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에서 사고를 당하면 쉽게 고칠 수 없다. 때문에 병원에 도착하는 순간까지도 응급처치를 해주어야 하며 더 이상 부상이 확산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우선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시에는 첫째 환자의 상태를 조사해야 한다. 호흡확인과 맥박 정도, 환자의 의식, 손발의 움직임 여부, 얼굴색과 체온, 피부색, 상처부위 등을 살펴보되 절대 생사판정은 하지 않는다. 둘째는 환자를 편안하게하고 보온을 해주어야 한다. 세번째론 환자가 의식이 있고 마실 것을 줄 필요가 있을 때는 주의해가며 음료를 조금씩 준다. 구조대 등에 연락을 취한다.
골절
- 산에서 자주 당하는 골절은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나 골절로 인한 이차적인 손상, 즉 2차감염이 문제며 잘못 처치하면 쇼크 등으로 사망할 수 있다. 또, 골절환자를 잘못 다루게 되면 불완전골절이 완전골절이 되거나, 완전불구가 되기도 하므로 주의를 많이 기울여야 한다. 골절은 외부로 뼈가 돌출된 개방성 골절과 폐쇄성 골절이 있다.
* 골절의 증상
1. 다친 부분을 만지면 아프고 움직이기 어렵다.
2. 다친 부위가 부어오르며 다친 부위가 피부가 변형된다.
3. 다친 부위의 감각이 상실되고 반상출혈(멍)이 생긴다.
4. 근육경련이 일어나고 정상적인 움직임을 할 수가 없다.
탈구
- 직·간접적인 타격으로 인해 발생한다. 탈구는 뒤틀림 등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발생, 생명을 위협할 정도는 아니지만 신경과 혈관을 압박하므로 응급처치를 요하는 경우가 많다. 탈구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위는 수지관절, 견관결, 주관절, 고관절, 족관절 등이다.
* 탈구의 증상
1. 관절의 심한 변형이 오며 절주위에 부종이 생긴다.
2 관절부위의 통증과 정상적인 관절운동의 불능
3. 혈액순환 불가능해질 뿐만 니라 이로 인한 감각 및 운동기능의 상실
이때는 부목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두꺼운 책이나 나무판, 나뭇가지, 신문지, 우산, 자 같은 것으로 다친 부위가 움직이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부목으로 고정시킨 후 붕대로 사용할 수 있는 천이나 수건 등으로 감싼 후, 병원으로 이송해야 한다.
늑골손상
- 늑골의 손상은 주로 3-8번 늑골사이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는 이곳에 늑골을 지지하는 근육이 가장 적기 때문이다.
* 증상
1. 통증이 매우 심하여 흉곽운동을 저해하고 심호흡을 못한다.
2. 상대방의 접근을 거부하는 행동을 한다.
3. 얕은 호흡을 한다.
4. 손으로 누르면 부분 압통을 느낀다.
* 응급처치
1.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고 기도를 확보 유지한다.
2. 무리한 힘을 가하여 상처부위를 만지지 말고 골절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부드럽게 촉진하고 옷을 제거한다.
3. 환자가 편안한 자세로 호흡을 하게 하고 삼각건 등을 이용하여 골절된 부위가 손상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림과 같이 응급처치를 한다.
4. 늑골의 골절로 인하여 날카로운 뼈가 폐를 관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5. 늑골 골절로 내부출혈이 있는 경우 쇼크증세가 발생할 수 있다.
팔골절
* 상완부 골절
1. 길고 평평하며 딱딱해 부목으로 사용할 만한 소재와 붕대(또는 깨끗한 천)를 가져온다.
2. 가위나 아미나이프를 이용하여 상처부위의 옷을 잘라낸다.
3. 개방골절의 경우에는 소독된 거즈를 대서 2차감염을 방지한다.
4. 골절부위에 부목을 대고 붕대를 감아준다. 붕대가 없으면 옷이나 로프를 사용한다.
5. 골절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골절부위 뿐만 아니라 그 상부도 고정해준다.
