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터
FILTER가 사용하는 렌즈의 품질을 떨어트려서는 안되겠죠. 일반적으로 FILTER가 약 3% 정도 렌즈품질을 저하시킨다고 합니다.
사진을 하시는 일반분들의 경우 저가 FILTER를 사용하고 계신 분이 많은데 이는 렌즈 성능의
저하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RODENSTOCK FILTER는 HIGH QUALITY의 광학 GLASS에 특수강화코팅 처리되어 있어 렌즈
의 성능을 비교적 덜 떨어트린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UV (ULTRA VIOLET 자외선 차단) FILTER
가장 기본적인 필터로 카메라 구입시 서비스로 주로 받는 필터중의 하나입니다. 일반적인 감광 재료는 자외선 영역까지 감광합니다. UV FILTER없이 촬영할 때 칼라 필름의 경우 청자외선을 감광하여 청색의 톤, 흑백 필름의 경우는 콘트라
스트를 감소시켜 먼거리를 희미하게 보이게 합니다. 이때 UV를 방지하기 위해
서는 UV FILTER를 사용는 것입니다.
2) UV/IR (Ultra Violet/ Infrared Ray 자외선 및 적외선차단) FILTER
디지털 카메라 및 CCD CAMCORDER (DIGITAL CAMCORDER)용 FILTER입니다.
UV(자외선) 및 IR(적외선) 차단용 FILTER 입니다.
3) SKYLIGHT FILTER
UV FILTER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FILTER지만 UV FILTER처럼 항상 장착 할수는 없는 FILTER입니다. 특히 슬라이드 FILM을 사용할 때는 필수로 사용되며, 피사체 전체가 그늘에 있을때 사용해야만 하고 인물 촬영의 경우 필터의 영향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필터의 색상은 분홍빛입니다.
4) LB 또는 CONVERSION(색온도보정) FILTER
LB(LIGHT BALANCING) FILTER는 색온도 보정 FILTER 입니다.
BLUE(파란색)계와 AMBER(호박색 YELLOWISH BROWN)계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색온도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습니다.
일출(아침) 또는 일몰(저녁)시의 빛은
붉은 빛을 띄는데 이러한 색을 보정해 줄때
- 82A(VERY PALE BLUISH 매우 옅은 푸른색):
일몰 일출 시 약간 붉을 때 사용.
- 82B(PALE BLUISH 옅은 푸른색) :
일몰 일출 시 붉을 때 사용.
텅스텐/할로겐 라이트의 조건에서 촬영할 때
- 82C(BLUISH 푸른색) : 텅스텐 라이트(2800K)
의 조건에 텅스텐 필름 사용
- 80B(BLUE 파란색): 프로젝션 전구(3200K)의
조건에 DAYLIGHT 필름 사용
- 80A(BLUE 파란색): 할로겐 전구(3200K)의
조건에 DAYLIGHT 필름 사용
푸른 하늘 또는 구름이 있는 풍경
- 81B(VERY PALE AMBER 매우 옅은 호박색) :
구름 낀 하늘에 SKYLIGHT 필터보다 강한
효과를 나타냅니다.
- 81EF(옅은 호박색) : 푸른 하늘의 그늘진
풍경 또는 실내 건축사진 촬영시 사용.
- 85(호박색) : 흰 구름이 있는 하늘의 풍경 촬영 시 텅스텐 필름 사용.
- 85B(호박색) : 진한 푸른 하늘의 풍경 촬영시 텅스텐 필름 사용.
5) B&W CONTRAST(흑백용) FILTER
흑백 필름용 필터이며, 피사체의 같은 색은 밝게
하고 보색은 진한 회색 톤으로 전환.
- YELLOW (MEDIUM YELLOW 8, DARK YELLOW 15, YELLOW GREEN 11)
풍경 사진용 필터, 푸른 하늘을 어둡게 하며
흰 구름을 매우 밝게 표현
- GREEN 13 :
녹색을 밝게 표현 그 보색인 빨간색은 어둡게..
