작이 다르다.
대부분
긴 사슬 모양의 B-glucan 류로서 분자 모형상으로는 유사하나 그들의 분자량,
긴
사슬상에 가지의 수와 모양, 그리고 입체 구조에 따라 차이가 있다.
버섯류의
B-glucan은 주로 숙주 매개성 면역활성을 통한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
되면서 직접적으로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에 의한 제암작용보다 면역체계의
강화를
통한 면역조절 작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몇 해 전부터 재배하려는
시도가
있는 상태이다.
*
혈압강하, 콜레스트롤 배출, 및 해열작용.
*
적응증으로는 발열, 심장병, 고지혈증에 쓰이고 민간 요법으로는 늑막염,
폐렴, 감기의 해열제, 심장병에 사용하며 일본에서는 폐암의 치료에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