찰과상과 절상
산에서는 찰과상이나 절상도 입기 쉽다. 작은 상처라면 소독해서 반창고를 붙여 두면 되고, 상처 부위가 심하게 더러울 때는 차가운 물 등으로 깨끗이 씻는다. 피가 멈추지 않을 때는 상처 부위에 거즈를 대고 계속 눌러 주면 대개 멈춘다. 그래도 멈추지 않을 때나 출혈이 심할 때는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높은 곳으로 들어 올려 심장쪽 부위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던가, 붕대나 스카프로 졸라맨다. 이때 중요한 것은 너무 세게 졸라매지 않도록 하자. 피가 멈추면 즉시 풀 수 있도록 하자.
-
타박상과 염좌
- 타박상이나 염좌도 산에서는 흔한 일이다. 붕대 등으로 고정시켜 가능한 한 부상부위를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골절하면 쇼크와 혈액순환 장애로 인해 안면이 창백해진다. 심할 때는 빈혈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으므로 우선 편하게 눕히거나 앉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환부에 부목을 대고 붕대 등으로 확실하게 고정한다.
화상
- 산에서는 스토브 불꽃에 대거나 뜨거운 국을 쏟거나 해서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이 때는 무엇보다도 우선 덴 부분을 식혀야 한다. 식힌 후에는 생긴 수포가 터져 감염되지 않도록 청결한 거즈 등으로 보호한다. 섣불리 소독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하산해서 의사에게 진찰 받는 것이 상책이다. 우리 민간 요법인 된장을 바르는 행위는 절대 금물이다.
일사병, 열사병
- 여름철 모자를 쓰지 않고 활동하면 저녁에 두통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무거운 짐을 지고 무리하게 산길을 오르내리면서 동시에 무더위 싸우게 되면 일사병이나 열사병에 걸리는 것이다.
몸의 내부에 쌓인 지나친 열때문에 땀등의 체온 조절 기능이 점차 상실되는 것이 원인이다. 그대로 발해 두면 최악의 경우 탈수 증상으로부터 사망에 이를수도 있다. 예방법은 어쨌든 무리를 하지 않는 것. 특히 머리를 직접 햇빛에 노출하거나, 폭염을 꾹 참고 계속 활동하는 짓을 삼가해야 한다.
만약 일사병과 열사병의 증상이 나타나면, 그늘지고 통풍이 잘 되는 장소에서 셔츠의 단추를 느슨하게 풀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이때 몸을 차갑게 하고, 몸에 수분을 공급해야 한다.
산소결핍, 일산화탄소 중독
- 환기성의 나쁜 텐트 안에서 스토브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구토와 두통등의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는 위험하므로 텐트내에서 스토브를 사용면서 답답함을 느끼거나 하면 즉시 스토브를 끄고, 텐트의 출입구를 열어 환기를 해야한다. 이어서 옷을 느슨하게 풀고 안정을 취해야 한다.
산소결핍의 경우에는 돌연 호흡이 정지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때에는 옆사람이 즉시 인공 호흡을 해주어야 한다.
하이포사미아 (저체온증)
- 체온이 급격하게 저하해 움직일 수 없게 되고 최악의 경우 사망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이 하이포사미아 (저체온증)이다. 저온시의 트러블이라면 먼저 동상이 떠오르지만, 저체온증은 그 전단계에서 일어날 수 있고, 저온이 아닌곳 경우, 예를 들면 여름철 산에서 심한 비바람을 맞고 돌연 움직일수 없는 상태에 이를수 있다. 기온은 그다지 낮지 않더라도 바람의 영향으로 체감 온도가 낮은 경우인 것이다. (풍속 1m/s 에서 체감 온도는1℃ 내려간다고 한다)
저체온증이 무서운 것은 부지불식간에 최악의 상황까지 이르는 것이다. 겨울철 술에취해 노숙하다가 동사한 경우등은 전형적인 저체온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저체온증인 경우 어쨌든 따뜻하게 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피부를 강하게 문질러 혈액순환을 돕는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외상
- 외상의 경우는 지혈과 이차감염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골절의 경우는 환부의 내출혈을 막기 위해 먼저 환부를 차게 하고 환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을 대고 고정해야 한다. 뼈가 피부를 찢고 튀어나온 개방성골절의 경우는 최초에 상처의 처치를 하고 골절의 처치를 한다.