- ORANGE 22 :
풍경 촬영 시 푸른색 더 어둡게 YELLOW FILTER 보다 더 강한 효과.
- RED(BRIGHT RED 25, DARK RED 29) :
YELLOW나 ORANGE Filter 보다 더 강한 효과 특히 적외선필름 사용시 필수
6) PL(POLARIZING 편광) FILTER
편광: 자연광(빛은 그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진동하면서 진행하는데 어떤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한 강도로 진행하는 빛을 자연광이라고 함)이 물체의 면에 반사하면 그 반사광의 진동의 강도는 부분적인 변화를 하는데 이것을 부분 편광이라 하고, 투명한 물체에 빛이 어떠한 각도로 입사하면 그 반사광은 빛의 진행을 포함한 하나의 면에 진동하는데 이를 직선 편광이라 합니다.
* 직선 편광이 강하고(밝고) 내부 반사광이 약할 경우 편광 필터로 반사광을 차단하면 내부의 반사광으로 촬영할 수 있습니다.
- JET-POL LINEAR :
AUTO FOCUS가 없는 카메라나 포토 셀(수광체: 노출계 등 수광부에 사용,
빛의 강약을 전기량으로 바꾸는 광전지 변환 소자) 앞에 BEAM
SPLITTER(오토 포커스 기구에 입사광선을 이분화 시켜 각각의 수광
소자에 분리시키는 블럭: 프리즘 또는 하프미러)가 없는 카메라에
사용합니다.
- JET-POL CIRCULAR : TTL 측광과 AF REFLEX CAMERA의 AUTO FOCUS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7) ND(NEUTRAL DENSITY 농도) FILTER
이 FILTER는 회색이며, 빛의 양을 동일하게 감소시킵니다. 노출 시간의 연장 가능케 함
x2 (1 f-stop), x4 (2 f-stop), x8 (3 f-stop)
8) FLD(FLUORESCENT 형광등용) FILTER
MAGENTA(자홍색) 색상이며 형광등 빛 아래서 촬영 시 DAYLIGHT FILM에 나타나는 녹색의 변색을 막아줍니다.
9) SOFT FILTER
CARL ZEISS 고품격 SOFT FILTER, 초점거리 85-105mm 135 CAMERA 렌즈에 적합
- SOFTENER ZEISS SOFTAR I
- SOFTENER ZEISS SOFTAR II
10) CENTER FILTER
GRADUATED FILTER: 대형 카메라의 광각 렌즈에 사용, 큰 이미지 앵글로 인한 주변부의 광량 감소를 줄여 줍니다.
========
카메라에는 렌즈 앞에 필터라는 보조 기구를 사용하여 사진에 여러가지 다양한 요과를 줄 수 있다. 이러한 필터는 종류만도 수십가지에 이르고 다양한 용도와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상황에 맞는 필터의 사용은 자신이 원하는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1. uv필터
UV 란 UltraViolet의 약자로 자외선 차단 필터, 즉 자외선을 차단하는 필터다. 원리는 필터에 자외선 차단 필름을 바른 것으로 mcuv(multi coating)필터라고 해서 여러장의 차단 필름을 바른 제품도 있다. 본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사진에 푸른 빛이 도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지만 그 효과가 눈에 띄는 수준이 아니며 가격이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렌즈의 보호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2. 편광필터(Pl:polarize)
편광필터는 pl, 또는 cpl(circle pl)필터로 불리우며 빛의 난반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원리는 여러 방향으로 들어오는 빛을 한 방향으로 바꾸는 방법이며 따라서 빛의 반사를 막게 된다. 필터가 손으로 돌리게 되어있으며 손으로 돌려가며 가장 편광 효과가 좋은 지점에서 촬영한다. 수면에 배경이 비치는 물 속의 촬영, 유리창의 촬영과 응용으로 하늘의 촬영에 효과가 좋은데 하늘로부터의 잡광을 막기 �문에 더욱 선명하고 푸른 하늘을 촬영할 수 있다. 필터와 하늘의 각도가 평행하면(각도가 0도이면)효과가 가장 좋으며 편광 효과는 피사체와 30도 정도일 � 최적의 편광 성능을 보인다.
