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신비의 약초 쑥이란 무엇인가?(인진쑥) 본문

▒▒ 건강 이야기 ▒▒/토종약초

신비의 약초 쑥이란 무엇인가?(인진쑥)

청산거사 2006. 7. 17. 18:32
인진쑥

 






▶인진쑥에 대하여

국화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풀인 사철쑥 또는 더위지기를 가리킨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나는데 봄철에 한 뼘쯤 자란 것을 베어 말려서 약으로 쓴다. 음력 3월경에 채취한 것은 약효가 높지만 4월이후에 채취한 것은 약효가 없다고 한다. 모든 쑥 종류는 봄철에는 독이 없지만 여름에는 독이 생긴다.

인진쑥은 1~1.5m까지 자란다. 줄기의 밑부분은 나무처럼 딱딱하고 잎은 두 번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솜털이 빽빽하게 안다. 줄기에서 나는 잎은 한 번만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털이 없다. 갈라진 잎 조각은 모두 실오라기처럼 가늘다.

줄기와 가지 끝에 많은 꽃이 원뿌리 꼴로 모여 피는데 꽃잎은 없고 암술과 수술이 둥글게 뭉쳐 달걀 꼴을 이룬다. 꽃은 8~9월에 피어 9~10월에 열매가 익는다.

생당쑥, 댕강쑥, 사철쑥, 더위지기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봄철에 줄기가 10cm쯤 자랐을 때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려 약으로 쓴다.


▶약성 및 활용법



전초에 정유(피넨,테르피넨,리모넨,테르피네올,시네올),방향족 옥시카르복시산(클로로겐산,카페인산,페놀라산), 플라보노이드,옥시쿠마린(스코폴린,스코폴레틴),움벨리페론이 있다.

옛부터 간을 이롭게 하는 약초로 이름이 높다. 또한 황달에 효험이 큰 약으로 이름 높다. 이담작용이 높아 담즙을 많이 나오게 하는 동시에 담즙 속의 덩어리와 콜산, 빌리루빈을 밖으로 배출하여 간을 깨끗하게 한다. 또한 혈압을 낮추고 열을 내리며 결핵균을 비롯한 갖가지 균을 죽인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매우 차다. 방광경, 비경, 위경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소변을 잘 보게 한다. 약리실험에서 담즙분비 촉진작용, 이뇨작용, 해열작용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진쑥은 발암곰팡이와 발암독물을 억제하는 힘이 매우 강해서 항암제로서도 가능성이 있다.인진쑥 달인 물은 암세포를 21% 억제하는 것이 실험으로 확인되었다.

인진쑥은 민간에서 황달이나 간염, 간경화 등 간장병 치료에 흔히 쓴다. 생즙을 내어 먹기도 하고 말려서 달여 먹기도 하며 오래 고아서 조청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약쑥에 대하여

높이 약80cm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아랫면이 길고 흰털이 배게 있어 흰색을 띤다.
여름과 가을에 밤색의 둥근꽃이삭이 가지끝에 여러개 달린다.

강화도에 자생하는 쑥과 백령도에서 해풍을 받고 자생하는 아주싸리쑥등이 유명하다.


▶약성 및 활용법

전초에 정유,타닌질,수지,아르테미신,30~130mg%의 아스코르빈산,11~12mg%의 카로틴이 있다.

잎에는 정유가 0.02% 있다.정유의 약50%는 시네올이며 기타는 알파-투욘 ,보르네올,파라핀등이다.
또한 잎에는 0.02%,콜린0.11%,비타민A,B,D등이 있다.

마른잎을 부스러뜨린털에는 납2.3%,트리코자놀,헨트리아콘탄,카프르산,팔미트산,스테아르산등의 지방산 화합물이 있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민간에서는 전초를 진정약,진경약으로 전간,경련,마비,전신강직에 쓰며 아픔멎이약으로는 산통,두통,치통,위암,문둥병,매독,임질,뇌부종,

류머티즘,통풍,기침,기관지염,기관지천식,폐결핵,폐렴,감기,이뇨, 손발이 차거나 속이 냉하여 설사,월경이 고르지 못할때와

유산시킬때,임신중독,자궁섬유종,담도,십이지장등에 사용한다.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급,만성간염, 황달, 간경화증 등 제반 간질환에 탁월한 효험이 있는 방법으로 인진쑥과 삽주 뿌리를 각각 같은 양으로 두고 거기에 물을 약재 분량의 3배쯤 붓고 10시간쯤 달여서 찌꺼기는 건져 내고 남은 국물을 물엿처럼 될 때까지 천천히 달인 다음 그 양의 1/3쯤 복령가루를 넣고 콩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10개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또는 인진쑥 800g, 대황 40g, 치자 40g에 물을 약재 분량의 3배쯤 붓고 물이 절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밥먹고 나서 한번에 한 사발씩 따뜻하게 데워서 마신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인진쑥과 솔잎, 대추를 각각 같은 양으로 하여 물을 많이 붓고 진하게 달여서 한번에 한 사발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마셔도 좋은 효과가 있다.

▶ 만성 위염에는 인진쑥 3kg과 삽주 뿌리 3kg을 각각 따로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달인 꽃만을 섞은 다음 다시 물엿처럼 될 때까지 약한 불로 천천히 달여서 콩알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두고 한번에 다섯 알씩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먹는다.
▶ 변비와 설사에는 인진쑥 20~30g을 진하게 달여서 마신다.

▶ 종기와 부스럼에는 인진쑥을 진하게 달여서 그 물로 환부를 자주 씻는다.

▶ 주근깨가 심한 경우에는 인진쑥 10g, 율무 15~20g을 함께 달여서 그 물을 하루 세 번 밥먹기 전에 마신다.

▶ 복통이 있을 때에 인진쑥 10~20g에 물 반 되를 넣고 반쯤 줄어들 때까지 달여서 그 물을 마신다. 요통, 천식, 치질로 인한 출혈, 만성 간염 등에도 효험이 있다.

▶ 구내염이나 입에서 냄새가 날 때는 인진쑥을 잘게 썰어 담배처럼 말아서 하루 2~3대 피우되 연기를 빨아 머금고 1~2분 있는다. 인진쑥은 독을 풀고 균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구내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한다.

▶속이 냉하여 냉대하나 월경불순,손발이 차가운증상,임신이 잘안될때에는 쑥을 가루내어 환으로 만들어 한달에 두근씩 최소 3개월에서 6개월정도 복용하면 손,발,자궁등이 따뜻하다는것을 느낄수가 있고 자궁이 냉하여 임신이 안될때에도 큰 효험을 볼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