부목은 골절한 부위의 전후의 관절을 포함해 고정하는 것이다. 부목에는 나무가지와 폴, 두꺼운 종이를 접은것등을 이용한다. 직접 부목을 묶는 것이 고통스러우면 의류등으로 쿠션을 주는게 좋다.
골절시에는 쇼크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처치도 동시에 해야 한다.
쇼크
- 외상이 크거나, 병의 증상이 돌연 나타나거나 했을 때에 그것이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되어 쇼크 상태에 빠지게 된다.
안면이 창백해 지고, 수족이 차게 되며, 식은 땀, 구토, 호흡과 맥박이 빠르게 되는 증상이 전형적이다.
쇼크 증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상처와 병을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환자를 안정시키고, 의복을 느슨하게하고, 모포등으로 보온 한다.
화상
- 캠프중 의외로 많은 것이 화상이다.
화상의 응급처치는 어쨌든 환부를 식히는 것이다. 환부를 흐르는 물에 담그고, 감각이 마비될 정도까지 확실히 식힌다. 찬 유수가 없으면, 콜드 sprayer와 콜드팩을 이용한다. 이 처치가 신속히 이루어 지면, 화상의 정도를 상당히 가볍게 할 수 있다.
환부를 충분히 차게 하고, 염증등의 증상이 보이면 항생물질 배합의 연고를 바르고, 화상거즈를 붙이고, 붕대등으로 환부를 보호한다.
동상
- 동상은 한랭지에서 혈액순환이 원할하지 못해 일어난다. 얼굴과 손은 추위를 느꼈을 때에 살을비벼 혈액순환을 회복하면 동상을 예방할 수 있지만, 문제는 발가락이다. 때때로 신발끈을 느슨하게하거나 수시로 발가락을 움직이지 않으면 않된다.
동상의 초기는 환부에 통증을 느끼고 더 진전되면 마비가 오며 하얗게 된다. 초기증상일 경우에는 마사지를 해서 혈행을 돕고, 미온수에 환부를 담그는것을 반복한다. 증상이 더 악화되면 화상 같은 수포가 생기고, 나아가 환부가 검게 변색하며 조직이 괴사되고 만다. 수포가 생기는 2도 이상의 동상을 입게되면 환부를 소독해 붕대등으로 보호하고, 의료 기관의 치료를 받지 않으면 안 된다.
독사에게 물렸을 때
- 보통 뱀류는 진동에 민감하므로 사람이가까이 다가가면 감지해 도망쳐 버리고, 자극하지 않으면 먼저 습격해 오지 않는다.
뱀을 위협하게되면 무서운 스피드로 습격해 온다. 만일 물릴 경우, 심장에서 가까운 부분을 끈등으로 지혈하고 정맥혈이 심장에 도는 것을 막도록 한다. 유독물 리무버와 스네이크바이트킷(독을 빨아내는 기구)등을 이용하여 가능한 한 많은 독을 빨아낸다. 이러한 기구가 없으면 입으로 빨아내야 한고 빨리 의료 기관으로 후송하여 혈청 치료를 받아야 한다.
구급함
- 구급함과 상비약은 반드시 준비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
상비약으로는 해열진통제, 소화제, 지사제, 찰과상용 연고, 살균소독제, 콜드스프레이, 소염치료제, 동상연고, 화상용 거즈와 연고, 안약,벌레물렸을때 치료제, 기타 밴드, 반창고, 거즈(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준비), 붕대, 탈지면등 그리고 핀셋과 구급용 가위등 소도구와 기구 소독제등을 갖춘다.
구급함의 케이스는 방수패킹이 잘 되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