3. nd필터
특정한 파장 범위 내에서 각 파장에 대해 거의 같은 정도로 투과량을 감소시켜 색 균형에 영향을 주지 않게 해 주는 필터로 중성농도(neutral density : 색에 대해 중립적 성질을 갖는 농도) 필터라고도 한다. 실제 사용되는 ND 필터는 재질에 따라 가시광선 대역의 각 파장에 대해 투과 특성이 다소 다르지만, 필터를 부착함으로서 투과량을 감소시켜 주어, 느린 셔터로 동적인 느낌이나 특수한 효과를 내고 싶을 때 사용하며 칼라나 흑백 사진 모두 사용 가능하다.
4. 모노톤 필터(Monotone filter)
ND(Netural density : 중성 농도) 필터로서 렌즈를 통과하는 빛이 너무 많을 때나 피사체의 색에 빛이 너무 많을 때,피사체의 색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투과하는 빛의 양만을 억제시켜 주는 필터로 밝은 날에 렌즈의 조리개를 열어서 피사계 심도를 얕게 하거나 셔텨 속도를 줄여서 피사체의 동적인 표현을 할 때 사용된다.
5. 블루 필터(Blue filter)
컬러 촬영시에 색 온도를 상승시켜 붉은 색을 제거하는데 쓰이는 필터로 컨버전 필터나 LB 필터가 있으며, 컬러 프린트의 색 보정에 이용되는 필터의 청색계도 CC필터의 일종으로서 황색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또 텅스텐에 의한 촬영에서 적색이 하얗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담청색 필터도 블루 필터의 B라는 기호로 사용되고 있다.
6. 색보정 필터(Color compensating filter)
CC 필터라고 불리며, 컬러촬영이나 인화에 있어 컬러 밸런스를 교정하거나 광원의 부족한 광질을 보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필터로 컬러밸런스의 보정이나 형광등과 같은 휘선 스펙트럼을 가진 광원의 색보정에 많이 사용된다. 색보정 필터는 황색, 마젠타, 사이언, 청색, 녹색, 적색의 각색으로 농도 0.025 ~ 0.5에 이르는 40종의 필터가 있어 대부분의 색 조정이 가능하다.
7. 색온도 변환 필터(Color conversion filter)
컬러 필름의 색 온도와 사용하는 광원의 색 온도가 크게 차이가 날 때 이를 일치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컬러 필터로 필름 제조회사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컬러 필름으로 5500K 정도의 데이라이트(주광)용과 3400K에 맞추어진 텅스 텐용 타입 A, 그리고 3200K에 맞추어진 텅스텐용 타입 B로 분류되어 만들어진다. 색 온도 변환 필터는 색 온도를 높이기 위한 청색 계열과 낮추기 위한 호박색 계열로 구분되고 있으며, 필터의 종류는 필터 제조회사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코닥에서는 청색 계열인 80A, 80B, 80C, 80D와 호박색 계열인 85, 85B, 85C 등을 시판하고 있지만 이 필터의 효과 같은 경우에는 이미지 편집 그래픽에서도 보정이나, 화이트 밸런스 기능을 이용하면 필터를 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8. 크로스필터
사진 촬영시 광원을 여러 갈래로 퍼지게 해주는 효과를 가진 필터로 6각, 8각 등이 잇으며 효과는 빛이 퍼지는 개수이다.필터 표면에 미세한 금이 그어져 있어 사진에 촬영된 광원을 마치 별과 같이 갈라지게 해주는 필터로 야경 사진등에 응용하면 매우 효과가 좋다. 조리개를 조여도 조리개가 갈라진 형태이기 때문에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