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밀레로 블로그
스트로보를 이용한 AF 보조광 활용법(580EX, 430EX) 본문
여기 팁은 400D에 580EX 기준입니다. 350D나 430EX를 쓰시는 분들도 방법은 대동소이합니다만
메뉴가 조금 다를 수 있겠네요...
=================================================================
사진을 찍다 보면 눈으로 보이는데도
사진기가 초점을 잘 못잡고 버벅거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위의 대비가 명확하지 않거나
광량이 부족한 경우
또는 광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등을 들 수 있는데요
AF 보조광이란 놈을 이용해서 이런 문제를 해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이 이용하는 방법이 두가지
첫번째 내장 플래쉬를 이용하는 방법과
두번째가 외장 스트로보의 AF 보조광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580EX이나 430EX의 경우 붉은색 램프가 들어오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이 AF보조광을 쏘아주는 곳입니다.
(다른 스트로보는 안써봐서 모름, 아시는 분은 밑에 댓글을...)
그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합니다.
설명 기준은 400D 입니다. 350D도 대동소이 할 것 같습니다.
1. 바디 설정
메뉴의 5번째 탭으로 가보시면 사용자 정의 기능(C.Fn)이란게 있습니다 .
여기서 들어가셔서 5번 항목이 AF보조광 이란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설정값을 2번 즉, "외장 플래시 사용시 발광"으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스트로보 설정
580EX 기준으로 스트로보의 버튼 중 젤 왼쪽의 C.Fn 을 1초 이상 길게 눌러서 사용자 정의 기능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3번 항목의 값을 1로 맞춰줍니다.
이렇게 하면 촬영시 스트로보는 터지지 않으면서 AF 보조광만 나오게 됩니다.
자 이제 스트로보를 장착한 상태로 어두운 피사체에 초점을 잡아봅니다. 스트로보를 켠상태에서 보조광이 나오는지, 초점이 잘 잡히는지 확인합니다.
또 스트로보를 끈 상태에서 초점을 잡아보고 보조광이 있는 경우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해 봅니다.
PS. 430EX의 경우도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C.Fn 설정 메뉴를 몰라서 설명 못드렷습니다. 가지고 계신 설명서를 참고하셔서 "ETTL 사용" 부분을 "TTL오토플래쉬" 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PS2. 다시 스트로보를 사용하실 때는 스트로보 설정을 원래대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아니면 낭패 ...
PS3. 두자리수 이상 바디(20D, 30D 등등)들은 자체 바디 메뉴에 스트로보 발광 금지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굳이 스트로보의 사용자 정의 기능을 이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상위기종이 이래서 좋은 거겠죠...(색온도 보정도 되고 흑..)
메뉴가 조금 다를 수 있겠네요...
=================================================================
사진을 찍다 보면 눈으로 보이는데도
사진기가 초점을 잘 못잡고 버벅거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위의 대비가 명확하지 않거나
광량이 부족한 경우
또는 광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등을 들 수 있는데요
AF 보조광이란 놈을 이용해서 이런 문제를 해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많이 이용하는 방법이 두가지
첫번째 내장 플래쉬를 이용하는 방법과
두번째가 외장 스트로보의 AF 보조광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580EX이나 430EX의 경우 붉은색 램프가 들어오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이 AF보조광을 쏘아주는 곳입니다.
(다른 스트로보는 안써봐서 모름, 아시는 분은 밑에 댓글을...)
그럼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기로 합니다.
설명 기준은 400D 입니다. 350D도 대동소이 할 것 같습니다.
1. 바디 설정
메뉴의 5번째 탭으로 가보시면 사용자 정의 기능(C.Fn)이란게 있습니다 .
여기서 들어가셔서 5번 항목이 AF보조광 이란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설정값을 2번 즉, "외장 플래시 사용시 발광"으로 설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2. 스트로보 설정
580EX 기준으로 스트로보의 버튼 중 젤 왼쪽의 C.Fn 을 1초 이상 길게 눌러서 사용자 정의 기능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3번 항목의 값을 1로 맞춰줍니다.
이렇게 하면 촬영시 스트로보는 터지지 않으면서 AF 보조광만 나오게 됩니다.
자 이제 스트로보를 장착한 상태로 어두운 피사체에 초점을 잡아봅니다. 스트로보를 켠상태에서 보조광이 나오는지, 초점이 잘 잡히는지 확인합니다.
또 스트로보를 끈 상태에서 초점을 잡아보고 보조광이 있는 경우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해 봅니다.
PS. 430EX의 경우도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C.Fn 설정 메뉴를 몰라서 설명 못드렷습니다. 가지고 계신 설명서를 참고하셔서 "ETTL 사용" 부분을 "TTL오토플래쉬" 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PS2. 다시 스트로보를 사용하실 때는 스트로보 설정을 원래대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아니면 낭패 ...
PS3. 두자리수 이상 바디(20D, 30D 등등)들은 자체 바디 메뉴에 스트로보 발광 금지 기능이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굳이 스트로보의 사용자 정의 기능을 이용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상위기종이 이래서 좋은 거겠죠...(색온도 보정도 되고 흑..)
'▒▒ 생활 이야기 ▒▒ > 카메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는 10가지 방법 (0) | 2008.08.09 |
---|---|
계절별 추천 출사지 (0) | 2008.08.03 |
DSLR 입문 유저를 위한 지침서 (0) | 2008.08.03 |
눈온날 사진 잘 찍는법 (0) | 2008.08.03 |
선명한 사진 찍는 방법 (0) | 2008.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